#비유 에 관한 한자 모두 1,177

  • 版上朱丸 획순 版上朱丸(판상주환) : 언덕 위에서 공을 굴린다는 뜻으로, 어떤 세력(勢力)에 힘입어 일을 꾀하면 쉽게 이루어지거나, 또는 그 일이 잘 진전됨의 비유(比喩).
    版: 上: 朱: 붉을 丸:

  • 鴻鵠之志 획순 鴻鵠之志(홍곡지지) : 크고 높게 품은 뜻. ≪사기≫ <진섭세가(陳涉世家)>에 나오는 말이다.
    鴻: 큰기러기 鵠: 고니 之: 志:

  • 河淸之會 획순 河淸之會(하청지회) : 황하가 맑아지는 것 같은 만남이라는 뜻으로, 백년하청(百年河淸) 같은 만남처럼 드물게 만남을 비유하는 이르는 말.
    河: 강 이름 淸: 맑을 之: 會: 모일

  • 捨量沈舟 획순 捨量沈舟(사량침주) : 식량을 버리고 배를 가라앉힌다는 뜻으로, 목숨을 걸고 어떤 일에 대처함을 이르는 말. ≪사기≫의 <항우기(項羽紀)>에 나오는 말이다.
    捨: 버릴 量: 헤아릴 沈: 잠길 舟:

  • 累卵 획순 累卵(누란) : 층층이 쌓아 놓은 알이란 뜻으로, 몹시 위태로운 형편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.
    卵:

  • 凍足放尿(동족방뇨) : 언 발에 오줌 누기라는 뜻으로, 잠시 동안만 효력이 있을 뿐 효력이 바로 사라짐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.
    凍: 足: 放: 놓을 尿: 오줌

  • 投鼠恐器(투서공기) : 던져서 쥐를 잡으려 하나 그릇이 깨질까 두려워한다는 뜻으로, 임금 측근에서 알랑거리는 간신을 제거하고 싶으나 임금을 상하게 할까 걱정됨을 이르는 말.
    投: 던질 鼠: 恐: 두려울 器: 그릇

  • 麒麟兒(기린아) : 지혜와 재주가 썩 뛰어난 사람.
    麒: 기린 麟: 기린 兒: 아이

  • 桀犬吠堯(걸견폐요) : 걸왕의 개가 요임금을 향하여 짖는다는 뜻으로, 각자 자기의 주인에게 충성을 다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. 악인의 앞잡이가 선량한 사람을 공격함을 비유하기도 한다. ≪사기(史記)≫의 <회음후전(淮陰侯傳)>에 나오는 말이다.
    桀: 횃대 犬: 吠: 짖을 堯: 요임금

  • 百年河淸(백년하청) : 중국의 황허강이 늘 흐려 맑을 때가 없다는 뜻으로, 아무리 오랜 시일이 지나도 어떤 일이 이루어지기 어려움을 이르는 말.
    百: 일백 年: 河: 강 이름 淸: 맑을

  • 火得薪而熾(화득신이치) : 불은 땔나무를 얻어야 활활 탄다는 뜻으로, 알맞은 때를 만나야 영화롭게 됨을 비유한 말.
    火: 得: 얻을 薪: 섶나무 而: 말 이을 熾: 성할

  • 鼎食(정식) : 솥을 좍 벌여 놓고 음식을 먹는다는 뜻으로, 귀한 사람이 밥을 먹는 것을 이르는 말. 또는 그런 진수성찬을 이르는 말.
    鼎: 食:

  • 冬扇夏爐(동선하로) : 겨울의 부채와 여름의 화로라는 뜻으로, 격(格)이나 철에 맞지 아니함을 이르는 말.
    冬: 겨울 扇: 부채 夏: 여름 爐: 화로

  • 燃眉之急(연미지급) : 눈썹이 타는 다급함이라는 뜻으로, 한시도 늦출 수 없는 급한 일을 비유하는 말.
    燃: 사를 眉: 눈썹 之: 急: 급할

  • 狐鼠之盜(호서지도) : 여우와 쥐 같은 도둑이라는 뜻으로, 여우와 쥐를 소인(小人)이나 좀도둑에 비유들어 그러한 소인배와 같은 간사하고 못된 무리나 좀도둑을 이르는 말로 사용함.
    狐: 여우 鼠: 之: 盜: 도둑

  • 魚質龍文(어질용문) : 물고기의 바탕에 용의 무늬라는 뜻으로, 용모는 용같이 위엄이 있지만, 실질은 물고기란 의미처럼 옳은 듯하나 실제는 그름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.
    魚: 고기 質: 바탕 文: 글월

  • 一毫半點(일호반점) : ‘일호’를 강조하여 이르는 말.
    一: 毫: 가는 털 半: 點:

  • 雲煙過眼(운연과안) : 구름이나 연기가 문득 눈을 지나 사라진다는 뜻으로, 사물이 순식간에 사라짐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.
    雲: 구름 煙: 연기 過: 지날 眼:

  • 老鼠燒尾(노서소미) : 재능(才能)이 없으면서 과거(科擧)에 급제(及第)함을 비유(比喩)해 이르는 말.
    鼠: 燒: 사를 尾: 꼬리

  • 項背相望(항배상망) : (1)목과 등이 마주 바라본다는 뜻으로, 왕래가 잦음을 이르는 말. (2)뒤를 이을 사람이 많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.
    項: 背: 相: 서로 望: 바랄

  • 齊東野人(제동야인) : 중국 제나라의 동쪽에 사는 야인들이 매우 어리석었다는 데서, 사리에 밝지 못한 시골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.
    齊: 가지런할 東: 동녘 野: 人: 사람

  • 秦晉之誼(진진지의) : 혼인을 맺은 두 집 사이의 가까운 정의(情誼)를 이르는 말. 중국의 진(秦)나라와 진(晉)나라의 왕실이 혼인을 맺고 지낸 데서 유래한다.
    秦: 나라 이름 晉: 나라 이름 之: 誼: 옳을

  • 如魚失水(여어실수) : 물고기가 물을 잃음과 같다는 뜻으로, 곤궁한 사람이 의지할 곳이 없이 괴로워함을 비유하는 말.
    如: 같을 魚: 고기 失: 잃을 水:

  • 貪天之功(탐천지공) : 하늘의 공을 탐낸다는 뜻으로, 남의 공을 자기 것처럼 도용(盜用)하는 짓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.
    貪: 탐할 天: 하늘 之: 功:

  • 胡孫入袋(호손입대) : 원숭이가 자루 속에 들어갔다는 뜻으로, 일을 자유자재(自由自在)로 할 수 없음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.
    胡: 오랑캐 孫: 손자 入: 袋: 자루

  • 響不辭聲(향불사성) : 울림은 소리를 사양하지 않는다는 뜻으로, 울림은 어떤 소리에도 따라서 일어난다는 의미에서 공을 세우면 명예는 자연히 따르기 마련임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.
    響: 울림 不: 아니 辭: 말씀 聲: 소리

  • 榮枯(영고) : 번성함과 쇠퇴함.
    榮: 영화 枯: 마를

  • 紅不甘醬(홍불감장) : 간장의 빛은 붉은빛이지만 맛이 짜다는 뜻으로, 겉으로는 좋아 보여도 속은 신통하지 아니함을 이르는 말.
    紅: 붉을 不: 아니 甘: 醬: 육장

  • 吐絲自縛(토사자박) : 실을 토하여 스스로를 묶는다는 뜻으로, 누에가 실을 토하여 고치를 지어서는 스스로 그 속에 갇히는 일처럼, 주위와 단절하여 참선의 삼매경에 듦을 비유하는 말.
    吐: 토할 絲: 自: 스스로 縛: 묶을

  • 一場春夢(일장춘몽) : (1)한바탕의 봄꿈이라는 뜻으로, 헛된 영화나 덧없는 일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. (2)단가의 하나. 세상 공명(功名) 하직하고, 부귀영화도 일장춘몽에 지나지 않으니 경치나 찾아다니며 흥취를 돋우자는 내용이다.
    一: 場: 마당 春: 夢:

  • 獺祭魚(달제어) : 수달(水獺)이 물고기를 잡아 제사 지내는 것처럼 사방에 늘어놓는다는 뜻으로, 시문(詩文)을 지을 때에 많은 참고 서적을 벌여 놓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.
    獺: 수달 祭: 제사 魚: 고기

  • 反哺(반포) : 자식이 커서 부모를 봉양하는 일.
    反: 돌이킬 哺: 먹일

  • 捉襟見肘(착금현주) : 옷깃을 당기면 팔꿈치가 드러난다는 뜻으로, 생활이 극도로 빈한(貧寒)하거나 이것저것 미처 돌볼 수 없는 딱한 사정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.
    捉: 잡을 襟: 옷깃 見: 나타날 肘: 팔꿈치

  • 血風血雨(혈풍혈우) : 피 바람과 피 비라는 뜻으로, 격심한 혈전을 이르는 말.
    血: 風: 바람 血: 雨:

  • 春樹暮雲(춘수모운) : 봄철의 나무와 저문 날의 구름이라는 뜻으로, 먼 곳에 있는 벗을 그리는 마음이 일어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.
    春: 樹: 나무 暮: 저물 雲: 구름

  • 脅肩諂笑(협견첨소) : 어깨를 옹송그리고 아첨하며 웃음.
    脅: 겨드랑이 肩: 어깨 諂: 아첨할 笑: 웃을

  • 寒烟(한연) : 한연(寒煙). (쓸쓸하게 올라오는 연기라는 뜻으로)집이 가난함의 비유(比喩).
    寒: 烟: 연기

  • 率獸食人(솔수식인) : 짐승을 거느리고 와서 사람을 잡아먹게 한다는 뜻으로, 위정자가 폭정으로 백성을 고통스럽게 함을 이르는 말.
    率: 거느릴 獸: 짐승 食: 人: 사람

  • 秋風扇(추풍선) : (1)가을철의 부채라는 뜻으로, 철이 지나서 쓸모없이 된 물건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. (2)이성의 사랑을 잃은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.
    秋: 가을 風: 바람 扇: 부채

  • 兎角龜毛(토각귀모) : 토끼의 뿔과 거북의 털이라는 뜻으로, 이 세상에 있을 수 없는 일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.
    兎: 토끼 角: 龜: 거북 毛:

  • 以血洗血(이혈세혈) : (1)피를 피로 씻는다는 뜻으로, 악을 악으로 갚거나 거듭 나쁜 짓을 함을 이르는 말. (2)가까운 혈족끼리 서로 싸움.
    以: 血: 洗: 씻을 血:

  • 精金百鍊(정금백련) : 쇠붙이가 충분(充分)히 단련(鍛鍊)되었다는 뜻으로, 충분(充分)히 숙련(熟練)되고 많은 경험(經驗)을 쌓음을 비유(比喩)해 이르는 말.
    精: 정미할 金: 百: 일백 鍊: 불릴

  • 無名業火(무명업화) : 깨우치지 못하고 번뇌(煩惱)에 얽혀 짓는 악업(惡業)을 불에 비유(比喩)한 말.
    無: 없을 名: 이름 業: 火:

  • 螢窓雪案(형창설안) : 반딧불이 비치는 창과 눈에 비치는 책상(冊床)이라는 뜻으로, 어려운 가운데서도 학문(學問)에 힘씀을 비유(比喩)한 말.
    螢: 개똥벌레 窓: 雪: 案: 책상

  • 平地突出(평지돌출) : 평지에 산이 우뚝 솟는다는 뜻으로, 보잘것없는 집안에서 인물이 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.
    平: 평평할 地: 突: 갑자기 出:

  • 龍頭蛇尾(용두사미) : (1)‘용두사미’의 북한어. (2)용의 머리와 뱀의 꼬리라는 뜻으로, 처음은 왕성하나 끝이 부진한 현상을 이르는 말.
    頭: 머리 蛇: 尾: 꼬리

  • 號曰百萬(호왈백만) : 실상은 얼마 되지 아니한 것을 많은 것처럼 과장하여 말함.
    號: 부를 曰: 가로 百: 일백 萬: 일만

  • 弊帚千金(폐추천금) : 닳아 빠진 비를 천금같이 여긴다는 뜻으로, 자기의 분수를 모름을 이르는 말.
    弊: 해어질 帚: 千: 일천 金:

  • 速登者易顚(속등자이전) : 빨리 오르는 자는 넘어지기 쉽다는 뜻으로, 출세가 빠른 사람은 도리어 재난이 많음을 비유하는 말.
    速: 빠를 登: 오를 者: 易: 쉬울 顚: 넘어질

  • 駑馬十駕(노마십가) : 느리고 둔한 말도 준마의 하룻길을 열흘에는 갈 수 있다는 뜻으로, 둔하고 재능이 모자라는 사람도 열심히 하면 훌륭한 사람이 될 수 있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.
    駑: 둔할 馬: 十: 駕: 멍에

  • 强鐵之秋(강철지추) : 강철(鋼鐵)이 가는 데는 가을도 봄이라는 뜻으로, 다되어 가는 일이 못된 방해자(妨害者)로 인(因)하여 파탄(破綻)됨을 비유(比喩)해 이르는 말.
    强: 굳셀 鐵: 之: 秋: 가을

  • 馬好替乘(마호체승) : 말도 갈아타는 것이 좋다는 뜻으로, 예전 것도 좋지만 새로운 것으로 바꾸어 보는 것도 즐겁다는 말.
    馬: 好: 좋을 替: 바꿀 乘:

  • 敲氷求火(고빙구화) : 얼음을 두드려 불을 구(求)한다는 뜻으로, 어떤 일의 불가능(不可能)함을 비유(比喩)해 이르는 말.
    敲: 두드릴 氷: 얼음 求: 구할 火:

  • 眼中釘(안중정) : 몹시 밉거나 싫어 늘 눈에 거슬리는 사람.
    眼: 中: 가운데 釘:

  • 車螢孫雪(차형손설) : 차윤취형(車胤聚螢)과 손강영설(孫康映雪)을 아울러 이르는 말.
    車: 수레 螢: 개똥벌레 孫: 손자 雪:

  • 珪璋特達(규장특달) : 규홀과 장홀만 이른다는 뜻으로, 혼약(婚約)의 예물로 다른 폐물(幣物)은 보내지 않고 다만 규장(珪璋)만을 보내는 것으로, 덕(德)이 출중(出衆)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.
    珪: 璋: 반쪽 홀 特: 유다를 達: 통할

  • 邑犬群吠(읍견불폐) : 고을의 개들이 무리를 지어 짖는다는 뜻으로, 많은 소인배들이 남을 비난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.
    邑: 고을 犬: 吠: 짖을

  • 風不鳴枝(풍불명지) : 바람이 나뭇가지도 울리지 못한다는 뜻으로, 태평한 세상에는 큰 바람도 불지 않는다는 것에서 세상이 태평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.
    風: 바람 不: 아니 鳴: 枝: 가지

  • 驚天(경천) : 하늘을 놀라게 하고 땅을 뒤흔든다는 뜻으로, 세상을 몹시 놀라게 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.
    驚: 놀랄 天: 하늘

  • 曳尾塗中(예미도중) : 꼬리를 진흙 속에 묻고 끈다는 뜻으로, 벼슬을 함으로써 속박(束縛)되기보다는 가난하더라도 집에서 편안(便安)히 사는 편이 나음을 비유(比喩)해 이르는 말.
    曳: 尾: 꼬리 塗: 진흙 中: 가운데

  • 呑舟之魚不遊枝流(탄주지어불유지류) : 큰 고기는 지류(支流)에서 놀지 않는다는 뜻으로, 현자(賢者)는 항상(恒常) 고상(高尙)한 뜻을 지님을 비유(比喩)해 이르는 말.
    呑: 삼킬 舟: 之: 魚: 고기 不: 아니 遊: 枝: 가지 流: 흐를

  • 土木形骸(토목형해) : 흙과 나무로 된 뼈대라는 뜻으로, 외형을 장식하거나 덧붙이지 아니한 상태를 이르는 말.
    土: 木: 나무 形: 형상 骸: 해골

  • 坎井之蛙(감정지와) : 우물 안 개구리라는 뜻으로, 견문이 좁고 세상 형편에 어두운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.
    坎: 구덩이 井: 우물 之: 蛙: 개구리

  • 聲振林木(성진임목) : 목소리가 숲의 나무를 떨게 한다는 뜻으로, 노랫소리의 격렬함을 비유하는 말.
    聲: 소리 振: 떨칠 木: 나무

  • 泡沫夢幻(포말몽환) : 물 위에 뜨는 거품과 꿈이라는 뜻으로, 삶의 덧없음을 비유(比喩)해 이르는 말.
    泡: 거품 沫: 거품 夢: 幻: 변할

  • 引而不發(인이불발) : (1)활시위를 당길 뿐 놓지 않는다는 뜻으로, 사람을 가르치되 그 방법만 가르치고 스스로 핵심을 터득하게 함을 이르는 말. (2)힘을 길러 때를 기다림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.
    引: 당길 而: 말 이을 不: 아니 發:

  • 虎口餘生(호구여생) : 여러 차례 죽을 고비를 겪고 겨우 살아남은 목숨.
    虎: 口: 餘: 남을 生:

  • 和風甘雨(화풍감우) : 솔솔 부는 화창한 바람과 알맞은 비.
    和: 고를 風: 바람 甘: 雨:

  • 兎起鶻落(토기골락) : 토끼가 내달리고 송골매가 떨어진다는 뜻으로, 글씨의 필세(筆勢)가 씩씩하고 굳셈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.
    兎: 토끼 起: 일어날 鶻: 송골매 落: 떨어질

  • 漏巵(누치) : 술이 새는 잔이라는 뜻으로, 술을 잘하는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.
    巵:

  • 海市蜃樓(해시신루) : 환상을 믿을 수 없다는 뜻으로, ‘신기루’를 달리 이르는 말.
    海: 바다 市: 저자 蜃: 무명조개 樓: 다락

  • 切磋琢磨(절차탁마) : 옥이나 돌 따위를 갈고 닦아서 빛을 낸다는 뜻으로, 부지런히 학문과 덕행을 닦음을 이르는 말. ≪시경≫의 <위풍(衛風)> <기오편(淇澳篇)>과 ≪논어≫의 <학이편(學而篇)>에 나오는 말이다.
    切: 끊을 磋: 琢: 磨:

  • 鳳麟芝蘭(봉린지란) : 봉황과 기린과 지초와 난초라는 뜻으로, 봉황과 기린처럼 재능이 빼어난 남자와 지초와 난초처럼 아름다운 여자를 비유해 젊은 남녀의 빼어나고 아름다움을 표현하는 말.
    鳳: 봉새 麟: 기린 芝: 지초 蘭: 난초

  • 燎原之火(료원지화) : (1)무서운 형세로 타 나가는 벌판의 불이라는 뜻으로, 세력이 매우 대단하여 막을 수 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. (2)‘요원지화’의 북한어.
    原: 언덕 之: 火:

  • 櫪馬(역마) : 외양간에 매여 있는 말이라는 뜻으로, 얽매여 자유롭지 못한 신세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.
    馬:

  • 乳臭未干(유취미간) : 젖 냄새가 아직 가시지 않았다는 뜻으로, 나이가 적어 무슨 일에 경험이 적고 미숙한 사람을 비유하는 말.
    乳: 臭: 냄새 未: 아닐 干: 방패

  • 騰蛟起鳳(등교기봉) : 뛰어오르는 교룡(蛟龍)과 날아오르는 봉황이라는 뜻으로, 재능이 뛰어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.
    騰: 오를 蛟: 교룡 起: 일어날 鳳: 봉새

  • 見蛇首知長短(견사수지장단) : 뱀의 대가리를 보면, 그 몸의 길고 짧음을 알 수 있다는 뜻으로, 한 가지를 보아 전체(全體)를 알 수 있음을 비유(比喩)해 이르는 말.
    見: 蛇: 首: 머리 知: 長: 短: 짧을

  • 平隴望蜀(평롱망촉) : 농(隴)을 얻고서 촉(蜀)까지 취하고자 한다는 뜻으로, 만족할 줄을 모르고 계속 욕심을 부리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. 후한(後漢)의 광무제가 농(隴) 지방을 평정한 후에 다시 촉(蜀) 지방까지 원하였다는 데에서 유래한다.
    平: 평평할 隴: 고개 이름 望: 바랄 蜀: 나라 이름

  • 煮豆燃萁(자두연기) : 콩을 삶기 위하여 같은 뿌리에서 자란 콩대를 태운다는 뜻으로, 형제끼리 서로 시기하고 다툼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. 중국 위나라 때 조식(曹植)의 칠보시(七步詩)에서 유래한다.
    煮: 삶을 豆: 燃: 사를 萁: 콩깍지

  • 漸入佳境(점입가경) : (1)들어갈수록 점점 재미가 있음. (2)시간이 지날수록 하는 짓이나 몰골이 더욱 꼴불견임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.
    漸: 점점 入: 佳: 아름다울 境: 지경

  • 水流雲空(수류운공) : 흐르는 물과 하늘에 뜬 구름이라는 뜻으로, 지나간 일이 흔적 없이 사라져 허무함을 이르는 말.
    水: 流: 흐를 雲: 구름 空:

  • 過目成誦(과목성송) : 어떤 책이든 한번 보기만 하면 곧 왼다는 뜻으로, 기억력이 좋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.
    過: 지날 目: 成: 이룰 誦:

  • 嘗糞(상분) : (1)부모의 병세를 살피려고 그 대변을 맛봄. 지극한 효행을 이르는 말이다. (2)몹시 아첨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.
    嘗: 맛볼 糞:

  • 望蜀之歎(망촉지탄) : 촉(蜀) 땅을 얻고 싶어 하는 탄식(歎息ㆍ嘆息)이라는 뜻으로, 인간(人間)의 욕심(慾心)은 한이 없음을 비유(比喩)해 이르는 말.
    望: 바랄 蜀: 나라 이름 之: 歎: 탄식할

  • 回光返照(회광반조) : 해가 지기 직전(直前)에 잠깐 하늘이 밝아진다는 뜻으로, (1) 머지않아 멸망(滅亡)하지만 한때나마 그 기세(氣勢)가 왕성(旺盛)함 (2) 죽기 직전(直前)에 잠깐 기운(氣運)을 돌이킴을 비유(比喩)해 이르는 말.
    回: 光: 返: 돌아올 照: 비출

  • 暴虎馮河(포호빙하) : 맨손으로 범을 때려잡고 걸어서 황허강(黃河江)을 건넌다는 뜻으로, 용기는 있으나 무모함을 이르는 말. ≪논어≫의 <술이편(述而篇)>에 나온 말이다.
    暴: 사나울 虎: 馮: 업신여길 河: 강 이름

  • 不知甘苦(부지감고) : 단지 쓴지를 모른다는 뜻으로, 도리에 어두운 사람이나 극히 알기 쉬운 이치도 알지 못하는 사람의 비유로 사용함.
    不: 아닌가 知: 甘: 苦:

  • 破壁飛去(파벽비거) : 벽을 깨뜨리고 날아간다는 뜻으로, 양(梁)나라의 장승요(張僧繇)가 금릉의 안락사(安樂寺) 벽에 용을 그리고 눈동자를 찍었더니 용이 벽을 부수고 하늘로 날아갔다는 고사에서 평범한 사람이 갑자기 유명하게 출세함을 비유한 말.
    破: 깨뜨릴 壁: 飛: 去:

  • 一觸卽發(일촉즉발) : 한 번 건드리기만 해도 폭발할 것같이 몹시 위급한 상태.
    一: 觸: 닿을 卽: 發:

  • 經於溝瀆(경어구독) : 스스로 목매어 도랑에 익사한다는 뜻으로, 개죽음을 비유(比喩)해 이르는 말.
    經: 지날 於: 어조사 溝: 도랑 瀆: 도랑

  • 下筆成文(하필성문) : 붓을 내리면 글을 이룬다는 뜻으로, 붓만 대면 문장이 되는 것처럼 글을 짓는 것이 아주 빠름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.
    下: 아래 筆: 成: 이룰 文: 글월

  • 池魚籠鳥(지어농조) : 못 속의 물고기와 새장 속의 새라는 뜻으로, 자유롭지 못한 대상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.
    池: 魚: 고기 鳥:

  • 攬髮而拯(남발이증) : 물에 빠진 사람은 머리털을 잡아당겨 건진다는 뜻으로, 위급(危急)한 때에는 사소(些少)한 예의(禮儀)를 차리지 않음을 비유(比喩)해 이르는 말.
    髮: 터럭 而: 말 이을 拯: 건질

  • 高枕而臥(고침이와) : 베개를 높이해서 눕는다는 뜻으로, 근심 없이 편히 자는 안심할 수 있는 상태를 비유.
    高: 높을 枕: 베개 而: 말 이을 臥: 누울

  • 投筆從戎(투필종융) : 붓을 던지고 창을 쫓는다는 뜻으로, 학문(學問)을 포기(抛棄)하고 전쟁터로 나아감을 비유(比喩)하는 말.
    投: 던질 筆: 從: 좇을 戎:

  • 烏飛梨落(오비이락) : 까마귀 날자 배 떨어진다는 뜻으로, 아무 관계도 없이 한 일이 공교롭게도 때가 같아 억울하게 의심을 받거나 난처한 위치에 서게 됨을 이르는 말.
    烏: 까마귀 飛: 落: 떨어질

  • 鷄犬聲不到處(계견성부도처) : '닭이나 개의 소리가 미치지 못하는 곳' 이란 뜻으로 '인가(人家)와 멀리 떨어진 외진 곳'을 비유(比喩)하는 말.
    鷄: 犬: 聲: 소리 不: 아닌가 到: 이를 處: 머무를

  • 窮寇勿追(궁구물추) : 피할 곳 없는 도적을 쫓지 말라는 뜻으로, 곤란한 지경에 있는 사람을 모질게 다루면 해를 입으니 건드리지 말라는 말.
    窮: 다할 寇: 도둑 勿: 追: 쫓을

  • 上下寺不及(상하사불급) : 위로도 아래로도 모두 미치지 못함. 또는 두 가지 일이 모두 실패하게 됨.
    上: 下: 아래 寺: 不: 아니 及: 미칠

3 4 5 7 8 9
#사용 312 #생활 82 #학문 107 #마음 496 #사랑 91 #태도 72 #어려움 105 #군자 56 #정도 153 #상대 56 #노력 69 #자리 94 #재앙 64 #부부 76 #집안 93 #행동 137 #속담 63 #임금 189 #형제 68 #문장 59 #잘못 93 #천하 94 #음식 79 #이익 89 #가운데 104 #나이 97 #편안 62 #관계 90 #경우 64 #어머니 72

초성이 같은 단어들

(총 848개) : 바아, 바안, 바알, 바앙, 바애, 바얀, 바양, 바얘, 바에, 바오, 바올, 바옷, 바우, 바울, 바워, 바웨, 바위, 바유, 바을, 바이, 바일, 박아, 박악, 박안, 박암, 박애, 박액, 박야, 박약, 박연, 박열, 박염, 박엽, 박영, 박옥, 박외, 박용, 박우, 박운, 박위, 박유, 박은, 박음, 박읍, 박의, 박이, 박인, 밖에, 반아, 반악, 반암, 반애, 반액, 반야, 반약, 반양, 반어, 반역, 반연, 반열, 반염, 반엽, 반영, 반오, 반옥, 반와, 반완, 반외, 반요, 반우, 반운, 반움, 반원, 반월, 반위, 반유, 반음, 반응, 반의, 반이, 반인, 반일, 반입, 받이, 발아, 발악, 발안, 발암, 발앙, 발양, 발어, 발언, 발여, 발연, 발열, 발염, 발왕, 발외, 발욕, 발우 .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