한자 풀이

🍹 아니 , 아닌가 , , 새이름 , 아닐 , 아닐
  • 아닌가 , 크다 , 새 이름 , 의문사 , 오디새
  • 땅 아래로 뻗어있는 식물의 뿌리를 표현해 아직 자라지 않았다는데서 '아니다'라는 의미 생성

# 에 관한 한자 모두 658

  • 代不乏人 획순 乏人(대불핍인) : 어느 시대(時代)나 인재(人材)가 없지 아니함.
    代: 대신 不: 아니 乏: 모자랄 人: 사람

  • 事此不避 획순 事此避(사차불피) : (문체(文體)에서) 이 일을 피할 수 없음.
    事: 此: 不: 아니 避: 피할

  • 不絶如縷 획순 絶如縷(부절여루) : 실같이 가늘면서 끊어지지 않음.
    不: 아닌가 絶: 끊을 如: 같을 縷:

  • 迫於不得 획순 迫於得(박어부득) : 일이 매우 급하게 닥쳐와서 어찌할 수 없이.
    迫: 다그칠 於: 어조사 不: 아닌가 得: 얻을

  • 念念不忘 획순 念念忘(념념불망) : (1)자꾸 생각이 나서 잊지 못함. (2)‘염념불망’의 북한어.
    念: 생각 不: 아니 忘: 잊을

  • 單行(화불단행) : 재앙은 번번이 겹쳐 옴.
    禍: 재난 不: 아니 單: 行:

  • 知足辱(지족불욕) : 분수를 지켜 만족할 줄 아는 사람은 욕되지 아니함.
    知: 足: 不: 아니 辱: 욕될

  • 殷鑑遠(은감불원) : 거울삼아 경계하여야 할 전례(前例)는 가까이 있다는 뜻으로, 다른 사람의 실패를 자신의 거울로 삼으라는 말. ≪시경≫의 <탕편(蕩篇)>에 나오는 말이다.
    殷: 성할 鑑: 거울 不: 아니 遠:

  • 辨菽麥(불변숙맥) : 콩과 보리를 분별하지 못한다는 뜻으로, 아주 간단한 내용도 알지 못하는 아주 어리석고 무식한 사람의 비유하여 이르는 말. [준말] 菽麥.
    不: 아니 辨: 분별할 菽: 麥: 보리

  • 屢見鮮(누견불선) : 자주 대하니 신선함이 없다는 뜻으로, 너무 자주 보아 전혀 새롭지 않음.
    見: 不: 아니 鮮: 고울

  • 風馬牛相及(풍마우불상급) : 암내 나는 마소가 짝을 구(求)하나 멀리 떨어져 있어 서로 미치지 못한다는 뜻으로, (1) 서로 멀리 떨어져 있음 (2) 전혀 관계(關係)(關係)가 없음.
    風: 바람 馬: 牛: 不: 아니 相: 서로 及: 미칠

  • 無所知(무소부지) : 모르는 것이 없음.
    無: 없을 所: 不: 아닌가 知:

  • 戶樞蠹(호추부두) : 문의 지도리는 좀이 슬지 아니한다는 뜻으로, 부지런히 일하면 건강하다는 말.
    戶: 지게 樞: 지도리 不: 아닌가 蠹:

  • 人事省(인사불성) : (1)제 몸에 벌어지는 일을 모를 만큼 정신을 잃은 상태. (2)사람으로서의 예절을 차릴 줄 모름.
    人: 사람 事: 不: 아니 省: 살필

  • 孤必有隣(덕불고필유린) : 덕이 있으면 따르는 사람이 있으므로 외롭지 않다는 뜻.
    德: 不: 아니 孤: 외로울 必: 반드시 有: 있을 隣: 이웃

  • 無一成(무일불성) : 이루지 못하는 일이 한 가지도 없음.
    無: 없을 一: 不: 아니 成: 이룰

  • 文律(불문율) : 문서의 형식을 갖추지 않은 법. 관습법이나 판례법 따위이다.
    不: 아니 文: 글월

  • 生心(감불생심) : 감히 엄두도 내지 못함.
    敢: 감히 不: 아니 生: 心: 마음

  • 尾大掉(미대부도) : 꼬리가 커서 흔들기가 어렵다는 뜻으로, 일의 끝이 크게 벌어져서 처리하기가 어려움을 이르는 말.
    尾: 꼬리 大: 不: 아닌가 掉: 흔들

  • 半身遂(반신불수) : 반신불수(半身隨). (1) 몸의 좌우(左右) 어느 한쪽을 마음대로 잘 쓰지 못함 (2) 또는 그런 사람.
    半: 身: 不: 아니 遂: 드디어

  • 惟日足(유일부족) : 바쁘거나 할 일이 많아 날짜가 부족함.
    惟: 생각할 日: 不: 아닌가 足:

  • 存而忘亡(존이불망망) : 태평(太平)할 때에도 쇠망(衰亡)할 것을 잊지 않음.
    存: 있을 而: 말 이을 不: 아니 忘: 잊을 亡: 잃을

  • 易之典(불역지전) : (1)쉽게 고칠 수 없는, 기본이 되는 규정. (2)하지 않을 수 없는 일.
    不: 아니 易: 바꿀 之: 典:

  • 得其位(부득기위) : 좋은 소질과 충분한 실력을 가지고도 알맞은 지위를 얻지 못함.
    不: 아닌가 得: 얻을 其: 位: 자리

  • 祿疊受(록불첩수) : (1)두 가지 벼슬을 겸하는 사람이 양쪽의 녹을 겹쳐 받지 아니하고 한 벼슬의 녹만 받도록 하던 규정. (2)‘녹불첩수’의 북한어.
    不: 아니 疊: 겹쳐질 受: 받을

  • 萬夫當(만부부당) : 수많은 장부(丈夫)로도 능히 당할 수 없음.
    萬: 일만 夫: 지아비 不: 아닌가 當: 마땅할

  • 忍之心(불인지심) : 차마 하지 못하는 마음.
    不: 아니 忍: 참을 之: 心: 마음

  • 戀戀忘(련련불망) : (1)그리워서 잊지 못함. ⇒규범 표기는 ‘연연불망’이다. (2)그리워서 잊지 못함. (3)‘연연불망’의 북한어.
    不: 아니 忘: 잊을

  • 破甑顧(파증불고) : 깨진 시루는 돌아보지 않는다는 뜻으로, 이미 깨진 그릇은 어쩔 수 없듯이 돌이키거나 만회할 수 없는 일을 아쉬워하거나 애통해 할 필요가 없이 단념한다는 의미.
    破: 깨뜨릴 甑: 시루 不: 아니 顧: 돌아볼

  • 可言(참불가언) : 너무도 참혹하여 차마 말할 수가 없음.
    慘: 참혹할 不: 아니 可: 옳을 言: 말씀

  • 酒草肉(부주초육) : 승려가 술, 담배, 고기를 입에 대지 아니하는 일.
    不: 아닌가 酒: 草: 肉: 고기

  • 忍見(목불인견) : 눈앞에 벌어진 상황 따위를 눈 뜨고는 차마 볼 수 없음.
    目: 不: 아니 忍: 참을 見:

  • 無日爲(무일불위) : 날마다 하지 않는 날이 없음.
    無: 없을 日: 不: 아니 爲:

  • 知者惑(지자불혹) : 지혜로운 사람은 미혹되지 않는다는 뜻으로, 지혜로운 사람은 이치에 밝으므로 어떤 사물에도 미혹(迷惑)되지 않는다는 의미.
    知: 者: 不: 아니 惑: 미혹할

  • 事古(사불사고) : 옛 사람의 교훈(敎訓)을 본받지 아니함.
    事: 不: 아니 事: 古:

  • 當之說(부당지설) : 이치에 맞지 아니하는 말.
    不: 아닌가 當: 마땅할 之: 說: 말씀

  • 千萬可(천만불가) : 전혀 옳지 아니함.
    千: 일천 萬: 일만 不: 아니 可: 옳을

  • 寤寐忘(오매불망) : (1)자나 깨나 잊지 못함. (2)자나 깨나 잊지 못하여.
    寤: 寐: 잠잘 不: 아니 忘: 잊을

  • 悔改(종불회개) : 끝내 회개(悔改)하지 않음.
    終: 끝날 不: 아니 悔: 뉘우칠 改: 고칠

  • 夢想到(몽상부도) : 꿈에도 생각할 수 없음.
    夢: 想: 생각 不: 아닌가 到: 이를

  • 視若見(시약불견) : 보고도 못 본 체함.
    視: 若: 같을 不: 아니 見:

  • 壯而密(장이불밀) : 웅장(雄壯)하기는 하나 세밀(細密)하지 못함을 이르는 말.
    壯: 씩씩할 而: 말 이을 不: 아니 密: 빽빽할

  • 嘆服(막불탄복) : 탄복(歎服)하지 않을 수 없음.
    莫: 없을 不: 아니 嘆: 탄식할 服:

  • 破鏡照(파경부조) : 깨어진 거울은 비추지 못한다는 뜻으로, 부부 관계 따위의 일단 깨어진 것은 다시 원상대로 되돌아가지 않음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. [破鏡(파경): 부부의 이별].
    破: 깨뜨릴 鏡: 거울 不: 아닌가 照: 비출

  • 朽之功(불후지공) : 영원히 없어지지 아니하고 빛날 큰 공로.
    不: 아니 朽: 썩을 之: 功:

  • 周而比(주이불비) : 두루하고 치우치지 않는다는 뜻으로, 군자(君子)는 진실에 터 잡은 공평된 사귐을 이루고 편파적인 붕당(朋黨)은 만들지 않는다는 의미. <論語>.
    周: 두루 而: 말 이을 不: 아니 比: 견줄

  • 知香臭(부지향취) : 향기와 악취를 알지 못한다는 뜻으로, 방향(芳香)과 악취(惡臭)를 구별 못한다는 것처럼, 시비(是非)나 선악(善惡)을 판별하지 못함을 비유하는 말.
    不: 아닌가 知: 香: 향기 臭: 냄새

  • 足脫及(족탈불급) : 맨발로 뛰어도 따라가지 못한다는 뜻으로, 능력ㆍ역량ㆍ재질 따위가 두드러져 도저히 다른 사람이 따라가지 못할 정도임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.
    足: 脫: 벗을 不: 아니 及: 미칠

  • 獨掌鳴(독장불명) : 외손뼉이 올랴라는 속담(俗談)의 한역으로, 맞서는 이가 없으면 싸움이 되지 않음을 이르는 말.
    獨: 홀로 掌: 손바닥 不: 아니 鳴:

  • 入量(계불입량) : 계획이 들어맞지 아니함.
    計: 不: 아니 入: 量: 헤아릴

  • 拾遺(도불습유) : 길에 떨어진 물건을 주워 가지지 않는다는 뜻으로, 형벌이 준엄하여 백성이 법을 범하지 아니하거나 민심이 순후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. ≪한비자≫의 <외저설좌상편(外儲說左上篇)>에 나오는 말이다.
    道: 不: 아니 拾: 주울 遺: 남길

  • 瑕瑜相揜(하유불상엄) : 옥의 티와 광채(光彩)는 서로 가리지 못한다는 뜻으로, 미덕(美德)과 과실(過失)을 모두 있는 대로 보여 숨기지 않음을 이르는 말.
    瑕: 瑜: 아름다운 옥 不: 아니 相: 서로 揜: 가릴

  • 汝出還登高望之(여출불환등고망지) : 네가 나가서 돌아오지 않을 때면 높은 곳에 올라가 바라보심.
    汝: 出: 不: 아니 還: 돌아올 登: 오를 高: 높을 望: 바랄 之:

  • 取而貪(취이불탐) : 취하지만 탐하지 않는다는 뜻으로. 필요한 것을 취해서 얻고 탐욕을 내지 않는 욕심을 갖지 않는다는 의미.
    取: 취할 而: 말 이을 不: 아니 貪: 탐할

  • 近理(만불근리) : 전혀 이치에 맞지 아니함.
    萬: 일만 不: 아니 近: 가까울 理: 다스릴

  • 言之花(불언지화) : 말하지 않는 꽃이라는 뜻으로, 복숭아꽃과 오얏꽃을 이르는 말.
    不: 아니 言: 말씀 之: 花:

  • 在此限(부재차한) : 어떤 규정이나 한계에 얽매이지 아니하고 벗어남.
    不: 아닌가 在: 있을 此: 限: 한정

  • 見義爲無勇也(견의불위무용야) : 의(義)를 보고 행(行)하지 아니하는 것은 용기(勇氣)가 없는 것임.
    見: 義: 옳을 不: 아니 爲: 無: 없을 勇: 날랠 也: 잇기

  • 忠臣之道事二君(충신지도불사이군) : 충성(忠誠)스러운 신하(臣下)의 도리(道理)는 두 임금을 섬기지 않는 것임.
    忠: 충성 臣: 신하 之: 道: 不: 아니 事: 二: 君: 임금

  • 萬世刊(만세불간) : 오래도록 길이 전함.
    萬: 일만 世: 인간 不: 아니 刊: 책 펴낼

  • 永遠滅(영원불멸) : 영원히 없어지지 아니하고 계속됨.
    永: 遠: 不: 아니 滅: 멸망할

  • 無可無可(무가무불가) : 옳은 것도 없고 그를 것도 없다는 뜻으로, 사람의 언행(言行)이 다 중용(中庸)을 취(取)하여 과불급(過及)이 없음을 이르는 말.
    無: 없을 可: 옳을 無: 없을 不: 아니 可: 옳을

  • 犯正(사불범정) : 바르지 못하고 요사스러운 것이 바른 것을 건드리지 못함. 곧 정의가 반드시 이김을 이르는 말이다.
    邪: 간사할 不: 아니 犯: 범할 正: 바를

  • 匹上足(필상부족) : 위로 짝하려니 부족하다는 뜻으로, 위로 짝하려니 모자라고 아래로 짝하려니 남아서[匹下有餘(필하유여)] 어느 쪽에도 치우치지 않는 원만함을 유지한다는 의미.
    匹: 上: 不: 아닌가 足:

  • 問曲直(불문곡직) : 옳고 그름을 따지지 아니함.
    不: 아니 問: 물을 曲: 굽을 直: 곧을

  • 衆寡敵(중과부적) : 적은 수효로 많은 수효를 대적하지 못함.
    衆: 무리 寡: 적을 不: 아닌가 敵: 원수

  • 力田如逢年(역전불여봉년) : 힘을 다하여 농사(農事)를 지어도 일기(日氣)가 순조(順調)롭지 못하면 오히려 풍년(豊年)을 만난 것만 같지 못하다는 뜻으로, 사람의 힘이 하늘의 힘에 미치지 못함을 비유(比喩)해 이르는 말.
    田: 不: 아니 如: 같을 逢: 만날 年:

  • 造次利(조차불리) : 조차(造次) 불리(離)의 음(音)을 따서 만든 말이란 뜻으로, 장기(將棋)에서 초반에 차(車)를 움직이면 불리(利)하다는 말.
    造: 지을 次: 버금 不: 아니 利: 날카로울

  • 一絲亂(일사불란) : 한 오리 실도 엉키지 아니함이란 뜻으로, 질서가 정연하여 조금도 흐트러지지 아니함을 이르는 말.
    一: 絲: 不: 아니 亂: 어지러울

  • 好事出門(호사불출문) : 좋은 일은 좀처럼 세상에 알려지지 않음을 이르는 말.
    好: 좋을 事: 不: 아니 出: 門:

  • 相形如論心(상형불여론심) : 생김새를 보는 것은 마음씨를 논(論)함만 같지 못하다는 뜻으로, 사람의 용모(容貌)를 가지고 길흉(吉凶)을 말하는 것보다 그 사람의 마음씨의 선악(善惡)을 논(論)하는 것이 낫다는 말.
    相: 서로 形: 형상 不: 아니 如: 같을 論: 의논할 心: 마음

  • 達時宜(부달시의) : 매우 완고하여 시대의 흐름을 따르려는 변통성이 없음.
    不: 아닌가 達: 통할 時: 宜: 마땅할

  • 孝(삼불효) : 세 가지의 큰 불효. 부모를 불의(義)에 빠지게 하는 일, 부모가 늙고 집이 가난하여도 벼슬하지 않는 일, 자식이 없어 조상의 제사를 끊어지게 하는 일을 이른다.
    三: 不: 아니 孝: 효도

  • 非肉飽(비육불포) : 고기를 먹지 아니하면 배가 부르지 아니하다는 뜻으로, 늙은이가 쇠약해진 지경을 이르는 말.
    非: 아닐 肉: 고기 不: 아니 飽: 배부를

  • 相卽離(상즉불리) : 윗물이 흐리면 아랫물도 맑지 않다는 뜻으로, 윗사람이 옳지 않으면 아랫사람도 이를 본받아서 행실(行實)이 옳지 못함을 이름.
    相: 서로 卽: 不: 아니 離: 떠날

  • 寸絲掛(촌사불괘) : 실오라기 하나도 몸에 걸치지 아니하였다는 뜻으로, 조금도 마음에 걸림이 없음을 이르는 말.
    寸: 마디 絲: 不: 아니 掛:

  • 逐鹿者見山(축록자불견산) : 사슴을 쫓는 사람은 산을 보지 못한다는 뜻으로, 눈앞의 작은 일에 치우치다가 다른 중요한 것을 놓치게 됨을 이르는 말.
    逐: 쫓을 鹿: 사슴 者: 不: 아니 見: 山:

  • 無物成(무물불성) : 물질이나 돈이 없이는 아무 일도 이루어지지 않음을 이르는 말.
    無: 없을 物: 만물 不: 아니 成: 이룰

  • 竝行(걸불병행) : 비럭질은 여럿이 함께 하지 않는다는 뜻으로, 어떤 것을 요구하는 사람이 여럿이면 그것을 얻기가 어려움을 이르는 말.
    乞: 不: 아니 竝: 아우를 行:

  • 爲愧(염불위괴) : (1)‘염불위괴’의 북한어. (2)옳지 아니한 일을 하고도 부끄러워하는 기색이 조금도 없음.
    不: 아니 爲: 愧: 부끄러워할

  • 竝行悖(병행불패) : 두 가지 일을 한꺼번에 치르더라도 사리에 어긋나지 아니함.
    竝: 아우를 行: 不: 아니 悖: 어그러질

  • 兩工(능불양공) : 인간(人間)의 능력(能力)은 모든 사물(事物)에 다 능할 수 없다는 뜻으로, 잘 할 수 있는 일이 있는가 하면 잘못하는 일도 있기 마련임을 이르는 말.
    能: 능할 不: 아니 工: 장인

  • 寢食甘(침식불감) : 잠자고 먹는 일이 달지 못하다는 뜻으로, 온갖 걱정으로 잠자는 일과 먹는 일이 달지 않음을 이르는 말.
    寢: 잠잘 食: 不: 아니 甘:

  • 天長去無執花老蝶來(천장거무집화로접불래) : 하늘이 기니 가서 잡을 수 없고, 꽃이 지니 나비가 오지를 않음.
    天: 하늘 長: 去: 無: 없을 執: 잡을 花: 老: 늙을 蝶: 나비 不: 아니 來:

  • 妄至(화불망지) : 화는 망령(妄靈)되이 이르지 않는다는 뜻으로, 화가 도래함은 다 그 원인(原因)이 있음을 이르는 말.
    禍: 재난 不: 아니 妄: 망령될 至: 이를

  • 述而作(술이부작) : 있는 그대로 기술할 뿐 새로 지어내지 않는다는 뜻으로, 학자의 겸손한 자세와 객관적 태도를 강조하여 이르는 말.
    述: 지을 而: 말 이을 不: 아닌가 作: 지을

  • 投足(종불투족) : 끝내 방문(訪問)하지 않음.
    終: 끝날 不: 아니 投: 던질 足:

  • 血刃(병불혈인) : 병사가 칼에 피를 묻히지 아니하였다는 뜻으로, 피를 흘릴 만한 싸움도 하지 아니하고 쉽게 이김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.
    兵: 군사 不: 아니 血: 刃: 칼날

  • 上大夫(형불상대부) : 사대부(士大夫)에게는 형벌(刑罰)을 내리지 않는다는 뜻으로, 옛날 대부(大夫)는 예를 지켜 범죄(犯罪)함이 없으므로 면목(面目)을 존중(尊重)해 주고, 또한 절의(節義)를 장려(奬勵)하기 위(爲)해서임.
    刑: 형벌 不: 아니 上: 大: 夫: 지아비

  • 俱戴天(불구대천) : 하늘을 함께 이지 못하는 원수라는 뜻으로, 이 세상에서 같이 살 수 없을 만큼 큰 원한을 가진 원수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.
    不: 아니 俱: 함께 戴: 天: 하늘

  • 李下整冠(이하부정관) : 자두나무 밑에서는 갓을 바루지 않는다는 뜻으로, 자두나무 밑에서 갓을 고쳐 쓰면 도둑으로 오인되기 쉬우니 남에게 의심 살 만한 일은 피하는 것이 좋다는 말. ≪문선(文選)≫의 <군자행(君子行)>에 나오는 말이다.
    下: 아래 不: 아닌가 整: 가지런할 冠:

  • 如死(생불여사) : 살아 있음이 차라리 죽는 것만 못하다는 뜻으로, 몹시 어려운 형편에 있음을 이르는 말.
    生: 不: 아니 如: 같을 死: 죽을

  • 用(팔불용) : 몹시 어리석은 사람을 이르는 말.
    八: 여덟 不: 아니 用:

  • 孝子匱(효자불궤) : 효자는 다함이 없다는 뜻으로, 효자의 효성은 지극하여 한 사람이 효도를 다하면 이것에 감화되어 잇달아 효자가 나옴을 이르는 말.
    孝: 효도 子: 아들 不: 아니 匱:

  • 失一(만불실일) : 조금도 과실이나 틀림이 없음.
    萬: 일만 不: 아니 失: 잃을 一:

  • 如初(반불여초) : 처음과 같지 못하고 도리어 나빠진다는 뜻으로, 그대로 두는 것이 오히려 나음을 이르는 말.
    反: 돌이킬 不: 아니 如: 같을 初: 처음

  • 自身照亮(자신조불량) : 자신의 몸을 비추는 일도 밝지 못하다는 뜻으로, 남을 도울 여유가 없음을 비유하는 말.
    自: 스스로 身: 照: 비출 不: 아니 亮: 밝을

  • 風馬接(풍마부접) : 바람난 말이 교접하지 못한다는 뜻으로, 발정기의 소와 말의 암컷과 수컷이 서로 찾아도 이를 수 없는 것처럼 서로 멀리 떨어져 있거나 아무 관계가 없음을 이르는 말.
    風: 바람 馬: 不: 아닌가 接: 사귈

  • 及馬腹(불급마복) : 말의 배에 미치지 않는다는 뜻으로, 채찍이 길어도 말의 배에 이르지 않는 것처럼 인생에는 인력(人力)이 미치지 못하는 곳이 있음을 비유하는 말.
    不: 아니 及: 미칠 馬: 腹:

  • 我身善辱及父母(아신불선욕급부모) : 내 몸이 착하지 못하면 욕됨이 부모(父母)님께 미침.
    我: 身: 不: 아니 善: 착할 辱: 욕될 及: 미칠 父: 아비 母: 어미

3 4 5 7
#물건 136 #경우 64 #가운데 104 #세월 71 #은혜 70 #예전 60 #행동 137 #태도 72 #재주 82 #소리 96 #방법 59 #유래 280 #하늘 251 #집안 93 #천하 94 #때문 58 #지위 65 #생각 236 #경계 56 #가난 90 #상태 110 #부부 76 #이치 67 #상황 119 #임금 189 #싸움 61 #재앙 64 #문장 59 #사이 200 #고사 108