# 에 관한 한자 모두 1,515

  • 車在馬前 획순 車在馬前(거재마전) : 수레가 앞에 있다는 뜻으로, 처음 로 마차를 끌게 하려면 다른 수레의 뒤에 을 매어서 따라오게 한 뒤에 나중에 다른 마차를 끌도록 훈련시킨다는 의미에서, 사람을 훈련시킬 경우에도 기초적인 일부터 훈련을 시킨 뒤에 전문적인 일에 종사하도록 유도한다는 의미.
    車: 수레 在: 있을 馬: 前:

  • 言往說來 획순 言往說來(언왕설래) : 서로 변론을 주고받으며 옥신각신함. 또는 이 오고 감.
    言: 말씀 往: 說: 말씀 來:

  • 有酒無量 획순 有酒無量(유주무량) : 술을 얼마든지 마실 만큼 주량이 큼. 공자의 주량을 언급한 ≪논어≫ <향당(鄕黨)> 편의 ‘술을 마실 때는 일정한 양이 없었는데 어지러운 지경에 이르지 않았다.’에서 유래한 이다.
    有: 있을 酒: 無: 없을 量: 헤아릴

  • 百馬伐驥 획순 百馬伐驥(백마벌기) : 백 마리의 이 한 마리의 준마를 친다는 뜻으로, 뭇 신하(臣下)들이 한 현신(賢臣)을 제거(除去)하기 위(爲)해 몰아침을 비유(比喩)해 이르는 .
    百: 일백 馬: 伐: 驥: 천리마

  • 禍福無門 획순 禍福無門(화복무문) : 화복은 운명적인 것이 아니라 사람이 선한 일을 하거나 악한 일을 함에 따라서 각기 받는다는 .
    禍: 재난 福: 無: 없을 門:

  • 膽大心小(담대심소) : 문장을 지을 때, 담력은 크게 가지되 주의는 세심해야 함을 이르는 . ≪당서(唐書)≫ <은일전(隱逸傳)>에 나오는 손사막의 에서 유래한다.
    膽: 쓸개 大: 心: 마음 小: 작을

  • 三人行必有我師(삼인행필유아사) : 세 사람이 같이 길을 가면 반드시 내 스승이 있다는 뜻으로, 세 사람이 어떤 일을 하면 좋은 것은 본받고, 나쁜 것은 경계(警戒)하게 되므로 선악(善惡) 간(間)에 반드시 스승이 될 만한 이가 있다는 .
    三: 人: 사람 行: 必: 반드시 有: 있을 我: 師: 스승

  • 尊駕(존가) : 지위가 높고 귀한 사람의 탈것이라는 뜻으로, 지위가 높고 귀한 사람의 행차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.
    尊: 높을 駕: 멍에

  • 群盲撫象(군맹무상) : 맹인(盲人) 여럿이 코끼리를 만진다는 뜻으로, 사물을 좁은 소견과 주관으로 잘못 판단함을 이르는 . 열반경에 나오는 이다.
    群: 무리 盲: 소경 撫: 어루만질 象: 코끼리

  • 寢牛起馬(침우기마) : 소는 눕는 것을 좋아하고 은 서는 것을 좋아한다는 뜻으로, 사람마다 제각기 취미가 다름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.
    寢: 잠잘 牛: 起: 일어날 馬:

  • 螳螂拒轍(당랑거철) : 제 역량을 생각하지 않고, 강한 상대나 되지 않을 일에 덤벼드는 무모한 행동거지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. 중국 제나라 장공(莊公)이 사냥을 나가는데 사마귀가 앞발을 들고 수레바퀴를 멈추려 했다는 데서 유래한다. ≪장자≫의 <인간세편(人間世篇)>에 나오는 이다.
    螳: 버마재비 螂: 버마재비 拒: 막을 轍: 바퀴 자국

  • 車載斗量(차재두량) : (1)수레에 싣고 로 된다는 뜻으로, 물건이나 인재 따위가 많아서 그다지 귀하지 않음을 이르는 . (2)수레에 싣고 로 된다는 뜻으로, 물건이나 인재 따위가 많아서 그다지 귀하지 않음을 이르는 .
    車: 수레 載: 실을 斗: 量: 헤아릴

  • 浸潤之譖(침윤지참) : 차차 젖어서 번지는 것과 같이 조금씩 오래 두고 하는 참소의 .
    浸: 담글 潤: 젖을 之: 譖: 헐뜯을

  • 鞭長莫及(편장막급) : 채찍이 아무리 길어도 의 배에는 닿지 못한다는 뜻으로, 돕고 싶지만 능력이 모자라서 도울 수가 없음을 이르는 .
    鞭: 채찍 長: 莫: 없을 及: 미칠

  • 斷機之敎(단기지교) : 짜던 베의 날을 칼로 끊어 버린다는 뜻으로, 학문을 중도에서 그만두면 아무 쓸모가 없음을 이르는 .
    斷: 끊을 機: 베틀 之: 敎: 가르칠

  • 煙幕戰術(연막전술) : (1)적의 관측이나 사격으로부터 아군의 군사 행동 따위를 감추기 위하여 연막을 치는 전술. (2)어떤 사실을 숨기기 위하여 약삭빠르고 능청스러운 이나 수단 따위를 써서 상대편이 갈피를 못 잡게 하는 일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.
    煙: 연기 幕: 戰: 싸움 術:

  • 開卷有益(개권유익) : 책을 펼쳐 놓는 것만으로도 이익이 있다는 뜻으로, 책을 읽는 것을 권장하는 .
    開: 卷: 有: 있을 益: 더할

  • 未亡人(미망인) : 남편을 여읜 여자. ≪춘추좌씨전≫의 <장공편(莊公篇)>에 나오는 이다.
    未: 아닐 亡: 잃을 人: 사람

  • 曹無傷(조무상) : 남을 참소하는 소인(小人)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. 중국 한나라의 유방이 초나라의 항우와 대립할 때에, 유방을 헐뜯으며 죄가 있는 것처럼 항우에게 고해바치던 사람의 이름이 조무상이었던 데서 유래한다.
    曹: 마을 無: 없을 傷: 다칠

  • 夷蠻戎狄(이만융적) : 동쪽의 이(夷), 남쪽의 만(蠻), 서쪽의 융(戎), 북쪽의 적(狄)이라는 뜻으로, 모든 오랑캐를 이르는 . 중국인의 중화사상에서 생겨난 로 외국인을 달리 이르는 이다.
    夷: 오랑캐 蠻: 오랑캐 戎: 狄: 오랑캐

  • 兔死狗烹(토사구팽) : 토끼가 죽으면 토끼를 잡던 사냥개도 필요 없게 되어 주인에게 삶아 먹히게 된다는 뜻으로, 필요할 때는 쓰고 필요 없을 때는 야박하게 버리는 경우를 이르는 .
    兔: 토끼 死: 죽을 狗: 烹: 삶을

  • 口蜜腹劍(구밀복검) : 입에는 꿀이 있고 배 속에는 칼이 있다는 뜻으로, 로는 친한 듯하나 속으로는 해칠 생각이 있음을 이르는 .
    口: 蜜: 腹: 劍:

  • 糟糠之妻(조강지처) : 지게미와 쌀겨로 끼니를 이을 때의 아내라는 뜻으로, 몹시 가난하고 천할 때에 고생을 함께 겪어 온 아내를 이르는 . ≪후한서≫의 <송홍전(宋弘傳)>에 나오는 이다.
    糟: 지게미 糠: 之: 妻: 아내

  • 矮子看戱(왜자간희) : 난쟁이가 연극을 본다는 뜻으로, 난쟁이가 키 큰 사람 뒤에서 연극을 관람하는 것처럼 앞사람의 비평에 덩달아 비평하듯이 식견이 없음을 비유하는 로 사용됨.
    矮: 키 작을 子: 아들 看: 戱:

  • 三遷之敎(삼천지교) : 맹자가 어렸을 때 묘지 가까이 살았더니 장사 지내는 흉내를 내기에, 맹자 어머니가 집을 시전 근처로 옮겼더니 이번에는 물건 파는 흉내를 내므로, 다시 글방이 있는 곳으로 옮겨 공부를 시켰다는 것으로, 맹자의 어머니가 아들을 가르치기 위하여 세 번이나 이사를 하였음을 이르는 .
    三: 遷: 옮길 之: 敎: 가르칠

  • 損者三友(손자삼우) : 사귀면 손해가 되는 세 종류의 벗. 편벽한 벗, 착하기만 하고 줏대가 없는 벗, 만 잘하고 성실하지 못한 벗을 이른다.
    損: 者: 三: 友:

  • 鼓腹擊壤(고복격양) : 태평한 세월을 즐김을 이르는 . 중국 요 임금 때 한 노인이 배를 두드리고 땅을 치면서 요 임금의 덕을 찬양하고 태평성대를 즐겼다는 데서 유래한다.
    鼓: 腹: 擊: 壤:

  • 秋扇(추선) : (1)가을철의 부채라는 뜻으로, 철이 지나서 쓸모없이 된 물건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. (2)이성의 사랑을 잃은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.
    秋: 가을 扇: 부채

  • 人乃天(인내천) : 사람이 곧 한울이라는 천도교의 기본 사상. 사람이 한울을 믿어 마침내 하나가 되는 경지를 이른다.
    人: 사람 乃: 이에 天: 하늘

  • 治絲焚之(치사분지) : 실을 급(急)히 풀려고 하면 오히려 엉킨다는 뜻으로, 가지런히 하려고 하나 차근차근 하지 못하고 급(急)히 해서 오히려 엉키게 하는 것을 비유(比喩)하는 로 쓰임.
    治: 다스릴 絲: 焚: 불사를 之:

  • 蝶粉蜂黃(접분봉황) : 나비 날개의 흰 가루와 벌의 누런빛이라는 뜻으로, 나비가 교미하면 그 가루를 잃고 벌이 교미하면 그 누런빛이 스러짐을 이르는 .
    蝶: 나비 粉: 가루 蜂: 黃: 누를

  • 換骨奪胎(환골탈태) : (1)사람이 보다 나은 방향으로 변하여 전혀 딴사람처럼 됨. (2)뼈대를 바꾸어 끼고 태를 바꾸어 쓴다는 뜻으로, 고인의 시문의 형식을 바꾸어서 그 짜임새와 수법이 먼저 것보다 잘되게 함을 이르는 . 중국 남송의 승려 혜홍(惠洪)의 <냉재야화(冷齋夜話)>에 나오는 이다.
    換: 바꿀 骨: 奪: 빼앗을 胎: 아이밸

  • 橋下叱倅(교하질쉬) : 다리 밑에서 원을 꾸짖는다는 뜻으로, 직접 을 못 하고 안 들리는 곳에서 불평하거나 욕함을 이르는 .
    橋: 다리 下: 아래 叱: 꾸짖을 倅: 버금

  • 他界(타계) : (1)다른 세계. (2)인간계를 떠나서 다른 세계로 간다는 뜻으로, 사람의 죽음 특히 귀인(貴人)의 죽음을 이르는 . (3)불교의 십계(十界) 가운데 인간계 이외의 세계.
    他: 다를 界: 지경

  • 靑天白日(청천백일) : (1)혐의나 원죄(冤罪)가 풀리어 무죄가 됨. (2)하늘이 맑게 갠 대낮. (3)맑은 하늘에 뜬 해.
    靑: 푸를 天: 하늘 白: 日:

  • 描虎類犬(묘호류견) : 호랑이를 그리려고 했으나 개와 비슷하게 되었다는 뜻으로, 계획은 크게 세웠지만 실패하여 결과는 보잘것없음을 이르는 .
    描: 그릴 虎: 類: 무리 犬:

  • 脾肉之嘆(비육지탄) : 넓적다리에 살이 찐 것을 탄식한다는 뜻으로, 촉(蜀)의 유비(劉備)가 오랫동안 을 타지 않아 넓적다리에 살이 찐 것을 탄식한 고사로, 안일하게 허송세월을 보내고 있는 자신의 신세를 한탄한다는 의미. <三國志>.
    脾: 지라 肉: 고기 之: 嘆: 탄식할

  • 禪悅爲食(선열위식) : 선정(禪定)의 기쁨으로 몸과 마음을 건전하게 하고 지혜로운 생명을 얻는 일. 음식으로 몸을 기르고 목숨을 보존하는 일에 비유한 이다.
    禪: 봉선 悅: 기쁠 爲: 食:

  • 聲東擊西(성동격서) : 동쪽에서 소리를 내고 서쪽에서 적을 친다는 뜻으로, 적을 유인하여 이쪽을 공격하는 체하다가 그 반대쪽을 치는 전술을 이르는 .
    聲: 소리 東: 동녘 擊: 西: 서녘

  • 鶯遷(앵천) : 꾀꼬리가 깊은 골짜기에서 나와 높은 나무에 앉는다는 뜻으로, 과거에 급제함을 이르는 . 승진이나 이사 따위를 축하할 때 쓰는 이기도 하다.
    鶯: 꾀꼬리 遷: 옮길

  • 朝令暮改(조령모개) : 아침에 명령을 내렸다가 저녁에 다시 고친다는 뜻으로, 법령을 자꾸 고쳐서 갈피를 잡기가 어려움을 이르는 . ≪사기≫의 <평준서(平準書)>에 나오는 이다.
    朝: 아침 令: 하여금 暮: 저물 改: 고칠

  • 邯鄲之夢(한단지몽) : 인생과 영화의 덧없음을 이르는 . 서기 731년에 노생(盧生)이 한단이란 곳에서 여옹(呂翁)의 베개를 빌려 잠을 잤는데, 꿈속에서 80년 동안 부귀영화를 다 누렸으나 깨어 보니 메조로 밥을 짓는 동안이었다는 데에서 유래한다. 심기제(沈旣濟)의 ≪침중기(枕中記)≫에서 나온 이다.
    邯: 땅 이름 鄲: 조나라 서울 之: 夢:

  • 南男北女(남남북녀) : 우리나라에서, 남자는 남쪽 지방 사람이 잘나고 여자는 북쪽 지방 사람이 고움을 이르는 .
    南: 남녘 男: 사내 北: 북녘 女: 여자

  • 亡羊之歎(망양지탄) : 양을 잃어버리고 난 탄식이라는 뜻으로, 갈림길이 많아서 잃어버린 양을 찾을 수 없음을 한탄하는 의미인데, 학문의 길이 여러 갈래여서 한 갈래의 진리도 구하기 어려움을 비유하는 .
    亡: 잃을 羊: 之: 歎: 탄식할

  • 蒲柳之質(포류지질) : 갯버들 같은 체질이라는 뜻으로, 갯버들의 나뭇잎이 가을이 되자마자 떨어지는 데서, 사람의 체질이 허약하거나 나이보다 일찍 노쇠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. ≪세설신어≫의 <언어편(言語篇)>에 나오는 이다.
    蒲: 부들 柳: 버들 之: 質: 바탕

  • 諺文風月(언문풍월) : (1)예전에, 한글로 지은 시가(詩歌)를 이르던 . (2)격식을 갖추지 아니한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.
    諺: 상말 文: 글월 風: 바람 月:

  • 西施顰目(서시빈목) : 월(越)나라의 유명(有名)한 미인(美人) 서시(西施)가 눈을 찌푸린 것을 아름답게 본 못난 여자(女子)가 그 흉내를 내고다녀 더욱 싫게 보였다는 고사에서 유래(由來)한 로, 분수(分數)를 생각하지 않고 무조건(無條件) 남을 따라하는 것을 비유(比喩)하는 .
    西: 서녘 施: 베풀 顰: 찡그릴 目:

  • 乞骸骨(걸해골) : 심신은 임금께 바친 것이지만 해골만은 돌려달라는 뜻으로, 늙은 재상이 벼슬을 내놓고 은퇴하기를 임금에게 주청하던 일. ≪사기(史記)≫의 <평진후전(平津侯傳)>에서 유래한다.
    乞: 骸: 해골 骨:

  • 齒亡舌存(치망설존) : 단단한 이는 빠져도 부드러운 혀는 남는다는 뜻으로, 강한 자가 먼저 망하고 유한 자가 나중까지 남음을 이르는 .
    齒: 亡: 잃을 舌: 存: 있을

  • 敬而遠之(경이원지) : (1)공경하되 가까이하지는 않음. (2)겉으로는 공경하는 체하면서 실제로는 꺼리어 멀리함.
    敬: 공경 而: 말 이을 遠: 之:

  • 河山帶礪(하산대려) : 황하와 태산의 띠와 숫돌이 된다는 뜻으로, 황하(黃河)가 띠와 같이 좁아지고 태산(泰山)이 숫돌과 같이 작아져도 나라는 멸망(滅亡)하지 않는다는 것처럼, 공신(功臣)의 집은 영구히 단절시키지 않겠다는 맹세 내지는 영원히 충성하겠다는 맹세의 로 사용됨.
    河: 강 이름 山: 帶: 礪: 거친 숫돌

  • 花無十日紅(화무십일홍) : 열흘 동안 붉은 꽃은 없다는 뜻으로, 한 번 성한 것이 얼마 못 가서 반드시 쇠하여짐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.
    花: 無: 없을 十: 日: 紅: 붉을

  • 門前成市(문전성시) : 찾아오는 사람이 많아 집 문 앞이 시장을 이루다시피 함을 이르는 . ≪한서≫의 <정숭전(鄭崇傳)>에 나오는 이다.
    門: 前: 成: 이룰 市: 저자

  • 江左七賢(강좌칠현) : 고려 후기에 명예와 이익을 떠나 사귀던 일곱 선비. 이인로, 오세재, 임춘, 조통, 황보항(皇甫抗), 함순(咸淳), 이담지를 중국 진나라 때의 죽림칠현에 상대하여 이르는 이다.
    江: 左: 七: 일곱 賢: 어질

  • 尾生之信(미생지신) : 우직하여 융통성이 없이 약속만을 굳게 지킴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. 중국 춘추 시대에 미생(尾生)이라는 자가 다리 밑에서 만나자고 한 여자와의 약속을 지키기 위하여 홍수에도 피하지 않고 기다리다가 마침내 익사하였다는 고사에서 유래한다. ≪사기≫의 <소진전(蘇秦傳)>에 나오는 이다.
    尾: 꼬리 生: 之: 信: 믿을

  • 借廳借閨(차청차규) : 대청을 빌려 쓰다가 점점 안방까지 들어간다는 뜻으로, 처음에는 남에게 의지하다가 점차 그의 권리까지 침범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.
    借: 廳: 관청 借: 閨: 도장방

  • 皮裏春秋(피리춘추) : 로는 잘잘못을 가리지 아니하는 사람도 마음속으로는 셈속과 분별력이 있음.
    皮: 가죽 裏: 春: 秋: 가을

  • 萬壑千峰(만학천봉) : 수많은 골짜기와 수많은 봉우리라는 뜻으로, 깊은 산 속이나 중첩된 산의 모양을 형용하는 로 사용됨.
    萬: 일만 壑: 千: 일천 峰: 봉우리

  • 充閭之慶(충려지경) : 집안에 가득한 경사라는 뜻으로, 손님이 집안 문설주까지 가득 찰 정도로 집안이 번성했다는 의미로 쓰이거나 득남(得男)을 축하하는 로도 사용됨.
    充: 閭: 이문 之: 慶: 경사

  • 四柱八字(사주팔자) : (1)사주의 간지(干支)가 되는 여덟 글자. 예를 들어, ‘갑자년, 무진월, 임신일, 갑인시’에 태어난 경우, ‘갑자, 무진, 임신, 갑인’의 여덟 글자를 한다. (2)타고난 운수.
    四: 柱: 기둥 八: 여덟 字: 글자

  • 鯨波(경파) : 고래 같은 파도라는 뜻으로, 큰 물결이나 파도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.
    鯨: 고래 波: 물결

  • 盤根錯節(반근착절) : (1)서린 뿌리와 얼크러진 마디라는 뜻으로, 처리하기가 매우 어려운 사건을 이르는 . ≪후한서≫ <우후전(虞詡傳)>에 나오는 이다. (2)세력이 깊이 뿌리박고 있어 흔들리지 아니함.
    盤: 소반 根: 뿌리 錯: 섞일 節: 마디

  • 八年兵火(팔년병화) : 싸움이 오랫동안 계속되어도 승부가 나지 아니함을 이르는 . 중국에서, 항우와 유방의 싸움이 8년이나 걸린 데서 유래한다.
    八: 여덟 年: 兵: 군사 火:

  • 拈華微笑(염화미소) : 로 통하지 아니하고 마음에서 마음으로 전하는 일. 석가모니가 영산회(靈山會)에서 연꽃 한 송이를 대중에게 보이자 마하가섭만이 그 뜻을 깨닫고 미소 지으므로 그에게 불교의 진리를 주었다고 하는 데서 유래한다.
    華: 빛날 微: 작을 笑: 웃을

  • 長者三代(장자삼대) : 부자(富者)는 3대(三代)까지 가기 어렵다는 , 곧 아버지가 고생(苦生)해서 재산(財産)을 만들고, 그것을 보고 자란 아들인 2대는 그것을 잘 지키지만, 3대인 손자(孫子)는 생활(生活)이 사치(奢侈)하여 마침내 할아버지와 아버지가 이룩한 가산을 탕진(蕩盡)하는 예가 많음을 이르는 .
    長: 者: 三: 代: 대신

  • 難言之地(난언지지) : 밝혀 하기 어려운 경우나 처지.
    難: 어려울 言: 말씀 之: 地:

  • 過恭非禮(과공비례) : 지나치게 공손하면 오히려 예의에 어긋난다는 뜻으로, 공손함도 도가 지나치면 오히려 상대방에게 무례를 저지르는 것임을 이르는 . ≪논어≫의 <선진편(先進篇)>에 나오는 이다.
    過: 지날 恭: 공손할 非: 아닐 禮: 예도

  • 風前燈燭(풍전등촉) : (1)바람 앞의 촛불이라는 뜻으로, 사물이 매우 위험한 처지에 놓여 있음을 이르는 . (2)사물이 덧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.
    風: 바람 前: 燈: 등불 燭: 촛불

  • 紅爐點雪(홍로점설) : (1)빨갛게 달아오른 화로 위에 한 송이의 눈을 뿌리면 순식간에 녹아 없어지는 데에서, 도를 깨달아 의혹이 일시에 없어짐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. (2)사욕(私慾)이나 의혹(疑惑)이 일시에 꺼져 없어짐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.
    紅: 붉을 爐: 화로 點: 雪:

  • 鶴鳴之士(학명지사) : 학이 우는 것 같은 선비라는 뜻으로, 많은 사람으로부터 신뢰와 존경(尊敬)을 받는 인물이나, 벼슬하지 못한 채 초야(草野)에서 살아가는 선비를 비유하는 로 사용됨.
    鶴: 鳴: 之: 士: 선비

  • 白骨難忘(백골난망) : 죽어서 백골이 되어도 잊을 수 없다는 뜻으로, 남에게 큰 은덕을 입었을 때 고마움의 뜻으로 이르는 .
    白: 骨: 難: 어려울 忘: 잊을

  • 緘口不言(함구불언) : 입을 다물고 을 하지 아니함.
    緘: 봉할 口: 不: 아니 言: 말씀

  • 舌乾脣焦(설건순초) : 혀가 마르고 입술이 탄다는 뜻으로, 혀와 입술이 타고 마를 정도로 을 빨리 한다는 의미에서, 매우 초조해 안절부절못함을 이르는 로 사용됨.
    舌: 乾: 마를 脣: 입술 焦: 그스를

  • 生者必滅(생자필멸) : 생명이 있는 것은 반드시 죽음. 존재의 무상(無常)을 이르는 이다.
    生: 者: 必: 반드시 滅: 멸망할

  • 竊鈇之疑(절부지의) : 공연한 혐의를 이르는 . 도끼를 훔쳐 갔다고 의심받은 사람의 행동이나 이 모두 틀림없이 훔쳐 간 것처럼 보였으나, 다른 데서 그 도끼가 발견되어 누명을 벗은 후에는 그렇게 보이지 않았다는 고사에서 유래한다.
    竊: 훔칠 鈇: 도끼 之: 疑: 의심할

  • 虎尾難放(호미난방) : 한번 잡은 호랑이의 꼬리는 놓기가 어렵다는 뜻으로, 위험한 일에 손을 대어 그만두기도 어렵고 계속하기도 어려움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.
    虎: 尾: 꼬리 難: 어려울 放: 놓을

  • 三樂(삼악) : (1)≪논어≫에 나오는, 사람이 좋아하는 세 가지. 예악(禮樂)을 절도 있게 좋아하고 남의 선을 하기 좋아하고 어진 벗이 많음을 좋아하는 익자삼요와, 교만하게 즐김을 좋아하고 편안히 놀기를 좋아하며 주색을 좋아하는 손자삼요가 있다. (2)군자의 세 가지 즐거움. 부모가 살아 계시고 형제가 무고한 것, 하늘과 사람에게 부끄러워할 것이 없는 것, 천하의 영재를 얻어서 가르치는 것을 이른다. (3)인생의 세 가지 즐거움. 사람으로 태어난 것, 사내로 태어난 것, 장수하는 것을 이른다. (4)삼락(三樂) 가운데 셋째 가는 즐거움. 천하의 영재를 얻어서 가르치는 것을 이른다. (5)국악에서, 아악(雅樂)ㆍ당악(唐樂)ㆍ향악(鄕樂)의 세 갈래 음악을 통틀어 이르는 .
    三: 樂: 즐거울

  • 伯仲之勢(백중지세) : 서로 우열을 가리기 힘든 형세. 위나라 문제(文帝)의 ≪전론(典論)≫에서 나온 이다.
    伯: 仲: 버금 之: 勢: 기세

  • 覆車之戒(복거지계) : 앞의 수레가 엎어지는 것을 보고 뒤의 수레는 미리 경계하여 엎어지지 않도록 한다는 뜻으로, 남의 실패를 거울삼아 자기를 경계함을 이르는 .
    覆: 뒤집힐 車: 수레 之: 戒: 경계할

  • 掣肘(철주) : 팔굽을 당긴다는 뜻으로, 간섭하여 마음대로 하지 못하게 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. ≪여씨춘추≫ <구비편(具備篇)>의 공자의 제자 복자천(宓子賤)에 얽힌 고사에서 나온 이다.
    掣: 억누를 肘: 팔꿈치

  • 善供無德(선공무덕) : 부처에게 공양을 잘하여도 아무 공덕이 없다는 뜻으로, 남을 위하여 힘을 썼으나 그것에 대한 소득이 없음을 이르는 .
    善: 착할 供: 이바지할 無: 없을 德:

  • 年年歲歲(년년세세) : (1)여러 해를 거듭하여 계속 이어짐. (2)‘연년세세’의 북한어.
    年: 歲: 歲:

  • 三日天下(삼일천하) : (1)개화당이 갑신정변으로 3일 동안 정권을 잡은 일. (2)정권을 잡았다가 짧은 기간 내에 밀려나게 됨을 이르는 . (3)어떤 지위에 발탁ㆍ기용되었다가 며칠 못 가서 떨어지는 일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.
    三: 日: 天: 하늘 下: 아래

  • 華燭(화촉) : (1)빛깔을 들인 밀초. 흔히 혼례 의식에 쓴다. (2)그림을 그리는 데 쓰는 밀초.
    華: 빛날 燭: 촛불

  • 長蛇陣(장사진) : (1)많은 사람이 줄을 지어 길게 늘어선 모양을 이르는 . (2)예전의 병법에서, 한 줄로 길게 벌인 군진(軍陣)의 하나.
    長: 蛇: 陣: 진칠

  • 忠言逆耳(충언역이) : 충직한 은 귀에 거슬림. ≪사기≫의 <회남왕전(淮南王傳)>에 나오는 이다.
    忠: 충성 言: 말씀 逆: 거스를 耳:

  • 去頭截尾(거두절미) : (1)머리와 꼬리를 잘라 버림. (2)어떤 일의 요점만 간단히 함.
    去: 頭: 머리 截: 끊을 尾: 꼬리

  • 梁上君子(양상군자) : (1)‘양상군자’의 북한어. (2)들보 위의 군자라는 뜻으로, ‘도둑’을 완곡하게 이르는 . ≪후한서≫ <진식전(陳寔傳)>에 나오는 이다.
    上: 君: 임금 子: 아들

  • 開門而揖盜(개문이읍도) : 문을 열고 절까지 해가며 도둑을 맞이 한다는 뜻으로, 스스로 재화(災禍)를 자초하는 행동(行動)이나 태도(態度)를 함.
    開: 門: 而: 말 이을 揖: 읍할 盜: 도둑

  • 危邦不入(위방불입) : 위험을 피하거나 위험한 곳에 가지 않음을 이르는 . ≪논어≫의 <태백편(泰伯篇)>에 나오는 이다.
    危: 위태할 邦: 나라 不: 아니 入:

  • 鷄口牛後(계구우후) : 닭의 주둥이와 소의 꼬리라는 뜻으로, 큰 단체의 꼴찌보다는 작은 단체의 우두머리가 되는 것이 오히려 나음을 이르는 . ≪전국책(戰國策)≫의 〈한책(韓策)〉과 ≪사기≫의 〈소진전(蘇秦傳)〉에 나오는 이다.
    鷄: 口: 牛: 後:

  • 惡口雜言(악구잡언) : 나쁜 과 잡된 이라는 뜻으로, 남을 헐뜯거나 비방하며 입에서 나오는 대로 가지가지 욕을 함을 이르는 .
    惡: 악할 口: 雜: 섞일 言: 말씀

  • 朝名市利(조명시리) : 명예는 조정에서 다투고 이익은 시장에서 다투라는 뜻으로, 무슨 일이든 알맞은 곳에서 하여야 함을 이르는 .
    朝: 아침 名: 이름 市: 저자 利: 날카로울

  • 匹馬單槍(필마단창) : 한 필의 과 한 자루의 창이란 뜻으로, 혼자 간단한 무장을 하고 한 필의 을 타고 감을 이르는 . 또는 그렇게 하는 사람.
    匹: 馬: 單: 槍:

  • 昊天罔極(호천망극) : 어버이의 은혜가 넓고 큰 하늘과 같이 다함이 없음을 이르는 . 주로 부모의 제사에서 축문(祝文)에 쓰는 이다.
    昊: 하늘 天: 하늘 罔: 그물 極: 다할

  • 山東出相山西出將(산동출상산서출장) : 산동(山東)에서는 재상(宰相)이 나고 산서(山西)에서는 장수(將帥)가 난다는 로, 곳에 따라 다른 인재(人才)가 난다는 뜻.
    山: 東: 동녘 出: 相: 서로 山: 西: 서녘 出: 將: 장수

  • 閑話休題(한화휴제) : 쓸데없는 이야기는 그만함. 어떤 내용을 써 나갈 때 한동안 다른 내용을 쓰다가 다시 본래의 내용으로 돌아갈 때 쓰는 이다.
    閑: 한가할 話: 말할 休: 題: 이마

  • 奇怪罔測(기괴망측) : ‘기괴망측하다’의 어근.
    奇: 기이할 怪: 기이할 罔: 그물 測:

  • 天高馬肥(천고마비) : 하늘이 높고 이 살찐다는 뜻으로, 하늘이 맑아 높푸르게 보이고 온갖 곡식이 익는 가을철을 이르는 .
    天: 하늘 高: 높을 馬: 肥: 살찔

  • 胡蝶夢(호접몽) : 나비에 관한 꿈이라는 뜻으로, 인생의 덧없음을 이르는 . 중국의 장자(莊子)가 꿈에 호랑나비가 되어 훨훨 날아다니다가 깨서는, 자기가 꿈에 호랑나비가 되었던 것인지 호랑나비가 꿈에 장자가 되었는지 모르겠다고 한 이야기에서 나온 . ≪장자(莊子)≫ <제물론(齊物論)>에서 나온 이다.
    胡: 오랑캐 蝶: 나비 夢:

12 13 14 16
#자신 208 #어려움 105 #나라 392 #군자 56 #임금 189 #지위 65 #사물 172 #세월 71 #나이 97 #여자 101 #관계 90 #근본 66 #죽음 73 #나무 166 #고사 108 #집안 93 #이름 211 #물건 136 #따위 228 #재주 82 #근심 65 #재앙 64 #하늘 251 #노력 69 #자리 94 #사이 200 #생활 82 #어머니 72 #가운데 104 #동안 70

초성이 같은 단어들

(총 99개) : 마, 막, 만, 맏, 말, 맑, 맗, 맘, 맛, 망, 맞, 맡, 맣, 매, 맥, 맨, 맬, 맴, 맵, 맹, 먀, 머, 먹, 먻, 먼, 멀, 멈, 멋, 멍, 멎, 메, 멕, 멘, 멜, 멤, 멧, 멩, 멫, 며, 멱, 면, 멸, 몀, 몃, 명, 몇, 모, 목, 몫, 몬, 몯, 몰, 몱, 몸, 못, 몽, 뫃, 뫼, 뫽, 묄, 묌, 묏, 묗, 묘, 묫, 무, 묵, 묶, 문, 물, 뭀, 뭄, 뭇, 뭉, 뭍, 뭐, 뭔, 뭘, 뭣, 뭬, 뮈, 뮐, 뮤, 뮬, 므, 믄, 믈, 믐, 믜, 미, 믹, 민, 밀, 밇, 밈, 밋, 밍, 및, 밑