🌟 기억 (記憶)
☆☆☆ 명사
1. 이전의 모습, 사실, 지식, 경험 등을 잊지 않거나 다시 생각해 냄.
1. MEMORY: The act of not forgetting or recalling past figures, facts, knowledge or experiences.
-
옛 기억.
Old memories. -
아련한 기억.
A dim memory. -
흐린 기억.
Cloudy memories. -
기억 속.
In memory. -
기억이 가물가물하다.
Memory is hazy. -
기억이 나다.
Remember. -
기억이 떠오르다.
Memories come to mind. -
기억이 없다.
I don't remember. -
기억이 희미하다.
I have a dim memory. -
기억을 되살리다.
Bring back memories. -
기억을 불러일으키다.
Evoke memories. -
기억을 잃다.
Lose one's memory. -
기억에 남다.
Reminds me. -
기억에 생생하다.
Fresh in memory. -
기억에서 사라지다.
Disappear from memory. -
옛 사진을 보니 어릴 때의 즐거웠던 기억이 떠오른다.
The old pictures remind me of the pleasant memories of my childhood. -
나는 길에서 사고를 당한 후 정신을 잃어서 병원에 실려 오기까지의 기억이 전혀 없다.
I have no recollection of having lost consciousness after an accident on the road and being taken to the hospital. -
우리 할머니는 내가 다섯 살 때 돌아가셔서 나에게는 희미한 기억으로만 남아 계신다.
My grandmother died when i was five years old and remains a dim memory to me. -
수많은 사람들이 지켜보는 무대 위에 오르니 방금 전까지 줄줄 외우던 노래 가사가 기억이 나지 않았다.
I could not remember the lyrics of the song that i had memorized until just now when i was on stage watched by countless people. -
♔
우리 만난 적 있지 않아요?
Haven't we met before?
♕ 그러고 보니 본 기억이 나는 것 같기도 해요.
Come to think of it, i remember seeing it.
🗣️ 발음, 활용: • 기억 (
기억
) • 기억이 (기어기
) • 기억도 (기억또
) • 기억만 (기엉만
)
📚 파생어: • 기억되다(記憶되다): 이전의 모습, 사실, 지식, 경험 등이 잊히지 않거나 다시 생각나다. • 기억시키다(記憶시키다): 이전의 모습, 사실, 지식, 경험 등을 잊지 않게 하거나 다시 … • 기억하다(記憶하다): 이전의 모습, 사실, 지식, 경험 등을 잊지 않거나 다시 생각해 내…
📚 분류: 인지 행위
🗣️ 기억 (記憶) @ 뜻풀이
- 가물거리다 : 의식이나 기억 등이 희미하게 되다.
- 파일 (file) : 컴퓨터의 기억 장치에 일정한 단위로 저장된 정보의 묶음.
- 생각 : 무엇에 대한 기억.
- 물밀다 : 생각, 감정, 기억 등이 마구 떠오르다.
- 메모리 (memory) : 기억 장치에 담을 수 있는 정보의 최대량.
- 남기다 : 감정이나 기억 등이 없어지지 않고 계속 있게 하다.
- 나다 : 생각이나 기억 등이 떠오르다.
- 치매 (癡呆) : 주로 노인에게 나타나며, 뇌세포가 손상되어 지능, 의지, 기억 등이 사라지는 병.
- 플로피 디스크 (floppydisk) : 둥근 모양의 자기를 띤 매체 위에 데이터를 기록하는, 컴퓨터의 외부 기억 장치.
- 되살아나다 : 잊고 있던 느낌이나 감정, 기분, 기억 등이 다시 생기다.
- 주소 (住所) :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기억 장소의 위치. 또는 그것을 나타내는 수.
- 되살다 : 잊고 있던 느낌이나 감정, 기분, 기억 등이 다시 생기다.
- 언뜻 : 생각이나 기억 등이 문득 떠오르는 모양.
- 언뜻언뜻 : 생각이나 기억 등이 계속 문득문득 떠오르는 모양.
- 쌩쌩하다 : 생각이나 기억 등이 바로 눈앞에 보이는 것처럼 또렷하다.
- 되짚다 : 지난 일, 생각, 기억, 말 등을 다시 떠올려 생각하다.
- 디스크 (disk) : 컴퓨터의 보조 기억 장치로 사용하는 둥근 모양의 판.
- 역력히 (歷歷히) : 감정이나 모습, 기억 등이 또렷하고 분명하게.
- 역력하다 (歷歷하다) : 감정이나 모습, 기억 등이 또렷하고 분명하다.
- 얼핏 : 생각이나 기억 등이 갑자기 잠깐 떠오르는 모양.
- 접속 (接續) : 컴퓨터에서, 여러 개의 프로세서와 기억 장치 사이를 물리적으로 또는 전자 회로로 연결하는 일.
- 접속되다 (接續되다) : 컴퓨터에서, 여러 개의 프로세서와 기억 장치 사이가 물리적으로 또는 전자 회로로 연결되다.
- 가물대다 : 의식이나 기억 등이 희미하게 되다.
- 각인 (刻印) : 어떤 모습이 머릿속에 새겨 넣듯 뚜렷하게 기억됨. 또는 그 기억.
- 접속하다 (接續하다) : 컴퓨터에서, 여러 개의 프로세서와 기억 장치 사이를 물리적으로 또는 전자 회로로 연결하다.
🗣️ 기억 (記憶) @ 용례
- 내가 준 선물을 기억 못하다니 정말 실망이야. [실망 (失望)]
- 기억을 못한 게 아니라 잠시 다른 선물이랑 헷갈렸던 것뿐이야. [실망 (失望)]
- 쓴 기억. [쓰다]
- 나에게는 첫사랑에 실패한 것이 쓴 기억으로 남았다. [쓰다]
- 시린 기억. [시리다]
- 남자 친구와 헤어진 지수는 남자 친구와 좋았던 기억을 떠올릴 때마다 마음이 시렸다. [시리다]
- 기억이 아롱거리다. [아롱거리다]
- 돌아가신 어머니의 얼굴이 기억 속에서 아롱거리며 떠올랐다. [아롱거리다]
- 어렸을 때 기억이 나요? [아롱거리다]
- 몇 가지 일들이 흑백 사진처럼 아롱거리지만 또렷하게 기억나는 건 없어요. [아롱거리다]
- 학창 시절 친구들과 보냈던 추억이 기억 속에 아른댔다. [아른대다]
- 통한의 기억. [통한 (痛恨)]
- 쓰린 기억. [쓰리다]
- 첫사랑과의 이별은 승규에게 여전히 쓰리고 아픈 기억으로 남아 있다. [쓰리다]
- 아련한 기억. [아련하다]
- 이십 년 만에 고향에 돌아오니 어릴 적 기억이 아련하게 떠올랐다. [아련하다]
- 옛 기억. [옛]
- 할아버지는 전쟁 때 주먹밥만 먹었던 기억 때문에 주먹밥을 드시지 않는다. [주먹밥]
- 우리 같은 반이었던 거 기억 안 나? [어쩐지]
- 창피스러운 기억. [창피스럽다 (猖披스럽다)]
- 너 몇 년 전에 나 놀린 거 기억 안 나? [비좁다]
- 묘연한 기억. [묘연하다 (杳然하다)]
- 어머니의 얼굴도 이제는 기억이 묘연하여 잘 생각나지 않는다. [묘연하다 (杳然하다)]
- 나이가 드니까 기억이 묘연해서 잘 생각이 안 나는구나. [묘연하다 (杳然하다)]
- 고생한 기억. [고생하다 (苦生하다)]
- 뼈저린 기억. [뼈저리다]
- 지수에게 이혼은 뼈저리게 아픈 기억이다. [뼈저리다]
- 비밀번호 기억 안 나? [생각나다]
- 새까만 기억. [새까맣다]
- 우리 팀이 우승을 했던 것은 벌써 십 년 전의 새까만 기억이다. [새까맣다]
- 대량 학살이 일어났던 그때가 기억 나십니까? [피바다]
- 컴퓨터의 기억 장치에는 다양한 정보들이 부호화가 되어 저장된다. [부호화 (符號化)]
- 우리가 공부한 내용은 학습 환경과 기존 지식에 따라 변형되고 부호화가 이루어져 기억된다. [부호화 (符號化)]
- 우리 뇌의 시각 정보는 공간적 부호화 과정을 거쳐, 전체적인 영상을 구성하면서 기억에 남는다. [부호화 (符號化)]
- 생생한 기억. [생생하다]
- 지수는 첫 해외 여행의 기억이 아직도 생생했다. [생생하다]
- 나는 아직도 우리가 처음 만나던 날이 생생하게 기억이 나. [생생하다]
- 선택적인 기억. [선택적 (選擇的)]
- 선택적으로 기억하다. [선택적 (選擇的)]
- 사람은 보통 좋은 기억만을 선택적으로 기억한다. [선택적 (選擇的)]
- 머릿속을 맴도는 기억. [맴돌다]
- 응. 지난번에 엑스레이에 투시돼서 못 쓰게 된 거 기억 나. [투시되다 (透視되다)]
- 기술의 발달로 컴퓨터의 기억 용량을 거의 무한대로 확장할 수 있게 되었다. [무한대 (無限大)]
- 배고픈 기억. [배고프다]
- 너 예전에 나한테 신세진 거 기억 안 나? [해묵다]
- 대뇌는 기억, 사고, 판단 등의 중요한 역할을 한다. [대뇌 (大腦)]
- 고등학교 때 배웠던 화학 공식이 지금은 거의 기억 나지 않아요. [주입되다 (注入되다)]
- 그전 기억. [그전 (그前)]
- 그전이 기억나다. [그전 (그前)]
- 쪽팔리는 기억. [쪽팔리다]
- 소꿉장난하던 기억. [소꿉장난하다]
- 너 여기 기억하니? 어릴 때 놀던 덴데. [소꿉장난하다]
- 고통스러운 기억. [고통스럽다 (苦痛스럽다)]
- 신입생 때 기억 나? 그때는 참 꿈이 많았었는데. [청사진 (靑寫眞)]
- 세뇌된 기억. [세뇌되다 (洗腦되다)]
- 나는 기억 상실증에 걸려 기억에 공백이 생겼다. [공백 (空白)]
- 가상 기억 장치. [기억 장치 (記憶裝置)]
- 대용량 기억 장치. [기억 장치 (記憶裝置)]
- 보조 기억 장치. [기억 장치 (記憶裝置)]
- 외부 기억 장치. [기억 장치 (記憶裝置)]
- 기억 장치가 고장이 나다. [기억 장치 (記憶裝置)]
- 컴퓨터의 하드웨어에는 여러 가지 자료를 저장하는 기억 장치가 있다. [기억 장치 (記憶裝置)]
- 깜깜절벽으로 기억이 나지 않다. [깜깜절벽 (깜깜絕壁)]
- 시험지를 받자 깜깜절벽으로 어제 공부한 것들이 하나도 기억 나지 않았다. [깜깜절벽 (깜깜絕壁)]
- 괴어오르는 기억. [괴어오르다]
- 기억 상실증에 걸린 지수는 예전 일에 대해 깜깜한 눈치였다. [깜깜하다]
- 지운 기억. [지우다]
- 어두운 기억. [어둡다]
- 어렸을 때 집 앞에 있던 커다란 나무 기억 나니? [연륜 (年輪)]
- 역사적 기억. [역사적 (歷史的)]
- 독일이 통일되던 때를 기억하십니까? [역사적 (歷史的)]
- 신기루로 기억되다. [신기루 (蜃氣樓)]
- 그는 세상을 떠났지만 팬들의 기억 속에 오래도록 신기루로 빛날 것이다. [신기루 (蜃氣樓)]
- 내가 그랬단 말이야? 취해서 기억이 안 나. [-기로서니]
- 아무리 취했기로서니 그렇게 아무것도 기억 못할 수가 있냐? [-기로서니]
- 반복적인 자극은 인간의 장기 기억 속에 영구적으로 저장되어 죽을 때까지 잊히지 않는다. [영구적 (永久的)]
- 아픈 기억. [아프다]
- 나는 어린 시절 옹색하게 살며 고생했던 기억 때문에 꼭 부자가 되고 싶었다. [옹색하다 (壅塞하다)]
- 기억 속의 영상. [영상 (映像)]
- 기억 용량. [용량 (容量)]
- 너도 어릴 때 시금치를 싫어했던 거 기억 안 나니? [쑥쑥]
- 일시적 기억 상실. [기억 상실 (記憶喪失)]
- 심각한 기억 상실. [기억 상실 (記憶喪失)]
- 기억 상실 증상. [기억 상실 (記憶喪失)]
- 기억 상실 환자. [기억 상실 (記憶喪失)]
- 기억 상실이 나타나다. [기억 상실 (記憶喪失)]
- 기억 상실을 유발하다. [기억 상실 (記憶喪失)]
- 암울한 기억. [암울하다 (暗鬱하다)]
- 소실된 기억. [소실되다 (消失되다)]
- 자잘한 기억. [자잘하다]
- 흐린 기억. [흐리다]
- 기억이 흐리다. [흐리다]
- 할아버지가 돌아가신 것은 너무 어렸을 때의 일이라 기억이 흐리다. [흐리다]
- 나도 기억이 흐려서 집에 어떻게 갔는지 모르겠더라. [흐리다]
- 감치는 기억. [감치다]
- 내 머릿속에 첫사랑의 기억이 아련히 감친다. [감치다]
- 자지러지는 기억. [자지러지다]
- 낭패한 기억. [낭패하다 (狼狽하다)]
- 나는 음식점에서 계산을 해야 하는데 지갑이 없어서 낭패한 기억이 있다. [낭패하다 (狼狽하다)]
- 첫사랑의 얼굴은 내 기억 속에 잊을 수 없는 각인으로 남아 있다. [각인 (刻印)]
- 참혹의 기억. [참혹 (慘酷)]
- 흐리멍덩한 기억. [흐리멍덩하다]
- 흐리멍덩하게 기억하다. [흐리멍덩하다]
- 기억이 흐리멍덩하다. [흐리멍덩하다]
- 초등학생 때의 일은 너무 오래 되어서 기억이 잘 나지 않고 흐리멍덩하다. [흐리멍덩하다]
- 나도 기억이 흐리멍덩해서 집에 어떻게 갔는지 모르겠더라. [흐리멍덩하다]
- 기억을 죽이다. [죽이다]
- 유민이는 그날의 기억을 죽이고 싶어서 안간힘을 썼다. [죽이다]
- 그는 수용소에 끌려갔던 기억을 죽이지 못해 오랜 세월을 고통 속에 살았다. [죽이다]
- 야, 그건 내게 너무 창피한 일이니까 네 기억 속에서 죽여. [죽이다]
- 흐릿한 기억. [흐릿하다]
- 사진을 보니 어렸을 때 기억이 흐릿하게 떠올랐다. [흐릿하다]
- 오래전 일이라 기억이 흐릿하네요. [흐릿하다]
- 자취하던 기억. [자취하다 (自炊하다)]
- 빛바랜 기억. [빛바래다]
- 단기 기억. [단기 (短期)]
- 사람의 기억에는 잠깐 동안 저장되었다가 금세 잊히는 단기 기억과 머릿속에 영구적으로 남는 장기 기억의 두 종류가 있다. [단기 (短期)]
- 기억 상실증 증세. [기억 상실증 (記憶喪失症)]
- 기억 상실증 환자. [기억 상실증 (記憶喪失症)]
- 기억 상실증에 걸리다. [기억 상실증 (記憶喪失症)]
- 기억 상실증에서 깨어나다. [기억 상실증 (記憶喪失症)]
- 기억 상실증에서 회복되다. [기억 상실증 (記憶喪失症)]
- 유민이는 기억 상실증에 걸려 가족도 알아보지 못했다. [기억 상실증 (記憶喪失症)]
-
ㄱㅇ (
겨울
)
: 네 계절 중의 하나로 가을과 봄 사이의 추운 계절.
☆☆☆
명사
🌏 WINTER: One of four seasons which is the coldest, and comes between fall and spring. -
ㄱㅇ (
과일
)
: 사과, 배, 포도, 밤 등과 같이 나뭇가지나 줄기에 열리는 먹을 수 있는 열매.
☆☆☆
명사
🌏 FRUIT: Edible fruit that grows on the stem or branch of a tree, such as apples, pears, grapes, chestnuts, etc. -
ㄱㅇ (
군인
)
: 군대에 속하여 무기를 다루는 등의 훈련을 받고 일정한 임무를 맡아 하는 사람.
☆☆☆
명사
🌏 SOLDIER: A person belonging to the military, who is trained to handle weapons and is given missions. -
ㄱㅇ (
거의
)
: 전부에서 조금 모자란 정도.
☆☆☆
명사
🌏 MOST; ALMOST: A little less than all. -
ㄱㅇ (
가요
)
: 많은 사람들이 즐겨 부르는 노래.
☆☆☆
명사
🌏 KOREAN POPULAR SONG: Songs many Koreans enjoy singing. -
ㄱㅇ (
공원
)
: 사람들이 놀고 쉴 수 있도록 풀밭, 나무, 꽃 등을 가꾸어 놓은 넓은 장소.
☆☆☆
명사
🌏 PARK: A large place with grass, trees and flowers where people can play and rest. -
ㄱㅇ (
가을
)
: 네 계절 중의 하나로 여름과 겨울 사이의 계절.
☆☆☆
명사
🌏 FALL: One of four seasons which comes between summer and winter. -
ㄱㅇ (
걸음
)
: 다리를 움직여 두 발을 번갈아 옮겨 놓는 동작.
☆☆☆
명사
🌏 STEP; WALK: The act of moving legs and feet forward one after the other. -
ㄱㅇ (
구월
)
: 일 년 열두 달 가운데 아홉째 달.
☆☆☆
명사
🌏 SEPTEMBER: The ninth month of a year, out of twelve months. -
ㄱㅇ (
깊이
)
: 위에서 밑바닥까지 또는 겉에서 속까지의 거리가 멀게.
☆☆☆
부사
🌏 DEEPLY; DEEP: In the state of the length from top to bottom, or from outside to inside being long. -
ㄱㅇ (
개월
)
: 달을 세는 단위.
☆☆☆
의존 명사
🌏 MONTH: A bound noun that serves as a unit for counting the number of months. -
ㄱㅇ (
가위
)
: 종이나 천, 머리카락 등을 자르는 도구.
☆☆☆
명사
🌏 SCISSORS: A tool for cutting paper, fabric, hair, etc. -
ㄱㅇ (
거울
)
: 물체의 모양을 비추어 보는 얇고 평평한 물건.
☆☆☆
명사
🌏 MIRROR: A thin, flat object reflecting the appearance of an object or person. -
ㄱㅇ (
같이
)
: 둘 이상이 함께.
☆☆☆
부사
🌏 TOGETHER: With each other. -
ㄱㅇ (
거의
)
: 전부에서 조금 모자라게.
☆☆☆
부사
🌏 ALL BUT: A little less than all. -
ㄱㅇ (
교육
)
: 개인의 능력을 키우기 위해 지식, 교양, 기술 등을 가르치는 일.
☆☆☆
명사
🌏 EDUCATION: The act of teaching knowledge, culture, techniques, etc., in order to enhance one's ability. -
ㄱㅇ (
게임
)
: 규칙을 정해 이기고 지는 것을 가르는 놀이.
☆☆☆
명사
🌏 GAME: A play for deciding the winner and loser according to a certain rule. -
ㄱㅇ (
기억
)
: 이전의 모습, 사실, 지식, 경험 등을 잊지 않거나 다시 생각해 냄.
☆☆☆
명사
🌏 MEMORY: The act of not forgetting or recalling past figures, facts, knowledge or experiences. -
ㄱㅇ (
기온
)
: 대기의 온도.
☆☆☆
명사
🌏 AIR TEMPERATURE: Atmospheric temperature. -
ㄱㅇ (
길이
)
: 무엇의 한쪽 끝에서 다른 쪽 끝까지의 거리.
☆☆☆
명사
🌏 LENGTH; DISTANCE: The distance from one end of something to the other end.
• 시간 표현하기 (82) • 감정, 기분 표현하기 (191) • 건강 (155) • 공연과 감상 (52) • 종교 (43) • 사회 제도 (78) • 음식 주문하기 (132) • 보건과 의료 (204) • 문화 비교하기 (47) • 집 구하기 (159) • 전화하기 (15) • 법 (42) • 개인 정보 교환하기 (46) • 학교생활 (208) • 가족 행사 (57) • 병원 이용하기 (10) • 실수담 말하기 (19) • 건축 (43) • 공공 기관 이용하기(도서관) (8) • 문제 해결하기(분실 및 고장) (28) • 음식 설명하기 (78) • 공공 기관 이용하기(출입국 관리 사무소) (2) • 소개하기(가족 소개) (41) • 외양 (97) • 위치 표현하기 (70) • 영화 보기 (8) • 공공 기관 이용하기(우체국) (8) • 외모 표현하기 (105) • 취미 (103) • 한국 생활 (16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