#비유 에 관한 한자 모두 1,177

  • 萬古不變 획순 萬古不變(만고불변) : 아주 오랜 세월 동안 변하지 아니함.
    萬: 일만 古: 不: 아니 變: 변할

  • 盲人直門 획순 盲人直門(맹인직문) : 어리석은 사람이 어쩌다 이치에 들어맞는 일을 했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.
    盲: 소경 人: 사람 直: 곧을 門:

  • 借聽於聾 획순 借聽於聾(차청어롱) : 귀머거리에게 다른 사람이 네게 뭐라고 하더냐고 묻는다는 뜻으로, 도움을 받을 상대방(相對方)을 잘못 찾음을 비유(比喩)해 이르는 말.
    借: 聽: 들을 於: 어조사 聾: 귀머거리

  • 草滿囹圄 획순 草滿囹圄(초만영어) : 감옥 안에 풀이 가득 자랐다는 뜻으로, 나라를 잘 다스려 죄인이 없음을 이르는 말. ≪수서≫의 순리(循吏)편에 나오는 유광(劉曠)이라는 벼슬아치의 고사에서 유래하였다.
    草: 滿: 圄:

  • 衣錦晝行 획순 衣錦晝行(의금주행) : 비단 옷을 입고 낮에 다닌다는 뜻으로, 출세하여 고향에 돌아감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.
    衣: 錦: 비단 晝: 行:

  • 齒墮舌存(치타설존) : 이는 빠져도 혀는 남아있다는 뜻으로, 강한 것보다는 오히려 약한 것이 더 오래감을 비유하는 말.
    齒: 墮: 떨어질 舌: 存: 있을

  • 渺滄海之一粟(묘창해지일속) : 넓고 푸른 망망한 바다에 한 알의 좁쌀이라는 뜻으로, 매우 큰 것 속에 하나의 아주 작고 보잘것없는 것이 끼여 있다는 뜻. 또는 이 넓은 세상(世上)에 사는 하나의 작은 인간(人間)이라는 뜻을 비유(比喩)함.
    渺: 아득할 滄: 海: 바다 之: 一: 粟:

  • 行秘書(행비서) : 움직이는 비서라는 뜻으로, 지식이 넓고 많음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.
    行: 秘: 숨길 書:

  • 放虎自衛(방호자위) : 범을 놓아주고 스스로를 지킨다는 뜻으로, 화(禍)를 자초(自招)함을 비유하는 말.
    放: 놓을 虎: 自: 스스로 衛: 지킬

  • 噬臍莫及(서제막급) : 이미 저지른 잘못에 대하여 후회하여도 소용이 없음을 이르는 말. 사람에게 잡힌 사향노루가 배꼽의 향내 때문에 잡혔다고 제 배꼽을 물어뜯었다는 데서 유래한다.
    噬: 씹을 臍: 배꼽 莫: 없을 及: 미칠

  • 如鼓琴瑟(여고금슬) : 거문고와 큰 거문고를 연주하는 것과 같다는 뜻으로, 부부가 서로 화합함을 이르는 말.
    如: 같을 鼓: 琴: 거문고 瑟: 큰 거문고

  • 負戴(부대) : (1)짐을 지고 임. (2)매우 힘든 일을 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.
    負: 戴:

  • 豕交獸畜(시교수축) : 돼지처럼 대하고 짐승처럼 기른다는 뜻으로, 사람을 예로써 대우하지 않고 짐승같이 취급함을 이르는 말.
    豕: 돼지 交: 사귈 獸: 짐승 畜: 기를

  • 三年不蜚(삼년불비) : 삼 년 동안이나 날지 않는다는 뜻으로, 훗날 웅비할 기회를 기다림을 이르는 말. 중국 초(楚)나라 장왕(莊王)이 삼 년 동안 정사를 돌보지 않고 지내는 것을 보고 오거(伍擧)가 간하자, 장왕이 이렇게 답했다고 한다.
    三: 年: 不: 아니 蜚: 바퀴

  • 識字憂患(식자우환) : 학식이 있는 것이 오히려 근심을 사게 됨.
    識: 字: 글자 憂: 근심 患: 근심

  • 電光石火(전광석화) : 번갯불이나 부싯돌의 불이 번쩍거리는 것과 같이 매우 짧은 시간이나 매우 재빠른 움직임 따위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.
    電: 번개 光: 石: 火:

  • 解衣抱火(해의포화) : 옷을 벗고 불을 안는다는 뜻으로, 재난을 자초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.
    解: 衣: 抱: 안을 火:

  • 千里之駒(천리지구) : 하루에 천 리를 달릴 만큼 좋은 말이라는 뜻으로, 재주가 남보다 뛰어난 사람을 비유(比喩)해 이르는 말.
    千: 일천 里: 마을 之: 駒: 망아지

  • 釜中之魚(부중지어) : 솥 안에 든 물고기라는 뜻으로, 앞으로 오래지 않아 곧 죽게될 목숨이 위태로운 상태를 비유하거나, 닥칠 위험을 모르고 방탕에 빠진 사람을 비유하는 말로 사용됨.
    釜: 가마 中: 가운데 之: 魚: 고기

  • 轉日回天(전일회천) : 해를 돌리고 하늘을 돌게 한다는 뜻으로, 임금의 마음을 뒤집어 돌아서게 함을 이르는 말.
    轉: 구를 日: 回: 天: 하늘

  • 塚中枯骨(총중고골) : (1)무덤 속의 마른 뼈라는 뜻으로, 몹시 여윈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. (2)죽은 송장이나 다름없는 무능한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.
    塚: 무덤 中: 가운데 枯: 마를 骨:

  • 有頭無尾(유두무미) : 머리는 있어도 꼬리가 없다는 뜻으로, 시작은 있어도 마침이 없다는 의미나 일이 흐지부지 끝나버림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.
    有: 있을 頭: 머리 無: 없을 尾: 꼬리

  • 鶴脛雖長斷之則悲(학경수장단지즉비) : 학의 다리가 길다고 끓으면 학은 슬퍼할 것이라는 뜻으로, 천부의 특징(特徵)을 부질없이 가감할 것이 아님을 비유(比喩)해 이르는 말.
    鶴: 脛: 정강이 雖: 비록 長: 斷: 끊을 之: 則: 悲: 슬플

  • 簡髮而櫛(간발이즐) : 머리를 한 가닥씩 골라서 빗는다는 뜻으로, 몹시 좀스러운 것을 비유(比喩)하여 이르는 말.
    簡: 대쪽 髮: 터럭 而: 말 이을 櫛:

  • 坐井觀天(좌정관천) : 우물 속에 앉아서 하늘을 본다는 뜻으로, 사람의 견문(見聞)이 매우 좁음을 이르는 말.
    坐: 앉을 井: 우물 觀: 天: 하늘

  • 惜指失掌(석지실장) : 손가락을 아끼려다가 손바닥마저 잃는다는 뜻으로, 작을 것을 아끼려다 큰 일을 그르치는 상황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.
    惜: 아낄 指: 손가락 失: 잃을 掌: 손바닥

  • 四鳥之別(사조지별) : 네 마리 새의 이별(離別)이라는 뜻으로, 모자(母子)의 이별(離別)을 비유(比喩)해 이르는 말.
    四: 鳥: 之: 別: 나눌

  • 幸災不仁(행재불인) : 남의 재난(災難)을 다행(多幸)으로 여기는 것은 어질지 못함을 비유(比喩)하는 말.
    幸: 다행할 災: 재앙 不: 아니 仁: 어질

  • 咽噎廢食(인열폐식) : 목구멍이 메어서 먹는 것을 그만둔다는 뜻으로, 어떤 사소한 장애 때문에 큰일을 그만 둠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.
    咽: 목구멍 噎: 목멜 廢: 폐할 食:

  • 秀而不實(수이부실) : 자라났으나 열매를 맺지 못했다는 뜻으로, 학문은 진보하였으나 완성하지 못하고 중도에서 그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.
    秀: 빼어날 而: 말 이을 不: 아닌가 實: 열매

  • 天知地知汝知我知(천지지지여지아지) : 하늘이 알고, 땅이 알며, 자네가 알고, 내가 안다는 뜻으로, 세상(世上)에 비밀(秘密)이란 있을 수 없음을 비유(比喩)해 이르는 말.
    天: 하늘 知: 地: 知: 汝: 知: 我: 知:

  • 高麗公事三日(고려공사삼일) : 고려 때의 공적인 일은 삼 일밖에 안 갔다는 뜻으로, 오래 참고 견디지 못하고 자주 변동함. 고려 무신정권 때의 고사.
    高: 높을 麗: 고울 公: 공변될 事: 三: 日:

  • 走馬看山(주마간산) : 말을 타고 달리며 산천을 구경한다는 뜻으로, 자세히 살피지 아니하고 대충대충 보고 지나감을 이르는 말.
    走: 달릴 馬: 看: 山:

  • 問鼎輕重(문정경중) : 솥의 무게를 묻는다는 뜻으로, 왕좌를 노리거나 상대방의 실력을 떠보는 마음을 이르는 말.
    問: 물을 鼎: 輕: 가벼울 重: 무거울

  • 東閃西忽(동섬서홀) : 동에서 번쩍, 서에서 번쩍 나타났다 사라진다는 뜻으로, 여기저기 날쌔게 돌아다님을 이르는 말.
    東: 동녘 閃: 번쩍일 西: 서녘 忽: 문득

  • 蕙焚蘭悲(혜분난비) : 혜초(蕙草)가 불에 타면 난초가 슬퍼한다는 뜻으로, 벗의 불행을 함께 슬퍼함을 이르는 말.
    蕙: 향풀 이름 焚: 불사를 悲: 슬플

  • 風定浪息(풍정낭식) : 바람이 자고 파도가 잔잔하여진다는 뜻으로, 들떠서 어수선하던 것이 가라앉음을 이르는 말.
    風: 바람 定: 정할 息: 숨쉴

  • 鴻毳沈舟(홍취침주) : 기러기의 솜털이 배를 가라앉힌다는 뜻으로, 작은 것도 많이 싸이면 큰 힘이 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.
    鴻: 큰기러기 毳: 솜털 沈: 잠길 舟:

  • 錐刀之末(추도지말) : 뾰족한 송곳의 끝이라는 뜻으로, 아주 작은 일을 이르는 말.
    錐: 송곳 刀: 之: 末:

  • 面壁九年(면벽구년) : 달마가 중국 쑹산산(嵩山山)의 소림사에서 9년 동안 벽을 보고 좌선하여 도를 깨달은 일을 이르는 말.
    面: 壁: 九: 아홉 年:

  • 射空中鵠(사공중곡) : 무턱대고 쏜 화살이 과녁에 맞았다는 뜻으로, 멋모르고 한 일이 우연히 들어맞아 성공하였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.
    射: 空: 中: 가운데 鵠: 고니

  • 碧昌牛(벽창우) : (1)평안북도의 벽동(碧潼)ㆍ창성 지방에서 나는 크고 억센 소. (2)‘벽창호’의 원말.
    碧: 푸를 昌: 창성 牛:

  • 秋毫(추호) : (1)가을철에 털갈이하여 새로 돋아난 짐승의 가는 털. (2)매우 적거나 조금인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.
    秋: 가을 毫: 가는 털

  • 名花(명화) : (1)아름답기로 이름난 꽃. (2)아름다운 여자나 기생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.
    名: 이름 花:

  • 夏蟲語氷(하충빙어) : 여름에만 사는 벌레가 어찌 얼음에 대해 말할 수 있으랴는 뜻으로, 식견이 좁은 사람을 비유하는 말.
    夏: 여름 蟲: 벌레

  • 鬪而鑄兵(투이주병) : 싸움(전쟁)이 일어나고서야 병기를 주조(鑄造)한다는 뜻으로, 때를 잃음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.
    鬪: 싸움 而: 말 이을 鑄: 쇠 부어 만들 兵: 군사

  • 言美響美(언미향미) : 말이 아름다우면 그 울림도 아름답다는 뜻으로, 인격이나 행동이 훌륭하면 자연 명예도 얻게 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.
    言: 말씀 美: 아름다울 響: 울림 美: 아름다울

  • 猿猴取月(원후취월) : 원숭이가 물에 비친 달을 잡는다는 뜻으로, 욕심에 눈이 어두워 자기의 분수를 모르고 날뛰다가 목슴까지 잃게 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.
    猿: 원숭이 猴: 원숭이 取: 취할 月:

  • 平身低頭(평신저두) : 몸을 낮추고 머리를 숙임.
    平: 평평할 身: 低: 낮을 頭: 머리

  • 吐盡肝膽(토진간담) : 간과 쓸개를 다 토한다는 뜻으로, 실정(實情)을 숨김없이 다 털어놓고 말함을 이르는 말.
    吐: 토할 盡: 다할 肝: 膽: 쓸개

  • 滄海一粟(창해일속) : 넓고 큰 바닷속의 좁쌀 한 알이라는 뜻으로, 아주 많거나 넓은 것 가운데 있는 매우 하찮고 작은 것을 이르는 말. 중국 북송의 문인 소식의 <전적벽부(前赤壁賦)>에 나오는 말이다.
    滄: 海: 바다 一: 粟:

  • 虎頭蛇尾(호두사미) : 범의 머리에 뱀이 꼬리라는 뜻으로, 처음은 성(盛)하나 끝은 부진한 형상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.
    虎: 頭: 머리 蛇: 尾: 꼬리

  • 危若朝露(위약조로) : 위태롭기가 마치 아침 이슬과 같다는 뜻으로, 운명의 위태로움 또는 인생의 무상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.
    危: 위태할 若: 같을 朝: 아침 露: 이슬

  • 渴者易飮(갈자이음) : 목이 마른 자는 무엇이든 잘 마신다는 뜻으로, 곤궁(困窮)한 사람은 은혜(恩惠)에 감복하기 쉬움을 비유(比喩)해 이르는 말.
    渴: 목마를 者: 易: 쉬울 飮: 마실

  • 落庭米(락정미) : (1)되나 말 따위로 곡식을 되다가 땅에 떨어뜨린 곡식. (2)수고한 끝에 조금 얻어 차지하게 되는 변변치 못한 물건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. (3)‘낙정미’의 북한어.
    庭: 米:

  • 若得一敵國(약득일적국) : 자기(自己) 나라와 힘이 대등(對等)한 나라를 얻은 것과 같다는 뜻으로, 훌륭한 인재(人材)를 얻음을 비유(比喩)해 이르는 말.
    若: 같을 得: 얻을 一: 敵: 원수 國: 나라

  • 雛鳳(추봉) : 봉(鳳)의 새끼라는 뜻으로, 뛰어나게 훌륭한 자제(子弟)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.
    雛: 병아리 鳳: 봉새

  • 三獸渡河(삼수도하) : 성문(聲聞), 연각(緣覺), 보살(菩薩)이 수행하는 것을, 토끼ㆍ말ㆍ코끼리가 강을 건너는 것에 비유하여 이르는 말. 같은 교리를 듣고도 타고난 바탕에 따라 깨달음의 깊이가 다르다는 뜻에서 이렇게 이른다.
    三: 獸: 짐승 渡: 건널 河: 강 이름

  • 銅頭鐵額(동두철액) : 성질이 모질고 의지가 굳어 거만한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.
    銅: 구리 頭: 머리 鐵: 額: 이마

  • 虎尾春氷(호미춘빙) : 범의 꼬리와 봄철의 얼음이라는 뜻으로, 몹시 위험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.
    虎: 尾: 꼬리 春: 氷: 얼음

  • 布衣之交(포의지교) : 베옷을 입고 다닐 때의 사귐이라는 뜻으로, 벼슬을 하기 전 선비 시절에 사귐. 또는 그렇게 사귄 벗을 이르는 말.
    布: 衣: 之: 交: 사귈

  • 行常帶經(행상대경) : 나다닐 때 늘 경서를 가진다는 뜻으로, 학문에 열심히 노력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.
    行: 常: 항상 帶: 經: 지날

  • 三豕金根(삼시금근) : 三豕와 金根이라는 뜻으로, '己亥(기해)'를 三豕로 '金銀(금은)'을 金根으로, 모두 잘못 보았다는 고사에서 글자의 오용오독(誤用誤讀)을 비유하는 말.
    三: 豕: 돼지 金: 根: 뿌리

  • 郎廳坐起(낭청좌기) : (1)‘낭청좌기’의 북한어. (2)낭청이 관아에서 가장 높은 벼슬에 있는 사람이 되어 일을 시작한다는 뜻으로, 아랫사람이 하는 처사가 윗사람보다 더 지독하고 심함을 이르는 말.
    廳: 관청 坐: 앉을 起: 일어날

  • 道側奇寶(도측기보) : 길가에 떨어져 있는 진귀한 보화라는 뜻으로, 민간에 파묻혀 있는 현사(賢士)를 비유하는 말.
    道: 側: 奇: 기이할 寶: 보배

  • 黑牛生白犢(흑우생백독) : 검은 소가 흰 송아지를 낳았다는 뜻으로, 길흉화복이 뒤바뀌어 예측하기 어려움을 이르는 말.
    黑: 검을 牛: 生: 白: 犢: 송아지

  • 甑已破矣(증이파의) : 시루는 이미 깨어졌다는 뜻으로, 그릇된 일을 뉘우쳐도 소용이 없음을 이르는 말.
    甑: 시루 已: 그칠 破: 깨뜨릴 矣: 어조사

  • 靑雲萬里(청운만리) : 입신출세하려는 큰 꿈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.
    靑: 푸를 雲: 구름 萬: 일만 里: 마을

  • 朝三暮四(조삼모사) : (1)간사한 꾀로 남을 속여 희롱함을 이르는 말. 중국 송나라의 저공(狙公)의 고사로, 먹이를 아침에 세 개, 저녁에 네 개씩 주겠다는 말에는 원숭이들이 적다고 화를 내더니 아침에 네 개, 저녁에 세 개씩 주겠다는 말에는 좋아하였다는 데서 유래한다. (2)‘생계’의 북한어.
    朝: 아침 三: 暮: 저물 四:

  • 眞金不鍍(진금부도) : 진짜 황금은 도금하지 않는다는 뜻으로, 참으로 유능한 사람은 겉치레를 하지 않음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.
    眞: 金: 不: 아닌가 鍍: 도금할

  • 天地開闢(천지개벽) : (1)원래 하나의 혼돈체였던 하늘과 땅이 서로 나뉘면서 이 세상이 시작되었다는 중국 고대의 사상에서 나온 말로, 천지가 처음으로 열림을 이르는 말. (2)자연계에서나 사회에서 큰 변혁이 일어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.
    天: 하늘 地: 開: 闢:

  • 順風而呼(순풍이호) : 바람을 따라서 부른다는 뜻으로, 바람 부는 방향으로 부르면 잘 들리듯이 시세(時勢)에 편승하면 일을 하기 쉬움을 비유하는 말.
    順: 순할 風: 바람 而: 말 이을 呼: 부를

  • 沙上樓閣(사상누각) : 모래 위에 세운 누각이라는 뜻으로, 기초가 튼튼하지 못하여 오래 견디지 못할 일이나 물건을 이르는 말.
    沙: 모래 上: 閣: 문설주

  • 春寒老健(춘한노건) : 봄추위와 늙은이의 건강이라는 뜻으로, 사물이 오래가지 못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.
    春: 寒: 健: 튼튼할

  • 非池中物(비지중물) : 연못 속의 인물이 아니라는 뜻으로, 용이 때를 만나면 물을 벗어나 하늘로 올라가듯이 영웅도 때가 되면 세상에 나와 뜻을 편다는 것에서 장차 대성할 인물을 비유함.
    非: 아닐 池: 中: 가운데 物: 만물

  • 問道於盲(문도어맹) : 맹인에게 길을 묻는다는 뜻으로, 모르는 사람에게 사리를 묻는 것을 비유하는 말.
    問: 물을 道: 於: 어조사 盲: 소경

  • 風樹之嘆(풍수지탄) : 바람 맞는 나무의 탄식이라는 뜻으로, 효도를 다하지 못하고 어버이를 여윈 자식의 슬픈 탄식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.[樹欲靜而風不止 子欲養而親不待].
    風: 바람 樹: 나무 之: 嘆: 탄식할

  • 兩虎相鬪(양호상투) : 두 마리의 범이 서로 싸운다는 뜻으로, 힘이 센 두 편이 맞붙어 다툼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.
    虎: 相: 서로 鬪: 싸움

  • 明眸皓齒(명모호치) : 맑은 눈동자와 흰 이라는 뜻으로, 미인(美人)의 모습을 이르는 말.
    明: 밝을 眸: 눈동자 皓: 齒:

  • 螻蟻(루의) : (1)땅강아지와 개미라는 뜻으로, 작은 힘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. (2)‘누의’의 북한어.
    蟻: 개미

  • 人生草露(인생초로) : 사람의 삶은 풀에 맺힌 이슬 같다는 뜻으로, 인생은 해뜨면 사라질 아침에 맺힌 풀 위의 이슬처럼 덧없음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.
    人: 사람 生: 草: 露: 이슬

  • 金玉君子(금옥군자) : 몸가짐이 단정하고 점잖으며 지조가 굳은 사람을 이르는 말.
    金: 玉: 구슬 君: 임금 子: 아들

  • 信及豚魚(신급돈어) : 신의가 돼지나 물고기에게 미친다는 뜻으로, 감정이 없는 사람으로 비유되는 무심한 생물인 돼지나 물고기조차 믿어 의심치 않는다는 의미에서 신의(信義)가 지극함을 이르는 말.
    信: 믿을 及: 미칠 豚: 돼지 魚: 고기

  • 半靑半黃(반청반황) : 풀 따위가 반쯤은 푸르고 반쯤은 누렇다는 뜻으로, 미숙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.
    半: 靑: 푸를 半: 黃: 누를

  • 藜藿(여곽) : 명아주 잎과 콩잎이라는 뜻으로, 아주 변변치 못한 음식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.
    藿: 콩잎

  • 虎擲龍拏(호척용나) : 범은 던지고 용은 잡는다는 뜻으로, 범과 용이 맞잡고 치는 것처럼 영웅끼리 다툼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.
    虎: 擲: 던질 拏: 붙잡을

  • 手舞足蹈(수무족도) : 몹시 좋아서 날뜀.
    手: 舞: 춤출 足: 蹈: 밟을

  • 春蛙秋蟬(춘와추선) : 봄의 개구리와 가을의 매미라는 뜻으로, 쓸모없는 언론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.
    春: 蛙: 개구리 秋: 가을 蟬: 매미

  • 網密(망밀) : 그물코처럼 매우 작고 좁다는 뜻으로, 법률이 매우 세밀하고 엄함을 이르는 말.
    網: 그물 密: 빽빽할

  • 便同一室(변동일실) : 사이가 아주 가까워 한 가족 같음.
    便: 똥오줌 同: 한가지 一: 室:

  • 充棟(충동) : 쌓으면 들보에까지 찬다는 뜻으로, 장서(藏書)가 많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.
    充: 棟: 용마루

  • 病入膏肓(병입고황) : 병이 고치기 어렵게 몸속 깊이 듦.
    病: 入: 膏: 기름 肓: 명치끝

  • 籠鳥戀雲(농조연운) : 새장에 갇힌 새가 구름을 그리워한다는 뜻으로, 속박당한 몸이 자유를 그리워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.
    鳥: 雲: 구름

  • 我刀入他鞘亦難(아도입타초역난) : 내 칼도 남의 칼집에 들면 찾기 어렵다는 속담(俗談)의 한역으로, 자기(自己) 물건(物件)이라도 남의 수중에 들어가면 마음대로 할 수 없음을 비유(比喩)해 이르는 말.
    我: 刀: 入: 他: 다를 鞘: 칼집 亦: 難: 어려울

  • 鴻鵠(홍곡) : 큰 기러기와 고니라는 뜻으로, 포부가 원대하고 큰 인물을 이르는 말.
    鴻: 큰기러기 鵠: 고니

  • 比肩隨踵(비견수종) : 어깨를 나란하게 하고 발꿈치를 따른다는 뜻으로, 연이어 이어져 끊어지지 않음을 비유하는 말.
    比: 견줄 肩: 어깨 隨: 따를 踵: 뒤꿈치

  • 孤城落日(고성낙일) : 외딴 성과 서산에 지는 해라는 뜻으로, 세력이 다하고 남의 도움이 없는 매우 외로운 처지를 이르는 말.
    孤: 외로울 城: 日:

  • 衆議成林(중의성림) : 뭇사람들의 의논은 평지에 숲도 이룬다는 뜻으로, 여러 사람이 말하면 그렇지 않은 일도 그럴 듯하게 되어짐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.
    衆: 무리 議: 의논할 成: 이룰 林: 수풀

  • 春華秋實(춘화추실) : 봄꽃과 가을 열매라는 뜻으로, 문조(文藻)나 덕행(德行) 혹은 문질(文質)이 뛰어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.
    春: 華: 빛날 秋: 가을 實: 열매

  • 拔眼中釘(발안중정) : 눈 속의 못을 뽑는다는 뜻으로, 눈에 박힌 못을 뽑듯이 눈에 가시 같은 간신을 제거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.
    拔: 眼: 中: 가운데 釘:

2 3 4 6 7 8
#사람 1461 #실패 56 #나무 166 #상태 110 #근본 66 #학문 107 #아래 86 #소리 96 #근심 65 #천하 94 #문장 59 #형용 67 #물건 136 #음식 79 #아침 72 #하늘 251 #상황 119 #벼슬 88 #서로 71 🍈 #비유에 관한 1177개의 한자어 #잘못 93 #경계 56 #재주 82 #정도 153 #목숨 58 #고사 108 #때문 58 #시대 114 #태도 72 #이름 211

초성이 같은 단어들

(총 848개) : 바아, 바안, 바알, 바앙, 바애, 바얀, 바양, 바얘, 바에, 바오, 바올, 바옷, 바우, 바울, 바워, 바웨, 바위, 바유, 바을, 바이, 바일, 박아, 박악, 박안, 박암, 박애, 박액, 박야, 박약, 박연, 박열, 박염, 박엽, 박영, 박옥, 박외, 박용, 박우, 박운, 박위, 박유, 박은, 박음, 박읍, 박의, 박이, 박인, 밖에, 반아, 반악, 반암, 반애, 반액, 반야, 반약, 반양, 반어, 반역, 반연, 반열, 반염, 반엽, 반영, 반오, 반옥, 반와, 반완, 반외, 반요, 반우, 반운, 반움, 반원, 반월, 반위, 반유, 반음, 반응, 반의, 반이, 반인, 반일, 반입, 받이, 발아, 발악, 발안, 발암, 발앙, 발양, 발어, 발언, 발여, 발연, 발열, 발염, 발왕, 발외, 발욕, 발우 .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