#마음 에 관한 한자 모두 496

  • 悅豫且康 획순 悅豫且康(열예차강) : 이상(以上)과 같이 마음 편히 즐기고 살면 단란한 가정(家庭)임.
    悅: 기쁠 豫: 미리 且: 康: 편안할

  • 畵虎難畵骨知人未知心 획순 畵虎難畵骨知人未知心(화호난화골지인미지심) : 호랑이를 그리되 뼈를 그리기 어렵고, 사람을 알되 마음까지 알기는 어려움.
    畵: 그림 虎: 難: 어려울 畵: 그림 骨: 知: 人: 사람 未: 아닐 知: 心: 마음

  • 狼子野心 획순 狼子野心(랑자야심) : (1)이리는 본래의 야성이 있어 좀처럼 길들여지지 아니한다는 뜻으로, 신의가 없는 사람은 쉽게 교화할 수 없음을 이르는 말. (2)‘낭자야심’의 북한어.
    子: 아들 野: 心: 마음

  • 修己治人 획순 修己治人(수기치인) : 자신의 몸과 마음을 닦은 후에 남을 다스림.
    修: 닦을 己: 治: 다스릴 人: 사람

  • 蛇心佛口 획순 蛇心佛口(사심불구) : 뱀의 마음에 부처의 입이라는 뜻으로, 속으로는 간악한 마음을 품고 있으면서 입으로는 착한 말을 하는 행동이나 그런 행동을 하는 사람을 이르는 말.
    蛇: 心: 마음 佛: 부처 口:

  • 愼終如始(신종여시) : 끝을 신중하게 하는 것을 마치 처음 같이 한다는 뜻으로, 일의 종말(終末)에 이르러서도 처음과 같이 마음을 늦추지 않고 애쓴다는 의미.
    愼: 삼갈 終: 끝날 如: 같을 始: 처음

  • 忠義之心(충의지심) : 충성스럽고 절의가 곧은 마음.
    忠: 충성 義: 옳을 之: 心: 마음

  • 行道遲遲(행도지지) : 길을 걷는 걸음이 더디고 더디다는 뜻으로, 마음에 근심과 슬픔이 있음을 이르는 말.
    行: 道: 遲: 늦을 遲: 늦을

  • 同心之言(동심지언) : 마음을 합친 말이라는 뜻으로, 서로 마음을 합치시킨 사람들의 언행은 그 향기가 난초와도 같다는 의미.
    同: 한가지 心: 마음 之: 言: 말씀

  • 隱居放言(은거방언) : 은거하며 살면서 마음속에 품고 있는 생각을 털어놓음. ≪논어≫의 <미자편(微子篇)>에 나오는 말이다.
    隱: 숨을 居: 있을 放: 놓을 言: 말씀

  • 一片丹心(일편단심) : 한 조각의 붉은 마음이라는 뜻으로, 진심에서 우러나오는 변치 아니하는 마음을 이르는 말.
    一: 片: 조각 丹: 붉을 心: 마음

  • 剛腸(강장) : 굳센 창자라는 뜻으로, 굳세고 굽히지 않는 마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.
    剛: 굳셀 腸: 창자

  • 自屈之心(자굴지심) : 스스로 자기를 굽히는 마음.
    自: 스스로 屈: 굽을 之: 心: 마음

  • 恒産恒心(항산항심) : 일정(一定)한 생산(生産)이 있으면 마음이 변(變)치 않는다는 뜻으로, 일정(一定)한 직업(職業)과 재산(財産)을 가진 자는 마음에 그만 큼 여유(餘裕)가 있으나, 그렇지 않은 자는 정신적(精神的)으로 늘 불안정(不安定)하여 하찮은 일에도 동요함을 이르는 말.
    恒: 항상 産: 낳을 恒: 항상 心: 마음

  • 求田問舍(구전문사) : 자기가 부칠 논밭이나 집을 구하는 데만 마음을 쓴다는 뜻으로, 원대한 큰 뜻을 지니지 못함을 이르는 말.
    求: 구할 田: 問: 물을 舍:

  • 福至心靈(복지심령) : 복이 이르면 마음도 영묘해진다는 뜻으로, 행복이 찾아 올 때는 정신도 영명(靈明)해 진다는 의미.
    福: 至: 이를 心: 마음 靈: 신령

  • 落月屋梁(낙월옥량) : 밤에 벗의 꿈을 꾸고 깨 보니 지는 달이 지붕을 비추고 있다는 뜻에서, 벗을 생각하는 마음이 간절함을 이르는 말.
    月: 屋: 梁: 들보

  • 筆端不窘束(필단불군속) : 붓끝이 묶여 움직이지 못하지 않는다는 뜻으로, 붓을 마음대로 움직이는 것처럼 문장 따위를 거침없이 짓는 것을 이르는 말.
    筆: 端: 바를 不: 아니 窘: 막힐 束: 묶을

  • 滿心歡喜(만심환희) : 만족하여 아주 기뻐함.
    滿: 心: 마음 歡: 기뻐할 喜: 기쁠

  • 如坐針席(여좌침석) : 바늘방석에 앉은 것 같다는 뜻으로, 몹시 거북하고 불안함을 이르는 말.
    如: 같을 坐: 앉을 針: 바늘 席: 자리

  • 節儉之心(절검지심) : 절약하고 검소하게 생활하는 마음.
    節: 마디 儉: 검소할 之: 心: 마음

  • 傷弓之鳥(상궁지조) : 한 번 화살에 맞은 새는 구부러진 나무만 보아도 놀란다는 뜻으로, 한 번 혼이 난 일로 늘 의심과 두려운 마음을 품는 것을 이르는 말.
    傷: 다칠 弓: 之: 鳥:

  • 好心好報(호심호보) : 좋은 마음에 좋은 보답이라는 뜻으로, 착한 마음을 쓰면 좋은 갚음을 받는다는 의미.
    好: 좋을 心: 마음 好: 좋을 報: 갚을

  • 靑雲之志(청운지지) : 높은 지위에 오르고자 하는 욕망.
    靑: 푸를 雲: 구름 之: 志:

  • 恬而不知怪(염이부지괴) : 마음이 태평하여 평범히 보아 넘기거나 조금도 이상하게 여기지 아니함.
    而: 말 이을 不: 아닌가 知: 怪: 기이할

  • 倚門而望(의문이망) : 어머니가 대문에 기대어 서서 자식이 돌아오기를 기다림. 또는 그런 어머니의 마음.
    倚: 의지할 門: 而: 말 이을 望: 바랄

  • 忠肝義膽(충간의담) : 충성스러운 마음과 의로운 용기를 아울러 이르는 말.
    忠: 충성 肝: 義: 옳을 膽: 쓸개

  • 人之常情(인지상정) : 사람이면 누구나 가지는 보통의 마음.
    人: 사람 之: 常: 항상 情:

  • 豁然大悟(활연대오) : 마음이 활짝 열리듯이 크게 깨달음을 얻는 일.
    豁: 뚫린 골 然: 그러할 大: 悟: 깨달을

  • 師心自用(사심자용) : 마음을 스승으로 삼고 스스로 쓴다는 뜻으로, 자기가 생각하는 일은 다 옳다 하여 그대로만 하고 남의 말은 귀기울이지 않는다는 의미.
    師: 스승 心: 마음 自: 스스로 用:

  • 活殺自在(활살자재) : 살리고 죽임을 마음대로 할 수 있음.
    活: 殺: 죽일 自: 스스로 在: 있을

  • 表裏一體(표리일체) : 안팎이 한 덩어리가 된다는 뜻으로, 두 가지 사물의 관계가 밀접하게 됨을 이르는 말.
    表: 裏: 一: 體:

  • 不敢生心(불감생심) : 힘에 부쳐서 감히 할 생각을 내지 못함.
    不: 아니 敢: 감히 生: 心: 마음

  • 赤子之心(적자지심) : 죄악에 물들지 아니하고 순수하며 거짓이 없는 마음.
    赤: 붉을 子: 아들 之: 心: 마음

  • 犬馬之心(견마지심) : 개나 말이 주인을 위하는 마음이라는 뜻으로, 신하나 백성이 임금이나 나라에 충성하는 마음을 낮추어 이르는 말.
    犬: 馬: 之: 心: 마음

  • 盡忠報國(진충보국) : 충성을 다하여서 나라의 은혜를 갚음.
    盡: 다할 忠: 충성 報: 갚을 國: 나라

  • 石心鐵腸(석심철장) : 돌 심장과 쇠 창자라는 뜻으로, 단단한 돌 같은 마음과 쇠 같은 창자처럼 지조가 굳음을 비유하는 말.
    石: 心: 마음 鐵: 腸: 창자

  • 切齒腐心(절치부심) : 몹시 분하여 이를 갈며 속을 썩임.
    切: 끊을 齒: 腐: 썩을 心: 마음

  • 一心同體(일심동체) : 한마음 한몸이라는 뜻으로, 서로 굳게 결합함을 이르는 말.
    一: 心: 마음 同: 한가지 體:

  • 山間僻村(산간벽촌) : 구석지고 후미진 산골의 마을.
    山: 間: 僻: 후미질 村: 마을

  • 內疏外親(내소외친) : 속으로는 멀리하면서 겉으로는 친한 체함.
    內: 疏: 트일 外: 바깥 親: 친할

  • 低首下心(저수하심) : 머리를 숙이고 마음을 억누른다는 뜻으로, 상대에게 굴복(屈服)함을 의미하는 말.
    低: 낮을 首: 머리 下: 아래 心: 마음

  • 輕薄浮虛(경박부허) : 말하고 행동하는 것이 신중하지 못하고 가벼움.
    輕: 가벼울 薄: 엷을 浮: 虛:

  • 讀書三昧(독서삼매) : 다른 생각은 전혀 아니 하고 오직 책 읽기에만 골몰하는 경지.
    讀: 읽을 書: 三: 昧: 어두울

  • 白首之心(백수지심) : 늙은이의 마음.
    白: 首: 머리 之: 心: 마음

  • 意在筆先(의제필선) : 뜻이 붓 앞에 있다는 뜻으로, 써 놓은 글씨에서 쓴 이의 마음을 살필 수 있음을 이르는 말.
    意: 筆: 先: 먼저

  • 倚閭之情(의려지정) : 자녀나 배우자가 돌아오기를 초조하게 기다리는 마음.
    倚: 의지할 閭: 이문 之: 情:

  • 言身之文(언신지문) : 말은 몸의 문채라는 뜻으로, 말은 그 사람의 인격과 심정을 나타내는 문채라는 의미로 사용되거나 말은 마음의 문장이라는 의미로 표현됨.
    言: 말씀 身: 之: 文: 글월

  • 身窮心不窮(신궁심불궁) : 몸은 궁해도 마음은 궁하지 않다는 뜻으로, 어려운 처지나 늙었다 하더라도 마음은 언제나 만족한다는 의미.
    身: 窮: 다할 心: 마음 不: 아니 窮: 다할

  • 婦人之仁(부인지인) : (1)여자가 지니는 좁은 소견의 인정. (2)하찮은 인정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.
    婦: 며느리 人: 사람 之: 仁: 어질

  • 居敬窮理(거경궁리) : 주자학에서 중시하는, 학문 수양의 두 가지 방법. 거경은 내적 수양법으로 항상 몸과 마음을 삼가서 바르게 가지는 일이고, 궁리는 외적 수양법으로 널리 사물의 이치를 궁구하여 정확한 지식을 얻는 일이다.
    居: 있을 敬: 공경 窮: 다할 理: 다스릴

  • 淵澄取暎(연징취영) : 못이 맑아서 비치니, 군자(君子)의 마음을 말한 것임.
    淵: 澄: 맑을 取: 취할 暎: 비칠

  • 貌合心離(모합심리) : 교제(交際)하는 데 겉으로만 친(親)한 척할 뿐이고, 마음은 딴 데 있음.
    貌: 얼굴 合: 합할 心: 마음 離: 떠날

  • 面從腹背(면종복배) : 겉으로는 복종하는 체하면서 내심으로는 배반함.
    面: 從: 좇을 腹: 背:

  • 悲憤慷慨(비분강개) : 슬프고 분하여 의분이 북받침.
    悲: 슬플 憤: 결낼 慷: 강개할 慨: 분개할

  • 刻苦勉勵(각고면려) : 어떤 일에 고생을 무릅쓰고 몸과 마음을 다하여, 무척 애를 쓰면서 부지런히 노력함.
    刻: 새길 苦: 勉: 힘쓸 勵: 힘쓸

  • 虛氣平心(허기평심) : 기(氣)를 가라앉히고 마음을 편안하게 가짐.
    虛: 氣: 기운 平: 평평할 心: 마음

  • 前後不計(전후불계) : 오직 한 가지 일에만 마음을 돌리고 앞뒤 사정을 헤아리지 아니함.
    前: 後: 不: 아니 計:

  • 讀書亡羊(독서망양) : 글을 읽는 데 정신이 팔려서 먹이고 있던 양을 잃었다는 뜻으로, 하는 일에는 뜻이 없고 다른 생각만 하다가 낭패를 봄을 이르는 말.
    讀: 읽을 書: 亡: 잃을 羊:

  • 死不顚目(사부전목) : 죽을 때에도 눈을 감지 못한다는 뜻으로, 마음에 맺히고 근심이 되어 마음 놓고 편히 죽지 못함을 이르는 말.
    死: 죽을 不: 아닌가 顚: 넘어질 目:

  • 無想無念(무상무념) : 모든 생각을 떠나 마음이 빈 상태.
    無: 없을 想: 생각 無: 없을 念: 생각

  • 如臂使指(여비사지) : 팔이 손가락을 부리듯이 한다는 뜻으로, 마음대로 사람을 부림을 비유하는 말.
    如: 같을 臂: 使: 부릴 指: 손가락

  • 見聞覺知(견문각지) : 눈으로 빛을 보고, 귀로 소리를 듣고, 코ㆍ혀ㆍ몸으로 냄새ㆍ맛ㆍ촉감을 감각하고, 뜻으로 법을 아는 육식(六識) 작용. 외경을 식별ㆍ인식하는 마음의 작용을 이르는 말이다.
    見: 聞: 들을 覺: 깨달을 知:

  • 風波之民(풍파지민) : 바람과 물결 같은 백성이라는 뜻으로, 마음이 동요(動搖) 되기 쉬운 백성이나, 마음이 동요되기 쉬운 사람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.
    風: 바람 波: 물결 之: 民: 백성

  • 晴雲秋月(청운추월) : 갠 하늘의 구름과 가을의 달이라는 뜻으로, 가슴 속이 맑고 깨끗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.
    晴: 雲: 구름 秋: 가을 月:

  • 蓬頭垢面(봉두구면) : 흐트러진 머리와 때 묻은 얼굴이라는 뜻으로, 성질이 털털하여 외양에 개의하지 아니함을 이르는 말.
    蓬: 頭: 머리 垢: 面:

  • 虎狼之心(호랑지심) : 범과 이리의 마음이라는 뜻으로, 사납고 모질어서 자비롭지 못한 마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.
    虎: 狼: 이리 之: 心: 마음

  • 淸廉潔白(청렴결백) : 마음이 맑고 깨끗하며 탐욕이 없음.
    淸: 맑을 廉: 청렴 潔: 깨끗할 白:

  • 子母之心(자모지심) : 자애(慈愛)로운 어머니의 마음.
    子: 아들 母: 어미 之: 心: 마음

  • 錦心繡口(금심수구) : 비단같이 아름다운 생각과 수놓은 듯이 아름다운 말이라는 뜻으로, 글을 짓는 재주가 뛰어난 사람을 칭찬하여 이르는 말.
    錦: 비단 心: 마음 繡: 口:

  • 有心故造(유심고조) : 마음이 있어 일부러 만든다는 뜻으로, 남의 다리를 잡아당기거나 쓰러뜨리려고 음모를 꾀하고 일부러 일을 벌인다는 의미.
    有: 있을 心: 마음 故: 造: 지을

  • 面譽不忠(면예불충) : 면전에서 남을 칭찬하는 사람은 정성스러운 마음이 적음.
    面: 譽: 기릴 不: 아니 忠: 충성

  • 意氣投合(의기투합) : 마음이나 뜻이 서로 맞음.
    意: 氣: 기운 投: 던질 合: 합할

  • 伐性之斧(벌성지부) : 인성(人性)을 베는 도끼라는 뜻으로, 여색에 빠지는 일을 이르는 말.
    伐: 性: 성품 之: 斧: 도끼

  • 陟岵之情(척호지정) : 고향에 있는 부모를 그리워하는 마음.
    陟: 오를 岵: 之: 情:

  • 靑眼視(청안시) : 남을 달갑게 여겨 좋은 마음으로 봄.
    靑: 푸를 眼: 視:

  • 泰然自若(태연자약) : 마음에 어떠한 충동을 받아도 움직임이 없이 천연스러움.
    泰: 然: 그러할 自: 스스로 若: 같을

  • 狗馬之心(구마지심) : 개나 말이 주인에 대하여 가지는 충성심이란 뜻으로, 자기의 진심을 낮추어 이르는 말.
    狗: 馬: 之: 心: 마음

  • 安富恤窮(안부휼궁) : 부자(富者)의 마음을 편안(便安)하게 하고, 빈자를 구(救)하여 물품(物品)을 베풀어 줌.
    安: 편안할 富: 가멸 恤: 구휼할 窮: 다할

  • 指鹿爲馬(지록위마) : (1)윗사람을 농락하여 권세를 마음대로 함을 이르는 말. 중국 진(秦)나라의 조고(趙高)가 자신의 권세를 시험하여 보고자 황제 호해(胡亥)에게 사슴을 가리키며 말이라고 한 데서 유래한다. (2)모순된 것을 끝까지 우겨서 남을 속이려는 짓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.
    指: 손가락 鹿: 사슴 爲: 馬:

  • 悔改之心(회개지심) : 잘못을 뉘우치고 고치려는 마음.
    悔: 뉘우칠 改: 고칠 之: 心: 마음

  • 操心操心(조심조심) : 잘못이나 실수가 없도록 말이나 행동에 매우 마음을 쓰는 모양.
    操: 잡을 心: 마음 操: 잡을 心: 마음

  • 花發多風雨(화발다풍우) : 꽃이 피면 비바람이 많다는 뜻으로, 꽃샘추위의 비바람이 꽃을 떨어뜨리듯이, 인간 세상의 만사가 마음대로 되지 않음을 이르는 말.
    花: 發: 多: 많을 風: 바람 雨:

  • 面壁參禪(면벽참선) : 벽을 향하고 앉아 참선 수행을 함. 또는 그런 일.
    面: 壁: 參: 참여할 禪: 봉선

  • 赤心(적심) : 거짓 없는 참된 마음.
    赤: 붉을 心: 마음

  • 豹變(표변) : (1)마음, 행동 따위가 갑작스럽게 달라짐. 또는 마음, 행동 따위를 갑작스럽게 바꿈. (2)표범의 무늬가 가을이 되면 아름다워진다는 뜻으로, 허물을 고쳐 말과 행동이 뚜렷이 달라짐을 이르는 말. ≪주역≫의 <혁괘(革卦)>에 나오는 말이다.
    豹: 표범 變: 변할

  • 明明之志(명명지지) : 마음 속에 깊이 간직하여 외부(外部)에 드러내지 않고 힘쓰는 뜻.
    明: 밝을 明: 밝을 之: 志:

  • 適口之餠(적구지병) : 입에 맞는 떡.
    適: 口: 之: 餠:

  • 轉日回天(전일회천) : 해를 돌리고 하늘을 돌게 한다는 뜻으로, 임금의 마음을 뒤집어 돌아서게 함을 이르는 말.
    轉: 구를 日: 回: 天: 하늘

  • 勞心焦思(로심초사) : (1)몹시 마음을 쓰며 애를 태움. (2)‘노심초사’의 북한어.
    心: 마음 焦: 그스를 思: 생각할

  • 白頭如新(백두여신) : 머리가 백발이 되도록 오래 사귀었어도 서로 마음을 깊이 알지 못하면 새로 사귄 사람과 다름이 없다는 뜻으로, 오랫동안 사귀어 온 사이지만 서로 간의 정이 두텁지 못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.
    白: 頭: 머리 如: 같을 新:

  • 無我夢中(무아몽중) : 자기를 모르고 꿈속에 있는 것 같다는 뜻으로, 마음이 외곬으로 쏠리거나 넋을 잃어 자기도 모르게 행동하는 지경을 이르는 말.
    無: 없을 我: 夢: 中: 가운데

  • 鐵心石腸(철심석장) : 굳센 의지나 지조가 있는 마음.
    鐵: 心: 마음 石: 腸: 창자

  • 問鼎輕重(문정경중) : 솥의 무게를 묻는다는 뜻으로, 왕좌를 노리거나 상대방의 실력을 떠보는 마음을 이르는 말.
    問: 물을 鼎: 輕: 가벼울 重: 무거울

  • 燕賀(연하) : 제비가 사람이 집을 짓는 것을 축하하며 기뻐한다는 뜻으로, 남이 집을 지은 것을 축하하는 말.
    燕: 제비 賀: 하례할

  • 落膽喪魂(낙담상혼) : (1)‘낙담상혼’의 북한어. (2)몹시 놀라거나 마음이 상해서 넋을 잃음.
    膽: 쓸개 喪: 복입을 魂:

  • 秋毫不犯(추호불범) : 매우 청렴하여 남의 것을 조금도 건드리지 아니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.
    秋: 가을 毫: 가는 털 不: 아니 犯: 범할

  • 戮力同心(육력동심) : 힘을 합하고 마음을 같이한다는 뜻으로, 마음을 합쳐서 힘을 하나로 한다는 것.
    力: 同: 한가지 心: 마음

  • 感應道交(감응도교) : 불심(佛心)이 중생의 마음 가운데 자리 잡고 중생이 이와 통하여 서로 합쳐지는 일.
    感: 느낄 應: 응할 道: 交: 사귈

  • 三從之托(삼종지탁) : 예전에, 여자가 몸이나 마음을 의지하여 맡길 세 가지 대상을 이르던 말. 어려서는 아버지를, 결혼해서는 남편을, 남편이 죽은 후에는 자식을 따라야 하였다.
    三: 從: 좇을 之: 托:

1 3 4 5
#자식 104 #재능 61 #사이 200 #학문 107 #형용 67 #집안 93 #세상 339 #자신 208 #정도 153 #신하 62 #동안 70 #백성 105 #여자 101 #천하 94 #이익 89 #근본 66 #사람 1461 #재앙 64 #관계 90 #방법 59 #군자 56 #생각 236 #어머니 72 #소리 96 #노력 69 #서로 71 #재주 82 #때문 58 #가난 90 #어려움 105

초성이 같은 단어들

(총 652개) : 마아, 마안, 마알, 마앙, 마애, 마야, 마약, 마어, 마엠, 마역, 마연, 마염, 마엽, 마영, 마예, 마온, 마옴, 마왕, 마욜, 마용, 마울, 마웃, 마웉, 마원, 마위, 마유, 마육, 마융, 마은, 마을, 마음, 마의, 마이, 마인, 마일, 마임, 막압, 막야, 막엄, 막역, 막연, 막영, 막옥, 막옷, 막원, 막윷, 막이, 막일, 막잎, 만아, 만악, 만안, 만앙, 만앵, 만야, 만약, 만양, 만어, 만억, 만언, 만업, 만엔, 만역, 만연, 만열, 만염, 만엽, 만영, 만왕, 만외, 만요, 만용, 만운, 만원, 만월, 만위, 만유, 만윤, 만음, 만의, 만이, 만인, 만일, 만입, 많이, 맏아, 맏이, 말액, 말약, 말언, 말엽, 말예, 말왐, 말요, 말운, 말월, 말위, 말은, 말음, 말의 .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