# 에 관한 한자 모두 1,468

  • 朋友責善 획순 朋友責善(붕우책선) : 벗끼리 서로 좋은 을 하도록 권함.
    朋: 友: 責: 꾸짖을 善: 착할

  • 賣子 획순 賣子(매자) : (1)아이를 파는 행위. (2)자손이 귀하거나 자식이 있어도 허약하여 키우기 힘든 집에서, 아이의 장수(長壽)를 비는 뜻으로 불상, 큰 바위, 나무 따위에 장수에 관한 글자를 새기는 .
    賣: 子: 아들

  • 刻骨痛恨 획순 刻骨痛恨(각골통한) : 뼈에 사무칠 만큼 원통하고 한스러움. 또는 그런 .
    刻: 새길 骨: 痛: 아플 恨: 한할

  • 社稷爲墟 획순 社稷爲墟(사직위허) : 사직이 폐허가 된다는 뜻으로, 나라가 망함을 이르는 말.
    社: 토지신 稷: 기장 爲: 墟: 언덕

  • 天高廳卑 획순 天高廳卑(천고청비) : 하늘은 높아도 능히 낮은 곳의 을 모두 알아들음.
    天: 하늘 高: 높을 廳: 관청 卑: 낮을

  • 雕朽(조후) : 썩은 나무에 조각한다는 뜻으로, 별 쓸모가 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.
    雕: 독수리 朽: 썩을

  • 黃口添丁(황구첨정) : 조선(朝鮮) 말(末) 때, 젖먹이를 군적(軍籍)에 올려 군포(軍布)를 징수(徵收)하던 .
    黃: 누를 口: 添: 더할 丁: 넷째 천간

  • 適材適所(적재적소) : 알맞은 인재를 알맞은 자리에 씀. 또는 그런 자리.
    適: 材: 재목 適: 所:

  • 大器晩成(대기만성) : 큰 그릇을 만드는 데는 시간이 오래 걸린다는 뜻으로, 크게 될 사람은 늦게 이루어짐을 이르는 말.
    大: 器: 그릇 晩: 늦을 成: 이룰

  • 風紀紊亂(풍기문란) : 풍속이나 규범 따위를 어기고 어지럽히는 .
    風: 바람 紀: 벼리 紊: 어지러울 亂: 어지러울

  • 奄成老人(엄성노인) : 갑자기 노인이 된다는 뜻으로, 빨리 늙음을 이르는 말.
    奄: 가릴 成: 이룰 人: 사람

  • 熟設次知(숙설차지) : 숙설청의 을 맡아보던 사람.
    熟: 익을 設: 베풀 次: 버금 知:

  • 禮義廉恥(예의염치) : 예절, 의리, 청렴, 부끄러움을 아는 태도.
    義: 옳을 恥: 부끄러워할

  • 紅粉靑蛾(홍분청아) : 홍분은 연지와 분은, 청아는 청색(靑色)으로 아미(蛾眉)를 그리는 , 곧 미인(美人)을 형용(形容)해 이르는 말.
    紅: 붉을 粉: 가루 靑: 푸를 蛾: 나방

  • 以死爲限(이사위한) : 죽음으로써 한정(限定)을 삼는다는 뜻으로, 죽음을 각오하고 어떤 을 함을 이르는 말.
    以: 死: 죽을 爲: 限: 한정

  • 班班可考(반반가고) : 의 근거가 분명함.
    班: 나눌 班: 나눌 可: 옳을 考: 상고할

  • 平氣虛心(평기허심) : 평온한 기운과 거리낌 없는 마음이라는 뜻으로, 마음이 평온(平溫)하고 걸리는 이 없음을 이르는 말.
    平: 평평할 氣: 기운 虛: 心: 마음

  • 經天緯地(경천위지) : 온 천하를 조직적으로 잘 계획하여 다스림.
    經: 지날 天: 하늘 緯: 地:

  • 有志之士(유지지사) : 어떤 에 뜻이 있거나 관심이 있는 사람.
    有: 있을 志: 之: 士: 선비

  • 杯中蛇影(배중사영) : 잔 속의 뱀 그림자라는 뜻으로, 공연한 의심으로 고민하는 의 의미.
    杯: 中: 가운데 蛇: 影: 그림자

  • 後悔莫及(후회막급) : 이미 잘못된 뒤에 아무리 후회하여도 다시 어찌할 수가 없음.
    後: 悔: 뉘우칠 莫: 없을 及: 미칠

  • 北山之感(북산지감) : 북산에서 느끼는 감회(感懷)라는 뜻으로, 나라 에 힘쓰느라 부모(父母) 봉양(奉養)을 제대로 못한 것을 슬퍼하는 마음을 말함.
    北: 북녘 山: 之: 感: 느낄

  • 落心千萬(낙심천만) : (1)‘낙심천만’의 북한어. (2)바라던 을 이루지 못하여 마음이 몹시 상함.
    心: 마음 千: 일천 萬: 일만

  • 芒刺在背(망자재배) : 까끄라기와 가시를 등에 지고 있다는 뜻으로, 마음이 아주 조마조마하고 편하지 아니함을 이르는 말.
    芒: 까끄라기 刺: 찌를 在: 있을 背:

  • 六尺之孤(육척지고) : (1)15세 정도의 고아. 척은 두 살 반에 해당한다. (2)나이가 젊은 후계자.
    尺: 之: 孤: 외로울

  • 大材小用(대재소용) : 큰 재목(材木)이 작게 쓰이고 있다는 뜻으로, (1) 사람을 부리는 데 있어서 제 능력(能力)을 다 발휘(發揮)할 수 있는 조건(條件)이 안됨 (2) 역설적(逆說的)으로 큰 재목(材木)은 큰 에 쓰여야 한다는 말(3) 정부나 조직(組織)에서 사람을 쓰는 법이 잘못되었음을 가리킴.
    大: 材: 재목 小: 작을 用:

  • 惡木盜泉(악목도천) : 더워도 나쁜 나무 그늘에서는 쉬지 않으며, 목이 말라도 도(盜)란 나쁜 이름이 붙은 샘물은 마시지 않는다는 뜻으로, 아무리 곤란(困難)해도 부끄러운 은 하지 않음의 비유(比喩).
    惡: 악할 木: 나무 盜: 도둑 泉:

  • 前鑑昭然(전감소연) : 거울에 비춰 보는 것처럼 앞으로의 이 아주 분명함.
    前: 鑑: 거울 昭: 밝을 然: 그러할

  • 暗中工作(암중공작) : 남 모르게 을 꾸밈. 또는 그 .
    暗: 어두울 中: 가운데 工: 장인 作: 지을

  • 納錢免賤(납전면천) : 조선 시대에, 돈을 치르고 노비의 신분에서 벗어나던 .
    納: 들일 錢: 免: 벗어날 賤: 천할

  • 信否兩難(신부양난) : 믿기도 힘들고 아니 믿기도 어려움.
    信: 믿을 否: 아닐 難: 어려울

  • 見蚊拔劍(견문발검) : 모기를 보고 칼을 뺀다는 뜻으로, 사소한 에 크게 성내어 덤빔을 이르는 말.
    見: 蚊: 모기 拔: 劍:

  • 氷炭相愛(빙탄상애) : 얼음과 숯불이 서로 사랑한다는 뜻으로, 세상에 있을 수 없는 이나, 얼음과 숯이 서로 본질을 보전한다는 의미에서 친구끼리 서로 훈계해 나감을 비유하기도 함.
    氷: 얼음 炭: 相: 서로 愛: 사랑

  • 與世同歸(여세동귀) : 천도교에서, 온 세상의 귀착점이 같은 .
    與: 世: 인간 同: 한가지 歸: 돌아갈

  • 兩舌(양설) : (1)‘양설’의 북한어. (2)십악의 하나. 서로에게 다른 말을 하여 이간질함을 이른다.
    舌:

  • 虎穴虎子(호혈호자) : 범의 굴에 들어가야 범의 새끼를 잡는다는 뜻으로, 무슨 이든지 큰 위험(危險)을 각오(覺悟)하지 않으면 큰 수확(收穫)을 얻지 못함을 비유(比喩)해 이르는 말.
    虎: 穴: 구멍 虎: 子: 아들

  • 此將奈何(차장내하) : ‘이를 장차 어찌할까?’라는 뜻으로, 어려운 을 당하여 그 처리가 막연할 때 한탄하며 쓰이는 말.
    此: 將: 장수 奈: 어찌 何: 어찌

  • 張飛軍令(장비군령) : 장비의 군대 명령이라는 뜻으로, 삼국지에 등장하는 성미 급한 장비의 군령처럼 별안간 당하는 이나 졸지에 몹시 서두르는 을 이르는 말.
    張: 베풀 飛: 軍: 군사 令: 하여금

  • 愚者一得(우자일득) : 어리석은 사람이라도 잘하는 것이 있음.
    愚: 어리석을 者: 一: 得: 얻을

  • 加上尊號(가상존호) : 임금이나 왕후의 존호(尊號)에 다시 더 존호를 붙이던 . 또는 그렇게 붙인 존호.
    加: 더할 上: 尊: 높을 號: 부를

  • 畵龍類狗(화룡유구) : 큰 을 하려다가 그 을 이루지 못할 때는 모든 것이 실패(失敗)로 돌아가 한 가지의 작은 도 이룰 수가 없음을 비유(比喩)해 이르는 말.
    畵: 그림 龍: 狗:

  • 背水陣(배수진) : (1)강이나 바다를 등지고 치는 진. 중국 한(漢)나라의 한신이 강을 등지고 진을 쳐서 병사들이 물러서지 못하고 힘을 다하여 싸우도록 하여 조(趙)나라의 군사를 물리쳤다는 데서 유래한다. (2)어떤 을 성취하기 위하여 더 이상 물러설 수 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.
    背: 水: 陣: 진칠

  • 全力投球(전력투구) : (1)야구에서, 투수가 타자를 상대로 모든 힘을 기울여서 공을 던지는 . (2)모든 힘을 다 기울임.
    全: 온전할 力: 投: 던질 球: 구슬

  • 好事多魔(호사다마) : 좋은 에는 흔히 방해되는 이 많음. 또는 그런 이 많이 생김.
    好: 좋을 事: 多: 많을 魔: 마귀

  • 臨時猝辦(임시졸판) : 갑자기 당한 을 임시로 처리함.
    時: 猝: 갑자기 辦: 힘쓸

  • 二律背反(이율배반) : (1)‘이율배반’의 북한어. (2)서로 모순되어 양립할 수 없는 두 개의 명제. 칸트에 의하여 널리 쓰이게 된 용어로 세계를 인식 능력에서 독립된 완결적 전체로서 받아들 수 있을 때 이성은 필연적으로 이율배반에 빠진다고 한다.
    二: 背: 反: 돌이킬

  • 積善之家必有餘慶(적선지가필유여경) : 적선하는 집안에는 반드시 경복이 남아 있다는 뜻으로, 착한 을 계속(繼續)해서 하면 복이 자신(自身) 뿐만 아니라 자손(子孫)에까지도 미친다는 말.
    積: 쌓을 善: 착할 之: 家: 必: 반드시 有: 있을 餘: 남을 慶: 경사

  • 多發刑吏(다발형리) : 조선 시대에, 형조나 한성부에서 죄인을 잡으려고 형리에게 여러 사령을 붙여 보내던 .
    多: 많을 發: 刑: 형벌 吏: 벼슬아치

  • 數數往來(삭삭왕래) : 자주 왕래(往來)하는 .
    數: 자주 數: 자주 往: 來:

  • 登科外方(등과외방) : 과거에 급제하여 지방관에 임명되던 .
    登: 오를 科: 과정 外: 바깥 方:

  • 龜背刮毛(귀배괄모) : 거북의 등에서 털을 깎는다는 뜻으로, 불가능한 을 무리하게 하려고 함을 이르는 말.
    龜: 거북 背: 刮: 깎을 毛:

  • 生面江山(생면강산) : (1)처음으로 보는 강산. (2)처음으로 보고 듣는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.
    生: 面: 江: 山:

  • 鹿皮(녹피) : (1)‘녹피’의 북한어. (2)‘녹비’의 원말.
    皮: 가죽

  • 四面春風(사면춘풍) : 누구에게나 좋게 대하는 . 또는 그런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.
    四: 面: 春: 風: 바람

  • 無可奈何(무가내하) : 도무지 융통성이 없고 고집이 세어 어찌할 수 없음.
    無: 없을 可: 옳을 奈: 어찌 何: 어찌

  • 內相(내상) : (1)아내가 집안을 잘 다스림. 또는 그런 아내. (2)고려 시대에, 지신사(知申事)와 승선(承宣)을 아울러 이르던 말. (3)조선 시대에, 내무 대신이나 내부대신을 이르던 말. (4)부 나라에서, 내무성(內務省)의 우두머리를 이르는 말.
    內: 相: 서로

  • 明哲保身(명철보신) : 총명하고 사리에 밝아 을 잘 처리하여 자기 몸을 보존함.
    明: 밝을 哲: 밝을 保: 보전할 身:

  • 蒙塵(몽진) : 먼지를 뒤집어쓴다는 뜻으로, 임금이 난리를 피하여 안전한 곳으로 떠남.
    蒙: 입을 塵: 티끌

  • 桃園結義(도원결의) : 의형제를 맺음을 이르는 말. ≪삼국지연의≫에 나오는 말로 유비, 관우, 장비가 도원에서 의형제를 맺은 데에서 유래한다.
    桃: 복숭아나무 園: 동산 結: 맺을 義: 옳을

  • 聚蚊成雷(취문성뢰) : 모기가 모이면 우레 소리를 낸다는 뜻으로, 작은 모기도 많이 모이면 소리가 우레처럼 들리는 것 같이, 간악한 무리들이 모여 하찮은 을 과장하여 떠들어대면 작은 도 대단한 이 되는 간신배들의 참소(讒訴)가 횡행(橫行)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.
    聚: 모일 蚊: 모기 成: 이룰 雷: 우레

  • 千緖萬端(천서만단) : 천 가지 만 가지 의 실마리라는 뜻으로, 수없이 많은 의 갈피를 이르는 말.
    千: 일천 緖: 실마리 萬: 일만 端: 바를

  • 夏至(하지) : 이십사절기의 하나. 망종과 소서 사이에 들며, 양력 6월 21경으로, 북반구에서는 낮이 가장 길고 밤이 가장 짧다.
    夏: 여름 至: 이를

  • 來者可追(내자가추) : 이미 지나간 은 어쩔 수 없으나 앞으로의 을 조심하면 지금까지와 같은 잘못은 범하지 않을 수 있음을 이르는 말. ≪논어≫ <미자편(微子篇)>에 나오는 말이다.
    者: 可: 옳을 追: 쫓을

  • 寫字此是學(사지차시학) : 글자를 베끼는 것이 바로 배움이라는 뜻으로, 경건한 마음으로 글자를 베껴 쓰면 그 베껴 쓰는 자체가 이미 갈고 닦는 학문이라는 의미.
    寫: 베낄 此: 是: 옳을 學: 배울

  • 攬轡澄淸(남비징청) : 말의 고삐를 잡아 천하를 맑게 한다는 뜻으로, 관리가 되어 어지러운 정치를 새롭게 바로잡아 보겠다는 큰 뜻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.
    轡: 고삐 澄: 맑을 淸: 맑을

  • 堂狗風月(당구풍월) : 서당에서 기르는 개가 풍월을 읊는다는 뜻으로, 그 분야에 대하여 경험과 지식이 전혀 없는 사람이라도 오래 있으면 얼마간의 경험과 지식을 가짐을 이르는 말.
    堂: 狗: 風: 바람 月:

  • 七去之惡(칠거지악) : (1)예전에, 아내를 내쫓을 수 있는 이유가 되었던 곱 가지 허물. 시부모에게 불손함, 자식이 없음, 행실이 음탕함, 투기함, 몹쓸 병을 지님, 말이 지나치게 많음, 도둑질을 함 따위이다. (2)독 출생의 미국 작곡가 바의 작품. 샹젤리제의 파리 극장에서 1933년 6월 7에 초연되었다.
    七: 일곱 去: 之: 惡: 악할

  • 善敗由己(선패유기) : 성공과 실패는 자기로부터 말미암는다는 뜻으로, 의 성패는 자기 자신의 행동 여하에 달려있다는 의미.
    善: 착할 敗: 패할 由: 말미암을 己:

  • 好事不出門(호사불출문) : 좋은 은 좀처럼 세상에 알려지지 않음을 이르는 말.
    好: 좋을 事: 不: 아니 出: 門:

  • 是非之心(시비지심) : 사단(四端)의 하나. 옳고 그름을 가릴 줄 아는 마음을 이른다. 인의예지(仁義禮智) 가운데 지에서 우러나온다.
    是: 옳을 非: 아닐 之: 心: 마음

  • 紅爐上一點雪(홍로상일점설) : (1)빨갛게 달아오른 화로 위에 한 송이의 눈을 뿌리면 순식간에 녹아 없어지는 데에서, 도를 깨달아 의혹이 시에 없어짐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. (2)사욕(私慾)이나 의혹(疑惑)이 시에 꺼져 없어짐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.
    紅: 붉을 爐: 화로 上: 一: 點: 雪:

  • 眼明手快(안명수쾌) : 눈치가 빠르고 을 하는 것이 날쌤.
    眼: 明: 밝을 手: 快: 쾌할

  • 三省(삼성) : (1)매 세 번 자신을 반성함. (2)의정부, 사헌부, 의금부의 관원들이 합좌하여 패륜을 범한 죄인을 국문하던 . (3)만주 지린성 북부에 있는 개시장(開市場). 무단강과 쑹화강이 만나는 곳에 있으며 잡곡, 목재, 소가죽 따위의 집산지이다. ⇒규범 표기는 ‘싼성’이다. (4)고려 시대에, 최고의 의정 기능을 하던 세 기관. 중서성, 문하성, 상서성을 이른다. (5)중국 당나라 때에, 최고의 의정 기능을 하던 세 기관. 중서성, 문하성, 상서성을 이른다. (6)발해 때에, 최고의 의정 기능을 하던 세 기관. 중대성, 선조성, 정당성을 이른다.
    三: 省: 살필

  • 灑掃應對(쇄소응대) : 물을 뿌려 쓸고 응대한다는 뜻으로, 집 안팎을 깨끗이 거두고 웃어른의 부름이나 물음에 응하여 상대함을 이르는 말.
    灑: 뿌릴 掃: 應: 응할 對: 대답할

  • 換骨(환골) : (1)뼈대를 바꾸어 낀다는 뜻으로, 고인의 시문의 형식을 바꾸어서 그 짜임새와 수법이 먼저 것보다 잘되게 함을 이르는 말. (2)사람이 보다 나은 방향으로 변하여 전혀 딴사람처럼 됨. (3)도가(道家)에서, 인간이 속골(俗骨)을 선골(仙骨)로 바꾸어 몸에 털이 난다는 뜻으로, 신선이 되는 을 이르는 말.
    換: 바꿀 骨:

  • 剖棺斬屍(부관참시) : 죽은 뒤에 큰 죄가 드러난 사람을 극형에 처하던 . 무덤을 파고 관을 꺼내어 시체를 베거나 목을 잘라 거리에 내걸었다.
    剖: 쪼갤 棺: 斬: 屍: 주검

  • 破邪顯正(파사현정) : 사견(邪見)과 사도(邪道)를 깨고 정법(正法)을 드러내는 . 삼론종의 근본 교의이다.
    破: 깨뜨릴 邪: 간사할 顯: 나타날 正: 바를

  • 念力徹巖(염력철암) : 전념을 다해 힘을 다하면 바위도 뚫을 수 있다는 뜻으로, 무슨 을 함에 있어서 온 정력을 다하는 마음이면 무엇이나 이루지 못할 것이 없음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.
    力: 徹: 통할 巖: 바위

  • 同床異夢(동상이몽) : (1)같은 자리에 자면서 다른 꿈을 꾼다는 뜻으로, 겉으로는 같이 행동하면서도 속으로는 각각 딴생각을 하고 있음을 이르는 말. (2)겉으로는 지지하고 받드는 척하면서 속으로는 반대함을 이르는 말.
    同: 한가지 床: 異: 다를 夢:

  • 男尊女卑(남존여비) : (1)‘남존여비’의 북한어. (2)남자는 지위가 높고 귀하며, 여자는 지위가 낮고 천하다고 여기는 .
    男: 사내 尊: 높을 女: 卑: 낮을

  • 旁岐曲徑(방기곡경) : 서려 있는 계곡과 구불구불한 길이라는 뜻으로, 을 순서대로 정당하게 하지 아니하고 그릇된 수단을 써서 억지로 함을 이르는 말.
    旁: 岐: 갈림길 曲: 굽을 徑: 지름길

  • 下馬評(하마평) : 관직의 인사이동이나 관직에 임명될 후보자에 관하여 세상에 떠도는 풍설(風說). 예전에, 관리들을 태워 가지고 온 마부들이 상전들이 말에서 내려 관아에 들어가 을 보는 사이에 상전들에 대하여 서로 평하였다는 데서 유래한다.
    下: 아래 馬: 評: 꼲을

  • 三不孝(삼불효) : 세 가지의 큰 불효. 부모를 불의(不義)에 빠지게 하는 , 부모가 늙고 집이 가난하여도 벼슬하지 않는 , 자식이 없어 조상의 제사를 끊어지게 하는 을 이른다.
    三: 不: 아니 孝: 효도

  • 左袒(좌단) : 왼쪽 소매를 벗는다는 뜻으로, 남을 편들어 동의함을 이르는 말. 중국 전한(前漢) 때에, 여후(呂后)가 반란을 꾀할 때 공신 주발(周勃)이 군중(軍中)에서, 여후를 돕고자 하는 자는 오른쪽 소매를 벗고 한나라 왕실을 돕고자 하는 자는 왼쪽 소매를 벗으라고 명하자 모두 왼쪽 소매를 벗었다는 데서 유래한다. ≪사기≫의 <여후본기(呂后本紀)>에 나오는 말이다.
    左: 袒: 웃통 벗을

  • 盲龜浮木(맹귀부목) : 눈먼 거북이 우연히 뜬 나무를 붙잡았다는 뜻으로, 어려운 형편에 우연히 행운을 얻게 됨을 이르는 말.
    盲: 소경 龜: 거북 浮: 木: 나무

  • 欣欣向榮(흔흔향영) : ‘무럭무럭 무성하게 자란다’는 뜻으로, 초목이 무성하게 자라는 것처럼, 사업이나 이 번창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.
    欣: 기뻐할 欣: 기뻐할 向: 향할 榮: 영화

  • 霜降(상강) : 이십사절기의 하나. 한로(寒露)와 입동(立冬) 사이에 들며, 아침과 저녁의 기온이 내려가고, 서리가 내리기 시작할 무렵이다. 10월 23경이다.
    霜: 서리 降: 내릴

  • 煙塵千里(연진천리) : 연기와 먼지가 천리에 이른다는 뜻으로, 군마(軍馬)의 발굽에서 어나는 흙먼지가 천리까지 끊이지 않는 것처럼 온 세상이 전란으로 어지러움을 비유한 말.
    煙: 연기 塵: 티끌 千: 일천 里: 마을

  • 髮短心長(발단심장) : 늙어 머리털은 빠져 짧지만 마음은 길다는 뜻으로, 노인이 지혜가 많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.
    髮: 터럭 短: 짧을 心: 마음 長:

  • 對岸之火(대안지화) : 강 건너 불이라는 뜻으로, 어떤 이 자기에게는 아무 관계도 없다는 듯이 무관심함을 이르는 말.
    對: 대답할 岸: 언덕 之: 火:

  • 虛心平意(허심평의) : 마음을 비우고 뜻을 공평하게 한다는 뜻으로, 마음에 아무 도 생각하지 아니하고, 고요하게 있는 상태로, 애증오호(愛憎惡好)의 생각이 없고 공평무사(公平無私)한 태도를 이르는 말.
    虛: 心: 마음 平: 평평할 意:

  • 膾炙人口(회자인구) : 사람의 입에 날고기 회나 구운 고기가 맛있게 여겨진다는 뜻으로, 명성(名聲)이나 좋은 평판(評判)이 여러 사람의 입에 오르내리는 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.
    膾: 炙: 고기구울 人: 사람 口:

  • 靑天霹靂(청천벽력) : 맑게 갠 하늘에서 치는 날벼락이라는 뜻으로, 뜻밖에 어난 큰 재앙, 사고나 사건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.
    靑: 푸를 天: 하늘 霹: 벼락 靂: 벼락

  • 暮鼓晨鐘(모고신종) : 저녁의 북과 새벽의 종이라는 뜻으로, 절에서 조석(朝夕)으로 북과 종을 쳐서 시각을 알린다는 의미인데, 현대에 와서는 미묘한 말로 남을 깨우쳐 주는 의 의미로 사용됨.
    暮: 저물 鼓: 晨: 새벽 鐘:

  • 與虎謀皮(여호모피) : 호랑이와 더불어 호랑이 가죽을 벗길 것을 꾀한다는 뜻으로, 이해관계가 서로 맞지 않는 사람과 의논하면 원하는 바가 이루어지지 않음을 이르는 말.
    與: 虎: 謀: 꾀할 皮: 가죽

  • 升堂入室(승당입실) : (1)마루에 오른 다음 방으로 들어간다는 뜻으로, 에는 차례가 있음을 이르는 말. (2)학문이 점점 깊어짐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.
    升: 堂: 入: 室:

  • 逐鹿者不見山(축록자불견산) : 사슴을 쫓는 사람은 산을 보지 못한다는 뜻으로, 눈앞의 작은 에 치우치다가 다른 중요한 것을 놓치게 됨을 이르는 말.
    逐: 쫓을 鹿: 사슴 者: 不: 아니 見: 山:

  • 吳牛喘月(오우천월) : 오우가 더위를 두려워한 나머지 밤에 달이 뜨는 것을 보고도 해인가 하고 헐떡거린다는 뜻으로, 간이 작아 공연한 에 미리 겁부터 내고 허둥거리는 사람을 놀림조로 이르는 말. ≪세설신어≫의 <언어편(言語篇)>에서 유래한다.
    吳: 나라 이름 牛: 喘: 헐떡거릴 月:

  • 無物不成(무물불성) : 물질이나 돈이 없이는 아무 도 이루어지지 않음을 이르는 말.
    無: 없을 物: 만물 不: 아니 成: 이룰

  • 百尺竿頭進一步(백척간두진일보) : 백 자나 되는 높은 장대 위에 다달아 또 한걸음 더 나아간다는 뜻으로, 이미 할 수 있는 을 다한 것인 데 또 한 걸음 나아간다 함은 더욱 노력(努力)하여 위로 향한다는 말.
    百: 일백 尺: 竿: 장대 頭: 머리 進: 나아갈 一: 步: 걸을

9 10 11 13 14 15
#어머니 72 #잘못 93 #어버이 60 #목숨 58 #하늘 251 #군자 56 #천하 94 #나이 97 #경우 64 #생활 82 #경계 56 #자신 208 #사이 200 #얼굴 99 #편안 62 #백성 105 #가난 90 #방법 59 #부모 136 #사용 312 #세월 71 #소리 96 #상황 119 #은혜 70 #비유 1177 #지위 65 #재앙 64 #신하 62 #서로 71 #표현 88

초성이 같은 단어들

(총 161개) : 아, 악, 앆, 안, 않, 알, 앎, 앒, 앓, 암, 압, 앗, 았, 앙, 앛, 앜, 앝, 앞, 애, 액, 앤, 앰, 앱, 앳, 앵, 야, 약, 얀, 얄, 얍, 얏, 양, 얖, 얘, 얫, 어, 억, 언, 얼, 엄, 업, 엇, 었, 엉, 에, 엑, 엔, 엘, 엠, 엣, 엥, 여, 역, 연, 엳, 열, 엻, 염, 엽, 엿, 였, 영, 옆, 예, 옐, 옘, 옙, 옛, 옝, 오, 옥, 옦, 온, 옫, 올, 옭, 옰, 옳, 옴, 옵, 옷, 옹, 옻, 와, 왁, 완, 왇, 왈, 왑, 왓, 왕, 왜, 왝, 왠, 왬, 왯, 왱, 외, 왹, 왼 .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