한자 풀이

🥦 아니 , 아닌가 , , 새이름 , 아닐 , 아닐
  • 아닌가 , 크다 , 새 이름 , 의문사 , 오디새
  • 땅 아래로 뻗어있는 식물의 뿌리를 표현해 아직 자라지 않았다는데서 '아니다'라는 의미 생성

# 에 관한 한자 모두 658

  • 望之不似 획순 望之似(망지불사) : 다른 사람이 보기에 태도 따위가 온당하지 아니함.
    望: 바랄 之: 不: 아니 似: 같을

  • 不知何境 획순 知何境(부지하경) : 어느 경우에 이를지 알지 못함.
    不: 아닌가 知: 何: 어찌 境: 지경

  • 徒善不如惡 획순 徒善如惡(도선불여악) : 한갓 착하기만 함은 악함 보다도 못하다는 뜻으로, 너무 약해 빠져서 오히려 주변성이 없음을 비웃는 말.
    徒: 무리 善: 착할 不: 아니 如: 같을 惡: 악할

  • 欲速不達 획순 欲速達(욕속부달) : 일을 빨리하려고 하면 도리어 이루지 못함.
    欲: 하고자 할 速: 빠를 不: 아닌가 達: 통할

  • 無所不在 획순 無所在(무소부재) : 하나님의 적극적 품성의 하나로, 그 존재와 섭리가 모든 피조물 속에 미쳐 있음을 이르는 말.
    無: 없을 所: 不: 아닌가 在: 있을

  • 得已(만부득이) : ‘부득이’를 강조하여 이르는 말.
    萬: 일만 不: 아닌가 得: 얻을 已: 그칠

  • 萬萬測(만만불측) : 이루 헤아릴 수 없음.
    萬: 일만 萬: 일만 不: 아니 測:

  • 知何歲月(부지하세월) : 언제 이루어질지 그 기한을 알 수 없음.
    不: 아닌가 知: 何: 어찌 歲: 月:

  • 鶴脛可斷(학경불가단) : 학의 다리가 길다고 자르지 말라는 뜻으로, 사물은 각각 타고난 특성이 있기 때문에 인위적인 힘으로 함부로 가감손익(加減損益)을 하여서는 안 된다는 의미.
    鶴: 脛: 정강이 不: 아니 可: 옳을 斷: 끊을

  • 伏地動(복지부동) : 땅에 엎드려 움직이지 아니한다는 뜻으로, 주어진 일이나 업무를 처리하는 데 몸을 사림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.
    伏: 엎드릴 地: 不: 아닌가 動: 움직일

  • 家醜外揚(가추불외양) : 집안의 부끄러운 일은 밖에 드러내어 말하지 않음을 이르는 말.
    家: 醜: 더러울 不: 아니 外: 바깥 揚: 오를

  • 見睫(목불견첩) : 눈은 눈썹을 볼 수 없다는 뜻으로, 타인의 선악(善惡)은 눈에 잘 띠지만, 자신의 선악은 잘 알아차리지 못함을 의미.
    目: 不: 아니 見: 睫: 속눈썹

  • 屈(불요불굴) : 한번 먹은 마음이 흔들리거나 굽힘이 없음.
    不: 아니 撓: 어지러울 不: 아니 屈: 굽을

  • 燈下明(등하불명) : 등잔 밑이 어둡다는 뜻으로, 가까이에 있는 물건이나 사람을 잘 찾지 못함을 이르는 말.
    燈: 등불 下: 아래 不: 아니 明: 밝을

  • 十指動(십지부동) : 열 손가락을 꼼짝하지 아니한다는 뜻으로, 게을러서 아무 일도 하지 아니함을 이르는 말.
    十: 指: 손가락 不: 아닌가 動: 움직일

  • 厭高(산불염고) : 산은 높음을 싫어하지 않는다는 뜻으로, 덕은 쌓을수록 좋음을 비유하는 말.[魏武帝 <短歌行>].
    山: 不: 아니 厭: 싫어할 高: 높을

  • 存而論(존이불론) : 그대로 내버려 두고 이러니저러니 따지지 아니함.
    存: 있을 而: 말 이을 不: 아니 論: 의논할

  • 毫釐差(호리불차) : 조금도 틀림이 없음.
    毫: 가는 털 釐: 다스릴 不: 아니 差: 어긋날

  • 窺園(목불규원) : 눈으로 정원을 보지 못한다는 뜻으로, 집에 있으면서 정원을 바라볼 겨를 없이 강학(講學)에 열중함을 비유.
    目: 不: 아니 窺: 엿볼 園: 동산

  • 邑各同(읍각부동) : (1)규칙이나 풍속이 각 고을마다 차이가 있음. (2)사람마다 의견이 서로 다름.
    邑: 고을 各: 각각 不: 아닌가 同: 한가지

  • 漠然知(막연부지) : 뚜렷하지 못하고 어렴풋하여 알지 못함.
    漠: 사막 然: 그러할 不: 아닌가 知:

  • 撤晝夜(불철주야) : 어떤 일에 몰두하여 조금도 쉴 사이 없이 밤낮을 가리지 아니함.
    不: 아니 撤: 거둘 晝: 夜:

  • 桃李言下自成蹊(도리불언하자성혜) : 복숭아(桃)와 오얏(李)은 꽃이 곱고 열매가 맛이 좋으므로, 오라고 하지 않아도 찾아오는 사람이 많아 그 나무 밑에는 길이 저절로 생긴다는 뜻으로, 덕이 있는 사람은 스스로 말하지 않아도 사람들이 따름을 비유(比喩)해 이르는 말.
    桃: 복숭아나무 李: 오얏나무 不: 아니 言: 말씀 下: 아래 自: 스스로 成: 이룰 蹊: 지름길

  • 貧賤能移(빈천불능이) : 빈천도 옮기게 할 수 없다는 뜻으로, 대장부(大丈夫)는 빈천한 처지에 처하더라도 자신의 바른 뜻으로 굽히거나 어기지 않는다는 의미.
    貧: 가난할 賤: 천할 不: 아니 能: 능할 移: 옮을

  • 自知者怨人(자지자불원인) : 자기(自己)를 아는 사람은 남을 원망(怨望)하지 않음.
    自: 스스로 知: 者: 不: 아니 怨: 원망할 人: 사람

  • 每事成(매사불성) : 하는 일마다 실패함.
    每: 매양 事: 不: 아니 成: 이룰

  • 非錢行(비전불행) : 돈이 아니면 행하지 않는다는 뜻으로, 뇌물을 쓰지 않고서는 아무 일도 되지 않는다는 관기(官紀)의 문란함을 비유한 말.
    非: 아닐 錢: 不: 아니 行:

  • 聽若聞(청약불문) : 듣고도 못 들은 체함.
    聽: 들을 若: 같을 不: 아니 聞: 들을

  • 離側(잠불리측) : 잠시도 곁에서 떠나지 않음.
    暫: 잠깐 不: 아니 離: 떠날 側:

  • 啓(불분불계) : 분발하지 않으면 계도(啓導)하지 않는다는 뜻으로, 스스로 터득하려고 애쓰는 사람이라야 스승의 가르침으로 미묘한 이치에 통달할 수 있다는 의미.
    不: 아니 憤: 결낼 不: 아니 啓:

  • 無人知(무인부지) : 소문이 널리 퍼져서 모르는 사람이 없음.
    無: 없을 人: 사람 不: 아닌가 知:

  • 千萬當(천만부당) : 어림없이 사리에 맞지 아니함.
    千: 일천 萬: 일만 不: 아닌가 當: 마땅할

  • 成說(만불성설) : 말이 전혀 사리에 맞지 아니함.
    萬: 일만 不: 아니 成: 이룰 說: 말씀

  • 默默答(묵묵부답) : 잠자코 아무 대답도 하지 않음.
    默: 잠잠할 默: 잠잠할 不: 아닌가 答: 대답할

  • 勝衣(약불승의) : 옷 무게를 이기지 못하는 듯하다는 뜻으로, 몸이 야위어 초췌(憔悴)하다는 의미나 겸양(謙讓)한 모양을 이르는 말로 사용됨.
    若: 같을 不: 아니 勝: 이길 衣:

  • 下問恥(하문불치) : 아랫사람에게 묻는 것이 수치가 아니라는 뜻으로, 모르는 것은 누구에게든지 물어서 식견을 넓히라는 말.
    下: 아래 問: 물을 不: 아니 恥: 부끄러워할

  • 可長(점불가장) : 일의 폐단이 점점 더 커지게 그냥 두어서는 아니 됨.
    漸: 점점 不: 아니 可: 옳을 長:

  • 逝(추불서) : 애마 추(雛)도 앞으로 나아가지 않는다는 뜻으로, 항우가 패공에게 포위(包圍)되어 어떻게 해야 할지 계략(計略)이 없어졌음을 이르는 말.
    雛: 병아리 不: 아니 逝:

  • 要言煩(요언불번) : 요령 있는 말은 번거롭지 않다는 뜻으로, 요점을 파악하여 하는 말은 번거롭게 수다를 떨지 않아도 그 취지를 이해할 수 있다는 의미.
    要: 구할 言: 말씀 不: 아니 煩: 번거로울

  • 皮肉關(피육불관) : 가죽과 살은 관계하지 아니한다는 뜻으로, 조금도 관련되지 않음을 이르는 말.
    皮: 가죽 肉: 고기 不: 아니 關: 빗장

  • 休(불면불휴) : 자지도 않고 쉬지도 않는다는 뜻으로, 조금도 쉬지 않고 힘써 일함을 이르는 말.
    不: 아니 眠: 不: 아니 休:

  • 動彈得(동탄부득) : 곤란한 지경에 빠져서 꼼짝할 수가 없음.
    動: 움직일 彈: 탄환 不: 아닌가 得: 얻을

  • 毛之地(불모지지) : 식물이 자라지 못하는 거칠고 메마른 땅.
    不: 아니 毛: 之: 地:

  • 釋卷(수불석권) : 손에서 책을 놓지 아니하고 늘 글을 읽음.
    手: 不: 아니 釋: 卷:

  • 暝目(사불명목) : 근심이나 한이 남아 있어 죽어서도 눈을 편히 감지 못함.
    死: 죽을 不: 아니 暝: 어두울 目:

  • 動心(부동심) : 마음이 외부의 충동에도 흔들리거나 움직이지 아니함.
    不: 아닌가 動: 움직일 心: 마음

  • 天道謟(천도부도) : 하늘이 선한 사람에게는 복을 주고, 악(惡)한 사람에게는 화(禍)를 주는 것은 조금도 의심할 바 없음.
    天: 하늘 道: 不: 아닌가 謟: 의심할

  • 老少定(노소부정) : 죽음에는 노소의 선후(先後)가 없음.
    少: 적을 不: 아닌가 定: 정할

  • 低頭答(저두부답) : 머리를 숙이고 대답하지 아니함.
    低: 낮을 頭: 머리 不: 아닌가 答: 대답할

  • 獲命(사불획명) : 사퇴(辭退)했으나 허락(許諾)을 얻지 못함.
    辭: 말씀 不: 아니 獲: 얻을 命: 목숨

  • 自勝(희불자승) : 어찌할 바를 모를 만큼 매우 기쁨.
    喜: 기쁠 不: 아니 自: 스스로 勝: 이길

  • 各知移(각지불이) : 천도교에서, 각자가 깨닫고 마음에 새겨 변함이 없는 일.
    各: 각각 知: 不: 아니 移: 옮을

  • 欺二字(불기이자) : '불기' 두 자라는 뜻으로, '속이지 않는다'는 '欺'라는 두 글자는 일생토록 지켜야 할 인생의 신조(信條)라는 의미에서 모든 일은 정성을 다해야 함을 이르는 의미.
    不: 아니 欺: 속일 二: 字: 글자

  • 知所云(부지소운) : 뭐라고 말하여야 좋을지 모름.
    不: 아닌가 知: 所: 云: 이를

  • 朝菌知晦朔(조균부지회삭) : 아침에 돋아났다가 해가 뜨면 말라죽는 버섯이 그믐과 초승을 알지 못한다는 뜻으로, 수명(壽命)이 매우 짧거나 덧없음을 이르는 말.
    朝: 아침 菌: 버섯 不: 아닌가 知: 晦: 그믐 朔: 초하루

  • 百古磨(백고불마) : 몇백 년이 지나도 닳아 없어지지 아니하고 남음.
    百: 일백 古: 不: 아니 磨:

  • 隻輪返(척륜불반) : 병거(兵車)가 한 대도 돌아오지 않는다는 뜻으로, 참패(慘敗)를 형용(形容)해 이르는 말.
    隻: 외짝 輪: 바퀴 不: 아니 返: 돌아올

  • 勺水入(작수불입) : 한 모금의 물도 넘기지 못한다는 뜻으로, 음식을 조금도 먹지 못함을 이르는 말.
    勺: 구기 水: 不: 아니 入:

  • 容貸(단불용대) : 단연코 용서하지 아니함.
    斷: 끊을 不: 아니 容: 얼굴 貸: 빌릴

  • 聞之聞(불문지문) : 들리지 않는 것을 듣는다는 뜻으로, 귀로 듣지 아니하고 마음으로 들음을 이르는 말.
    不: 아니 聞: 들을 之: 聞: 들을

  • 自矜者長(자긍자부장) : 스스로 공을 자랑하는 자는 오래 가지 않음을 이르는 말.
    自: 스스로 矜: 불쌍히 여길 者: 不: 아닌가 長:

  • 惑(삼불혹) : 혹하여 빠지지 말아야 할 세 가지. 술, 여자, 재물을 이른다.
    三: 不: 아니 惑: 미혹할

  • 方長折(방장부절) : 한창 자라는 풀이나 나무를 꺾지 아니한다는 뜻으로, 앞길이 유망한 사람이나 사업에 대하여 헤살을 놓지 않음을 이르는 말.
    方: 長: 不: 아닌가 折: 꺾을

  • 變出意(변출불의) : 생각지도 않은 괴상한 일이 뜻밖에 생김.
    變: 변할 出: 不: 아니 意:

  • 知體面(부지체면) : 체면을 돌아보지 아니함.
    不: 아닌가 知: 體: 面:

  • 可思議(불가사의) : (1)사람의 생각으로는 미루어 헤아릴 수 없이 이상하고 야릇함. (2)나유타의 만 배가 되는 수. 또는 그런 수의. 즉, 1064을 이른다. (3)예전에, 나유타의 억 배가 되는 수를 이르던 말. 즉, 10120을 이른다.
    不: 아니 可: 옳을 思: 생각할 議: 의논할

  • 襲吉(복불습길) : 처음에 길한 징조를 얻으면 다시 더 점을 칠 필요가 없음을 이르는 말.
    卜: 不: 아니 襲: 엄습할 吉: 길할

  • 二更(열불이경) : 열녀(烈女) 불경(更) 이부(二夫). 열녀(烈女)는 두 번 시집가지 않는다는 의미.
    不: 아니 二: 更: 고칠

  • 滅(불생불멸) : (1)죽지도 살지도 아니하고 겨우 목숨만 붙어 있음. (2)생겨나지도 않고 없어지지도 않고 항상 그대로 변함이 없음. 모든 존재의 실상을 이른다.
    不: 아니 生: 不: 아니 滅: 멸망할

  • 雉膏食(치고불식) : 꿩 기름을 먹지 않는다는 뜻으로, 몸에 좋은 꿩 기름도 먹지 않는 것처럼 재덕이 있어도 임금에게 채용되지 않음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. [출전- 주역(周易)].
    雉: 膏: 기름 不: 아니 食:

  • 安席(침불안석) : 걱정이 많아서 잠을 편히 자지 못함.
    寢: 잠잘 不: 아니 安: 편안할 席: 자리

  • 豪宕羈(호탕불기) : 호기롭고 걸걸하여 사소한 일에 얽매임이 없음.
    豪: 호걸 宕: 방탕할 不: 아니 羈: 굴레

  • 離身(병불이신) : (1)‘병불이신’의 북한어. (2)몸에 병이 떠날 날이 없음.
    病: 不: 아니 離: 떠날 身:

  • 還生(숙불환생) : 한번 익힌 음식은 날것으로 되돌아갈 수 없어 그대로 두면 쓸데없다는 뜻으로, 장만한 음식을 남에게 권할 때 쓰는 말.
    熟: 익을 不: 아니 還: 돌아올 生:

  • 食肉糜(하불식육미) : 부자가 가난한 사람에게 왜 고기를 안 먹느냐고 묻는다는 뜻으로, 남의 사정에 어두움을 이르는 말.
    何: 어찌 不: 아니 食: 肉: 고기 糜:

  • 同而和(동이불화) : 서로 편당(偏黨)을 할뿐 화합하지 못한다는 뜻으로, 附和雷同(부화뇌동)만하고 진정으로 화합(和合)하지 못하는 소인(小人)의 사귐을 이르는 말.
    同: 한가지 而: 말 이을 不: 아니 和: 고를

  • 比而周(비이부주) : 치우치고 두루 하지 못한다는 뜻으로, <論語>에서 孔子가 소인배들은 사사로움에 치우치므로 특별한 사람만 친할 뿐 널리 사귀지 못함을 비유한 말.
    比: 견줄 而: 말 이을 不: 아닌가 周: 두루

  • 水泄通(수설불통) : 물이 샐 틈이 없다는 뜻으로, 경비나 단속이 엄하여 교통이나 통신 또는 비밀 따위가 새지 못함을 이르는 말.
    水: 泄: 不: 아니 通: 통할

  • 稱病出(칭병불출) : 병을 핑계로 나가지 아니함.
    稱: 일컬을 病: 不: 아니 出:

  • 作之已(작지불이) : 끊임없이 힘써 함.
    作: 지을 之: 不: 아니 已: 그칠

  • 生無綠之人(천불생무록지인) : 하늘은 녹 없는 사람을 넣지 않는다는 뜻으로, 사람은 누구나 태어나면서 저 먹을 것은 가지고 태어남을 이르는 말.
    天: 하늘 不: 아니 生: 無: 없을 綠: 초록빛 之: 人: 사람

  • 得已(막부득이) : ‘부득이’를 강조하여 이르는 말.
    莫: 없을 不: 아닌가 得: 얻을 已: 그칠

  • 便神奇(변불신기) : 별로 신기할 것이 없음.
    便: 똥오줌 不: 아니 神: 奇: 기이할

  • 永生滅(영생불멸) : 영원히 살고 죽지 아니함.
    永: 生: 不: 아니 滅: 멸망할

  • 出世(영불출세) : 집 안에 틀어박히어 영영 세상에 나오지 아니함.
    永: 不: 아니 出: 世: 인간

  • 飛鳥入(비조불입) : 날아다니는 새도 들어갈 수 없다는 뜻으로, 성(城)이나 진지 따위의 방비가 빈틈없이 완벽함을 이르는 말.
    飛: 鳥: 不: 아니 入:

  • 無所爲(무소불위) : 하지 못하는 일이 없음.
    無: 없을 所: 不: 아니 爲:

  • 改過吝(개과불린) : 허물을 고침에 인색(吝嗇)하지 않음을 이르는 말.
    改: 고칠 過: 지날 不: 아니 吝: 아낄

  • 河海擇細流(하해불택세류) : 강과 바다는 작은 물줄기도 가리지 않는다는 뜻으로, 큰사람은 보잘것없는 사람이나 사소한 말도 다 받아들임을 이르는 말.
    河: 강 이름 海: 바다 不: 아니 擇: 가릴 細: 가늘 流: 흐를

  • 通知(무불통지) : 무슨 일이든지 환히 통하여 모르는 것이 없음.
    無: 없을 不: 아니 通: 통할 知:

  • 逐獸者目見太山(축수자목불견태산) : 짐승을 쫓는 사람의 눈에는 태산(泰山)이 보이지 않는다는 뜻으로, 이욕(利慾)에 빠진 자는 큰 해가 눈앞에 있는 것도 모름을 이르는 말.
    逐: 쫓을 獸: 짐승 者: 目: 不: 아니 見: 太: 山:

  • 也自妨(야자불방) : 또한 거리낄 것이 없이 괜찮음.
    也: 잇기 自: 스스로 不: 아니 妨: 방해할

  • 多日內(부다일내) : 여러 날이 걸리지 않고 며칠 이내.
    不: 아닌가 多: 많을 日: 內:

  • 參差齊(참치부제) : 길고 짧고 들쭉날쭉하여 가지런하지 아니함.
    參: 참여할 差: 층질 不: 아닌가 齊: 가지런할

  • 給吸(호불급흡) : 불었다가 마시기를 더하지 못한다는 뜻으로, 너무 놀라서 숨을 내쉬고는 들이쉬지 못하는 것처럼 사물의 진행이 너무 빨라서 미처 응할 시간이 없음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.
    呼: 부를 不: 아니 給: 넉넉할 吸: 숨들이쉴

  • 老長生(불로장생) : 늙지 아니하고 오래 삶.
    不: 아니 老: 늙을 長: 生:

  • 飮盜泉水(갈불음도천수) : 목이 말라도 도천의 물을 마시지는 않음. 아무리 어려운 상황에 처하여도 잘못된 길을 가서는 안 된다는 뜻이다.
    渴: 목마를 不: 아니 飮: 마실 盜: 도둑 泉: 水:

  • 菽麥辨(숙맥불변) : 콩인지 보리인지를 구별하지 못한다는 뜻으로, 사리 분별을 못 하고 세상 물정을 잘 모름을 이르는 말.
    菽: 麥: 보리 不: 아니 辨: 분별할

  • 拘小節(불구소절) : 사소한 예의범절에 거리끼지 아니함.
    不: 아니 拘: 잡을 小: 작을 節: 마디

  • 愧屋漏(불괴옥루) : 사람이 보지 아니하는 곳에서도 행동을 경계하고 신중히 하여 부끄럽지 아니함. ≪중용(中庸)≫에 나오는 말이다.
    不: 아니 愧: 부끄러워할 屋: 漏:

2 3 4 6 7
#중국 253 #아래 86 #지위 65 #죽음 73 #인간 65 #세월 71 #벼슬 88 #근심 65 #표현 88 #자신 208 #행동 137 #상대 56 #비유 1177 #실패 56 #재주 82 #관계 90 #경계 56 #의미 1817 #목숨 58 #모양 142 #가난 90 #재능 61 #의지 69 #나이 97 #얼굴 99 #부부 76 #사용 312 #천하 94 #생활 82 #신하 62