# 에 관한 한자 모두 1,515

  • 亡國之音 획순 亡國之音(망국지음) : 나라를 망하게 할 음악이란 뜻으로, 저속하고 잡스러운 음악을 이르는 .
    亡: 잃을 國: 나라 之: 音: 소리

  • 前後矛盾 획순 前後矛盾(전후모순) : 앞서 한 과 뒤에 한이나 행동(行動)이 서로 일치(一致)하지 아니함.
    前: 後: 矛: 盾: 방패

  • 懸河口辯 획순 懸河口辯(현하구변) : 물이 거침없이 흐르듯 잘하는 .
    懸: 매달 河: 강 이름 口: 辯: 말 잘할

  • 春無三日晴 획순 春無三日晴(춘무삼일청) : 봄에는 사흘 맑은 날이 없다는 뜻으로, (1) 봄에 꽃필 무렵이면 비가 많이 내린다는 (2) 전(傳)하여 좋은 일에는 어려움도 많이 따름을 이르는 .
    春: 無: 없을 三: 日: 晴:

  • 巖牆之下 획순 巖牆之下(암장지하) : 돌담 밑이라는 뜻으로, 매우 위험한 곳을 이르는 .
    巖: 바위 牆: 之: 下: 아래

  • 口如懸河(구여현하) : 이 흐르는 물과 같다는 뜻으로, 흐르는 강물처럼 을 거침없이 잘한다는 의미.
    口: 如: 같을 懸: 매달 河: 강 이름

  • 爭魚者濡(쟁어자유) : 고기를 잡으려는 사람은 물에 젖는다는 뜻으로, 이익(利益)을 얻으려고 다투는 사람은 언제나 고생(苦生)을 면치 못함을 비유(比喩)하는 .
    爭: 다툴 魚: 고기 者: 濡: 젖을

  • 言身之文(언신지문) : 은 몸의 문채라는 뜻으로, 은 그 사람의 인격과 심정을 나타내는 문채라는 의미로 사용되거나 은 마음의 문장이라는 의미로 표현됨.
    言: 말씀 身: 之: 文: 글월

  • 戒足(계족) : ‘계’를 달리 이르는 . 사람 몸의 발과 같이 계가 불자를 열반에 이르게 한다는 뜻이다.
    戒: 경계할 足:

  • 緘口無言(함구무언) : 입을 다물고 아무 도 하지 아니함.
    緘: 봉할 口: 無: 없을 言: 말씀

  • 一瀉千里(일사천리) : 강물이 빨리 흘러 천 리를 간다는 뜻으로, 어떤 일이 거침없이 빨리 진행됨을 이르는 .
    一: 瀉: 쏟을 千: 일천 里: 마을

  • 魚遊釜中(어유부중) : 물고기가 솥 안에서 논다는 뜻으로, 지금은 살아 있기는 하여도 생명이 얼마 남지 아니하였음을 이르는 .
    魚: 고기 遊: 釜: 가마 中: 가운데

  • 末大必折(말대필절) : 나무 가지가 너무 커지면 반드시 줄기가 부러진다는 뜻으로, 자손(子孫)이 강성해지면 종가(宗家)를 망하게 한다는 의미. 또는 변방(邊方)의 힘이 강해지면 나라가 위태하다는 의미도로 사용됨.
    末: 大: 必: 반드시 折: 꺾을

  • 塗炭之苦(도탄지고) : 진구렁에 빠지고 숯불에 타는 괴로움을 이르는 . ≪서경≫의 <중훼지고편(仲虺之誥篇)>에 나오는 이다.
    塗: 진흙 炭: 之: 苦:

  • 千慮一失(천려일실) : 천 번 생각에 한 번 실수라는 뜻으로, 슬기로운 사람이라도 여러 가지 생각 가운데에는 잘못되는 것이 있을 수 있음을 이르는 .
    千: 일천 慮: 생각할 一: 失: 잃을

  • 煙幕作戰(연막작전) : 어떤 사실을 숨기기 위하여 약삭빠르고 능청스러운 이나 수단 따위를 써서 상대편이 갈피를 못 잡게 하는 일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.
    煙: 연기 幕: 作: 지을 戰: 싸움

  • 解語花(해어화) : (1)‘기생’을 달리 이르는 . (2)을 알아듣는 꽃이라는 뜻으로, ‘미인’을 이르는 . 중국 당나라 때에, 현종이 양 귀비를 가리켜 하였다는 데서 유래한다.
    解: 語: 말씀 花:

  • 黔首(검수) : 검은 두건을 쓴 머리라는 뜻으로, 일반 백성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. 고대 중국에서 평민들이 머리에 검은 두건을 쓴 데서 비롯된 이다.
    黔: 검을 首: 머리

  • 射石成虎(사석성호) : 성심(誠心)을 다하면 아니 될 일도 이룰 수 있다는 것. 돌을 범인 줄 알고 쏘았더니 화살이 꽂혔다는 .
    射: 石: 成: 이룰 虎:

  • 盜憎主人(도증주인) : 도둑이 주인을 미워한다는 뜻으로, 사람이 다만 자기 형편에 맞지 않으면 이것을 싫어한다는 의미.
    盜: 도둑 憎: 미워할 主: 주인 人: 사람

  • 望蜀(망촉) : 만족할 줄을 모르고 계속 욕심을 부리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. 후한(後漢)의 광무제가 농(隴) 지방을 평정한 후에 다시 촉(蜀) 지방까지 원하였다는 데에서 유래한다.
    望: 바랄 蜀: 나라 이름

  • 晴好雨奇(청호우기) : 갠 후의 경치도 좋고 빗속 경치도 기이함.
    晴: 好: 좋을 雨: 奇: 기이할

  • 淵澄取暎(연징취영) : 못이 맑아서 비치니, 군자(君子)의 마음을 한 것임.
    淵: 澄: 맑을 取: 취할 暎: 비칠

  • 席卷之勢(석권지세) : 돗자리를 마는 기세라는 뜻으로, 세력이 빠르고 거침없이 휩쓸어 나가는 기세를 이르는 .
    席: 자리 卷: 之: 勢: 기세

  • 白衣天使(백의천사) : ‘간호사’를 미화하여 이르는 .
    白: 衣: 天: 하늘 使: 부릴

  • 不足掛齒(부족괘치) : 할 가치가 없음.
    不: 아닌가 足: 掛: 齒:

  • 冷暖自知(냉난자지) : 차고 더운 것을 스스로 안다는 뜻으로, 자기 일은 남의 을 듣지 않고도 안다는 .
    暖: 따뜻할 自: 스스로 知:

  • 南蠻鴃舌(남만격설) : 남방의 미개한 민족의 은 때까치의 소리와 같다는 뜻으로, 알아들을 수 없는 외국 사람의 을 낮잡아 이르는 .
    南: 남녘 蠻: 오랑캐 鴃: 때까치 舌:

  • 大人君子(대인군자) : 과 행실이 바르고 점잖으며 덕이 높은 사람.
    大: 人: 사람 君: 임금 子: 아들

  • 舌底有斧(설저유부) : 혀 아래에 도끼가 들었다는 뜻으로, 을 잘못하면 화를 불러일으키니 을 늘 삼가라는 .
    舌: 底: 有: 있을 斧: 도끼

  • 見牛未見羊(견우미견양) : 소는 보고 양은 보지 않았다는 뜻으로, 무엇이나 보지 않은 것보다는 직접(直接) 눈으로 보고들은 것에 대(對)하여 한층 더 생각하게 된다는 .
    見: 牛: 未: 아닐 見: 羊:

  • 風飛雹散(풍비박산) : 사방으로 날아 흩어짐.
    風: 바람 飛: 雹: 우박 散: 흩을

  • 惡事走千里(악사주천리) : 나쁜 일은 천리를 달린다는 뜻으로, 나쁜 일은 아무리 숨기려 해도 쉽게 알려진다는 .
    惡: 악할 事: 走: 달릴 千: 일천 里: 마을

  • 腐腸之藥(부장지약) : 창자를 썩게 하는 약이라는 뜻으로, 좋은 음식과 술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.
    腐: 썩을 腸: 창자 之: 藥:

  • 勢不兩立(세불양립) : 서로 엇비슷한 힘을 지닌 두 세력이 함께 존재할 수 없음. 즉 한 세력권 안에서 권력을 나눌 수 없거나 우두머리가 둘일 수 없다는 이다.
    勢: 기세 不: 아니 立:

  • 千秋萬歲(천추만세) : (1)천만년의 긴 세월. (2)오래 살기를 축수하는 .
    千: 일천 秋: 가을 萬: 일만 歲:

  • 言則是也(언즉시야) : 인즉 옳음.
    言: 말씀 則: 是: 옳을 也: 잇기

  • 有口不言(유구불언) : 사정이 거북하거나 따분하여 을 하지 않음.
    有: 있을 口: 不: 아니 言: 말씀

  • 犬馬之齡(견마지령) : 개나 이 하는 일없이 나이만 더하듯이, (1) 아무 하는 일없이 나이만 먹는 일 (2) 자기(自己) 나이를 겸손(謙遜)하게 이르는 .
    犬: 馬: 之: 齡: 나이

  • 同床各夢(동상각몽) : 같은 침상(寢床)에서 서로 다른 꿈을 꾼다는 뜻으로, (1) 겉으로는 같이 행동(行動)하면서 속으로는 각기 딴 생각을 함을 이르는 (2) 비유적(比喩的)으로, 같은 입장(立場)ㆍ일인 데도 목표(目標)가 저마다 다름을 일컫는 (3) 기거(起居)를 함께 하면서 서로 다른 생각을 함.
    同: 한가지 床: 各: 각각 夢:

  • 母生(모생) : 인자(仁慈)한 애정(愛情)으로 길러주는 어버이의 뜻으로, 남에게 대(對)해 자기(自己) 어머니를 일컫는 .
    母: 어미 生:

  • 乞火不若取燧(걸화불약취수) : 남의 불을 꾸기보다는 제 부시로 불을 일으키는 것이 낫다는 뜻으로, 구걸(求乞)하기보다는 스스로 노력(努力)하는 것이 낫다는 .
    乞: 火: 不: 아니 若: 같을 取: 취할 燧: 부싯돌

  • 言中有骨(언중유골) : 속에 뼈가 있다는 뜻으로, 예사로운 속에 단단한 속뜻이 들어 있음을 이르는 .
    言: 말씀 中: 가운데 有: 있을 骨:

  • 荒唐之說(황당지설) : 참되지 않고 터무니없는 .
    荒: 거칠 唐: 당나라 之: 說: 말씀

  • 巧言令色(교언영색) : 아첨하는 과 알랑거리는 태도.
    巧: 공교할 言: 말씀 色:

  • 瓦釜雷鳴(와부뇌명) : 기왓가마가 우레와 같은 소리를 내면서 끓는다는 뜻으로, 별로 아는 것도 없는 사람이 과장해서 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.
    瓦: 기와 釜: 가마 鳴:

  • 三絶(삼절) : (1) 위편(韋編) 삼절 (2) 세 가지의 뛰어난 사물(事物)(3) 세 가지의 뛰어난 재주를 가진 사람. 조 선 때의 시(詩), 서화(書畵)에 능(能)했던 안견(安堅), 최 경과 중종(中宗) 때의 강희안(姜希顔)을 가리키는 .
    三: 絶: 끊을

  • 道聽塗說(도청도설) : 길에서 듣고 길에서 한다는 뜻으로, 길거리에 퍼져 돌아다니는 뜬소문을 이르는 . ≪논어≫의 <양화편(陽貨篇)>에 나오는 이다.
    道: 聽: 들을 塗: 진흙 說: 말씀

  • 鷄尸牛從(계시우종) : 닭 대가리는 될지언정 쇠꼬리는 되어서는 안 된다는 로, 남의 위에 서야지 남의 꽁무니에 따라다녀서는 안 됨을 비유(比喩)해 이르는 .
    鷄: 尸: 주검 牛: 從: 좇을

  • 牛溲馬勃(우수마발) : (1)질경이와 버섯류라는 뜻으로, 매우 흔하면서도 약으로 쓸 수 있는 물건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. (2)소의 오줌과 의 똥이라는 뜻으로, 가치 없는 이나 글 또는 품질이 나빠 쓸 수 없는 약재 따위를 이르는 .
    牛: 溲: 반죽할 馬: 勃: 우쩍 일어날

  • 無口匏(무구포) : 아가리가 없는 박이라는 뜻으로, 입을 꼭 다물고 아무 도 하지 않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.
    無: 없을 口: 匏:

  • 亡種(망종) : 아주 몹쓸 종자란 뜻으로, 행실이 아주 못된 사람을 낮잡아 이르는 .
    亡: 잃을 種:

  • 赤口毒舌(적구독설) : 남을 몹시 저주하는 .
    赤: 붉을 口: 毒: 舌:

  • 乃公(내공) : (1)윗사람이 아랫사람을 상대하여 자기를 이르는 일인칭 대명사. 주로 임금이 신하를, 또는 아버지가 아들을 상대하여 자기를 이를 때 쓴다. (2)‘그 사람’이라는 뜻으로, 하는 이와 듣는 이가 아닌 사람을 가리키는 삼인칭 대명사.
    乃: 이에 公: 공변될

  • 唯我獨尊(유아독존) : (1)우주 가운데 자기보다 더 존귀한 이는 없음. 석가모니가 태어났을 때 처음으로 한 이라고 한다. (2)세상에서 자기 혼자 잘났다고 뽐내는 태도.
    唯: 오직 我: 獨: 홀로 尊: 높을

  • 天崩地坼(천붕지탁) : (1)요란한 소리에 하늘이 무너지고 땅이 터져 나갈 듯이 흔들려 움직임. (2)제왕의 죽음, 큰 재앙 등 중대한 사변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.
    天: 하늘 崩: 무너질 地: 坼: 터질

  • 紅顔白髮(홍안백발) : 늙어서 머리는 세었으나 얼굴은 붉고 윤이 나는 모습.
    紅: 붉을 顔: 얼굴 白: 髮: 터럭

  • 曰是曰非(왈시왈비) : 어떤 일에 대하여 옳으니 그르니 하고 함.
    曰: 가로 是: 옳을 曰: 가로 非: 아닐

  • 燕鴻之歎(연홍지탄) : 제비와 고니의 탄식이라는 뜻으로, 여름새인 제비와 겨울새인 기러기가 만나지 못하는 것처럼 길이 어긋나거나 서로 소식 없이 만나지 못함을 한탄하는 .
    燕: 제비 鴻: 큰기러기 之: 歎: 탄식할

  • 敬覆(경복) : 경복(敬復). 공경(恭敬)하여 삼가 답장(答狀)한다는 뜻으로, 주로 한문투(漢文-)의 회답(回答) 편지(便紙) 첫머리에 쓰는 .
    敬: 공경 覆: 뒤집힐

  • 安得不然(안득불연) : 어찌 그러하지 않겠느냐의 뜻으로, 마땅히 그러할 것임을 이르는 .
    安: 편안할 得: 얻을 不: 아니 然: 그러할

  • 換父易祖(환부역조) : 아버지와 할아버지를 바꾼다는 뜻으로, 지체가 낮은 사람이 부정한 방법으로 양반집 뒤를 이어 양반 행세를 함을 이르는 .
    換: 바꿀 父: 아비 易: 바꿀 祖: 할아비

  • 晝出魍魎(주출망량) : 낮에 나타난 도깨비.
    晝: 出: 魍: 도깨비 魎: 도깨비

  • 獨陽不生(독양불생) : 혼자서는 아이를 낳을 수 없듯이, 반드시 상대(相對)가 있어야 한다는 .
    獨: 홀로 陽: 不: 아니 生:

  • 班門弄斧(반문농부) : 자신의 실력도 헤아리지 아니하고 어떤 일을 하려고 당치 아니하게 덤비는 일을 이르는 . 중국 노나라에 기계를 잘 만드는 반수(班輸)라는 사람을 흉내 내어, 그의 집 문 앞에서 도끼를 가지고 기계를 만들려고 한 어리석은 사람이 있었다는 데서 유래한다.
    班: 나눌 門: 斧: 도끼

  • 下石上臺(하석상대) : 아랫돌 빼서 윗돌 괴고 윗돌 빼서 아랫돌 괸다는 뜻으로, 임시변통으로 이리저리 둘러맞춤을 이르는 .
    下: 아래 石: 上: 臺:

  • 甘言利說(감언이설) : (1)‘감언이설’의 북한어. (2)귀가 솔깃하도록 남의 비위를 맞추거나 이로운 조건을 내세워 꾀는 .
    甘: 言: 말씀 說: 말씀

  • 單刀直入(단도직입) : (1)혼자서 칼 한 자루를 들고 적진으로 곧장 쳐들어간다는 뜻으로, 여러 을 늘어놓지 아니하고 바로 요점이나 본문제를 중심적으로 함을 이르는 . (2)생각과 분별과 에 거리끼지 아니하고 진실의 경계로 바로 들어감.
    單: 刀: 直: 곧을 入:

  • 枯木生花(고목생화) : (1)라 죽은 나무에서 꽃이 핀다는 뜻으로, 곤궁한 처지에 빠졌던 사람이 행운을 만나서 잘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. (2)라 죽은 나무에서 꽃이 핀다는 뜻으로, 늘그막에 아기를 낳거나 대가 끊길 지경에 대를 이을 아들을 낳음을 이르는 .
    枯: 마를 木: 나무 生: 花:

  • 矛盾(모순) : (1)어떤 사실의 앞뒤, 또는 두 사실이 이치상 어긋나서 서로 맞지 않음을 이르는 . 중국 초나라의 상인이 창과 방패를 팔면서 창은 어떤 방패로도 막지 못하는 창이라 하고 방패는 어떤 창으로도 뚫지 못하는 방패라 하여, 앞뒤가 맞지 않은 을 하였다는 데서 유래한다. (2)두 가지의 판단, 사태 따위가 양립하지 못하고 서로 배척하는 상태. 두 판단이 중간에 존재하는 것이 없이 대립하여 양립하지 못하는 관계로, 이를테면 ‘고양이는 동물이지만 동물이 아니다.’ 따위이다. (3)투쟁 관계에 있는 두 대립물이 공존하면서 맺는 상호 관계. 논리적 모순과 변증법적 모순이 있는데, 논리적 모순이 사유의 영역에만 존재하는 데 비해 변증법적 모순은 사물, 체계 따위의 객관적 실재에 속하며 모든 운동과 변화, 발전의 근원이 된다. (4)2001년 류석훈이 발표한 안무 작품. 앵벌이 소년의 삶과 죽음을 통해 사회의 모순을 고발한 작품이다.
    矛: 盾: 방패

  • 春雉自鳴(춘치자명) : 봄철의 꿩이 스스로 운다는 뜻으로, 제 허물을 제 스스로 드러냄으로써 남이 알게 된다는 .
    春: 雉: 自: 스스로 鳴:

  • 北馬南船(북마남선) : 중국의 북쪽은 산과 사막이 많아서 을 이용하고 남쪽은 강이 많아서 배를 이용한다는 뜻으로, 늘 쉬지 않고 여기저기 여행을 하거나 돌아다님을 이르는 .
    北: 북녘 馬: 南: 남녘 船:

  • 夜不閉門(야불폐문) : 밤에 대문을 닫지 아니한다는 뜻으로, 세상이 태평하여 인심이 순박함을 이르는 .
    夜: 不: 아니 閉: 닫을 門:

  • 逆旅過客(역려과객) : (1)길 가는 나그네와 같이 아무 관계가 없는 사람. (2)세상은 여관과 같고 인생은 그곳에 잠시 머무는 나그네와 같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.
    逆: 거스를 旅: 나그네 過: 지날 客:

  • 單文孤證(단문고증) : 한 쪽의 문서ㆍ한 개의 증거라는 뜻으로, 불충분한 증거를 이르는 .
    單: 文: 글월 孤: 외로울 證: 증거

  • 見危授命(견위수명) : 위태로움을 보고 목숨을 바친다는 뜻으로, 국가나 군부(君父)의 위급함에 즈음하여 자신의 목숨을 바쳐 대처한다는 의미. ◈ 원문 - 士, 見利思義, 見危授命.《논어》.
    見: 危: 위태할 授: 命: 목숨

  • 耳屬于垣(이속우원) : 담에도 귀가 달려 있다는 뜻으로, 남이 듣지 않는 곳에서도 을 삼가야 함을 이르는 .
    耳: 屬: 무리 于: 어조사 垣:

  • 從善如登(종선여등) : 착한 일을 쫓아 하는 것은 산을 오르는 것과 같다는 뜻으로, 착한 일을 하는 것이 매우 힘들다는 .
    從: 좇을 善: 착할 如: 같을 登: 오를

  • 都邑華夏(도읍화하) : 도읍(都邑)은 왕성(王城)의 지위(地位)를 한 것이고, 화하(華夏)는 당시(當時) 중국(中國)을 지칭(指稱)하던 임.
    都: 도읍 邑: 고을 華: 빛날 夏: 여름

  • 親展(친전) : (1)몸소 펴 봄. (2)편지를 받을 사람이 직접 펴 보라고 편지 겉봉에 적는 .
    親: 친할 展:

  • 上壽(상수) : (1)나이가 보통 사람보다 썩 많음. 또는 그 나이. (2)100세의 나이. 또는 그 나이가 된 노인. 장수한 것을 상ㆍ중ㆍ하로 나누었을 때 가장 많은 나이를 이른다. (3)환갑잔치 따위에서, 주인공에게 장수를 비는 뜻으로 술잔을 올림.
    上: 壽: 목숨

  • 無能自處(무능자처) : 능력이 없음을 자기 스스로 하고 인정함.
    無: 없을 能: 능할 自: 스스로 處: 머무를

  • 吐哺握髮(토포악발) : 민심을 잡고 국가 행정에 관계되는 사무를 보살피기에 잠시도 편안함이 없음을 이르는 .
    吐: 토할 哺: 먹일 握: 髮: 터럭

  • 面從後言(면종후언) : 보는 앞에서는 복종하는 체하면서 뒤에서 비방과 욕설을 함.
    面: 從: 좇을 後: 言: 말씀

  • 錦心繡口(금심수구) : 비단같이 아름다운 생각과 수놓은 듯이 아름다운 이라는 뜻으로, 글을 짓는 재주가 뛰어난 사람을 칭찬하여 이르는 .
    錦: 비단 心: 마음 繡: 口:

  • 三度得伸(삼도득신) : 송사(訟事)에서 초심(初審), 재심(再審), 삼심(三審)을 계속하여 승소하는 일.
    三: 度: 법도 得: 얻을 伸:

  • 明見萬里(명견만리) : 만 리 앞을 내다본다는 뜻으로, 관찰력이나 판단력이 매우 정확하고 뛰어남을 이르는 .
    明: 밝을 見: 萬: 일만 里: 마을

  • 寞敢開口(막감개구) : 두려워서 해야 할 을 감(敢)히 하지 못함.
    寞: 쓸쓸할 敢: 감히 開: 口:

  • 張脈憤興(장맥분흥) : 사람이 격분(激憤)하거나 흥분(興奮)하면 혈맥의 펼쳐 움직임은 강(强)한 모습을 띄게 되지만, 그 속은 마르게 됨을 함.
    張: 베풀 脈: 憤: 결낼 興:

  • 合緣奇緣(합연기연) : 이상하게 결합하는 인연이라는 뜻으로, 부부가 되는 인연을 이르는 .
    合: 합할 緣: 가선 奇: 기이할 緣: 가선

  • 爭先恐後(쟁선공후) : 앞서기를 다투고 뒤처지는 것을 두려워 한다는 뜻으로, 격렬(激烈)한 경쟁(競爭)을 비유(比喩)하는 .
    爭: 다툴 先: 먼저 恐: 두려울 後:

  • 三戒(삼계) : (1)사람이 살아가면서 지켜야 할 세 가지 계. 청년 시절에는 여색을, 장년 시절에는 투쟁을, 노년 시절에는 이욕(利慾)을 경계하여야 한다는 공자의 교훈이다. (2)부처의 세 가지 계율. 재가계, 출가계, 도속 공수계를 이른다.
    三: 戒: 경계할

  • 死馬骨(사마골) : 죽은 의 뼈라는 뜻으로, 쓸모없는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.
    死: 죽을 馬: 骨:

  • 言中之意(언중지의) : 속에 나타난 뜻.
    言: 말씀 中: 가운데 之: 意:

  • 材大難用(재대난용) : 재목(材木)이 너무 커서 도리어 쓰지 어렵다는 로, 재주 있는 이가 불우(不遇)한 처지(處地)에 있음을 이르는 .
    材: 재목 大: 難: 어려울 用:

  • 鐘鳴漏盡(종명누진) : 때를 알리는 종이 울리고 물시계의 물이 다한다는 뜻으로, 깊은 밤이나 늙고 병든 늙바탕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.
    鐘: 鳴: 盡: 다할

  • 惡因惡果(악인악과) : 나쁜 일을 하면 반드시 나쁜 결과가 따름.
    惡: 악할 因: 인할 惡: 악할 果: 실과

  • 千兵萬馬(천병만마) : 아주 많은 수의 군사와 군마.
    千: 일천 兵: 군사 萬: 일만 馬:

  • 輕諾寡信(경낙과신) : 승낙을 쉽게 하면 미덥지 않음.
    輕: 가벼울 諾: 대답할 寡: 적을 信: 믿을

  • 拜復(배복) : 절하고 회답(回答)한다는 뜻으로, 흔히 친구(親舊) 사이에 답장(答狀)하는 편지(便紙) 첫머리에 또는 편지(便紙) 끝머리의 자기(自己) 이름 아래에 쓰는 .
    拜: 復: 회복할

2 3 4 6 7 8
#모양 142 #목숨 58 #의미 1817 #구름 67 #집안 93 #자식 104 #머리 141 #정도 153 #무리 64 #이익 89 #사이 200 #벼슬 88 #형용 67 #경우 64 #경계 56 #나무 166 #고사 108 #형제 68 #문장 59 #생활 82 #나이 97 #훌륭 85 #부부 76 #행동 137 #임금 189 #모습 66 #서로 71 #재능 61 #어려움 105 #태도 72

초성이 같은 단어들

(총 99개) : 마, 막, 만, 맏, 말, 맑, 맗, 맘, 맛, 망, 맞, 맡, 맣, 매, 맥, 맨, 맬, 맴, 맵, 맹, 먀, 머, 먹, 먻, 먼, 멀, 멈, 멋, 멍, 멎, 메, 멕, 멘, 멜, 멤, 멧, 멩, 멫, 며, 멱, 면, 멸, 몀, 몃, 명, 몇, 모, 목, 몫, 몬, 몯, 몰, 몱, 몸, 못, 몽, 뫃, 뫼, 뫽, 묄, 묌, 묏, 묗, 묘, 묫, 무, 묵, 묶, 문, 물, 뭀, 뭄, 뭇, 뭉, 뭍, 뭐, 뭔, 뭘, 뭣, 뭬, 뮈, 뮐, 뮤, 뮬, 므, 믄, 믈, 믐, 믜, 미, 믹, 민, 밀, 밇, 밈, 밋, 밍, 및, 밑