# 에 관한 한자 모두 1,515

  • 兵不血刃 획순 兵不血刃(병불혈인) : 병사가 칼에 피를 묻히지 아니하였다는 뜻으로, 피를 흘릴 만한 싸움도 하지 아니하고 쉽게 이김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.
    兵: 군사 不: 아니 血: 刃: 칼날

  • 賞一人而天下譽之 획순 賞一人而天下譽之(상일인이천하예지) : 한 사람에게 상을 주면 천하(天下)가 기린다는 뜻으로, 군주(君主)가 정치(政治)를 베풀어 선인을 한 사람 표창(表彰)하면 천하(天下)의 백성(百姓)은 그 정사(政事)의 공평(公平)함을 칭송(稱頌)한다는 .
    賞: 상줄 一: 人: 사람 而: 말 이을 天: 하늘 下: 아래 譽: 기릴 之:

  • 家貧親老 획순 家貧親老(가빈친로) : 집이 가난하고 어버이가 늙었다는 뜻으로, 집안의 사정이 여의치 못하여 마땅치 않은 일이라도 해야 하는 상태를 이르는 .
    家: 貧: 가난할 親: 친할 老: 늙을

  • 猫項懸鈴 획순 猫項懸鈴(묘항현령) : 쥐가 고양이 목에 방울을 단다는 뜻으로, 실행할 수 없는 헛된 논의를 이르는 . 쥐가 고양이의 습격을 미리 막기 위한 수단으로 고양이의 목에 방울을 다는 일을 의논하였으나, 실행 불가능으로 끝났다는 우화에서 유래한다.
    猫: 고양이 項: 懸: 매달 鈴: 방울

  • 慈姑 획순 慈姑(자고) : (1)인자한 시어머니라는 뜻으로, 며느리가 시어머니를 이르는 . (2)듣는 이의 시어머니를 높여 이르는 . (3)택사과의 여러해살이풀. 높이는 5~10미터이며, 잎은 뿌리에서 나와 서로 엉키면서 자란다. 꽃은 8~9월에 잎 사이에서 흰색으로 피며, 열매는 연한 녹색의 둥근 모양으로 모여 달린다. 덩이줄기는 식용하거나 약용한다. 물속에서 자라며, 중국이 원산지이다.
    慈: 사랑 姑: 시어미

  • 蛇足(사족) : 뱀을 다 그리고 나서 있지도 아니한 발을 덧붙여 그려 넣는다는 뜻으로, 쓸데없는 군짓을 하여 도리어 잘못되게 함을 이르는 .
    蛇: 足:

  • 使驥捕鼠(사기포서) : 천리마로 하여금 쥐를 잡게 한다는 뜻으로, 사람을 쓸 줄 몰라 유능한 사람을 직(末職)에 임명함을 비유하는 .
    使: 부릴 驥: 천리마 捕: 잡을 鼠:

  • 鷄卵有骨(계란유골) : 달걀에도 뼈가 있다는 뜻으로, 운수가 나쁜 사람은 모처럼 좋은 기회를 만나도 역시 일이 잘 안됨을 이르는 .
    鷄: 卵: 有: 있을 骨:

  • 千枝萬葉(천지만엽) : (1)무성한 식물의 가지와 잎을 아울러 이르는 . (2)일이 여러 갈래로 나뉘어 어수선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.
    千: 일천 枝: 가지 萬: 일만 葉:

  • 以熱治熱(이열치열) : 열은 열로써 다스림. 곧 열이 날 때에 땀을 낸다든지, 더위를 뜨거운 차를 마셔서 이긴다든지, 힘은 힘으로 물리친다는 따위를 이를 때에 흔히 쓰는 이다.
    以: 熱: 더울 治: 다스릴 熱: 더울

  • 胡越之隔(호월지격) : 북방의 호와 남방의 월의 격차라는 뜻으로, 서로 멀리 떨어져 있거나, 사이가 매우 소원(疎遠)함을 비유하는 인데, 서로의 마음이 전혀 맞지 않음의 비유하기도 함.
    胡: 오랑캐 越: 넘을 之: 隔: 사이 뜰

  • 馬上奉導(마상봉도) : 임금이 거둥할 때, 임금이 위에 오르면 일산(日傘)을 우긋하게 잘 받쳐 들고 편히 모시라고 지휘하고 감독하던 일.
    馬: 上: 奉: 받들 導: 이끌

  • 同舟濟江(동주제강) : 같은 배를 타고 강을 건너간다는 뜻으로, 원수(怨讐)끼리도 공동(共同)의 목적(目的)을 위(爲)해서는 같은 배를 타고 서로 협조(協助)하게 된다는 .
    同: 한가지 舟: 濟: 건널 江:

  • 弘益人間(홍익인간) : 널리 인간을 이롭게 함. 단군의 건국 이념으로서 우리나라 정치, 교육, 문화의 최고 이념이다. ≪삼국유사≫ 고조선 건국 신화에 나온다.
    弘: 益: 더할 人: 사람 間:

  • 李下不整冠(이하부정관) : 자두나무 밑에서는 갓을 바루지 않는다는 뜻으로, 자두나무 밑에서 갓을 고쳐 쓰면 도둑으로 오인되기 쉬우니 남에게 의심 살 만한 일은 피하는 것이 좋다는 . ≪문선(文選)≫의 <군자행(君子行)>에 나오는 이다.
    下: 아래 不: 아닌가 整: 가지런할 冠:

  • 盲者直門(맹자직문) : 어리석은 사람이 어쩌다 이치에 들어맞는 일을 했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.
    盲: 소경 者: 直: 곧을 門:

  • 兎營三窟(토영삼굴) : 토끼가 세 굴을 경영한다는 뜻으로, 토끼가 위험한 고비를 피하려고 구멍 세 개를 만드는 것처럼, 자신의 안전을 위하여 미리 몇 가지의 계책을 짜 놓음을 이르는 .
    兎: 토끼 營: 경영할 三: 窟:

  • 如出一口(여출일구) : 한 입에서 나오는 것처럼 여러 사람의 이 같음을 이르는 .
    如: 같을 出: 一: 口:

  • 喪明之痛(상명지통) : 눈이 멀 정도로 슬프다는 뜻으로, 아들이 죽은 슬픔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. 옛날 중국의 자하(子夏)가 아들을 잃고 슬피 운 끝에 눈이 멀었다는 데서 유래한다.
    喪: 복입을 明: 밝을 之: 痛: 아플

  • 風前燈火(풍전등화) : (1)바람 앞의 등불이라는 뜻으로, 사물이 매우 위태로운 처지에 놓여 있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. (2)사물이 덧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.
    風: 바람 前: 燈: 등불 火:

  • 行雲流水(행운유수) : (1)떠가는 구름과 흐르는 물을 아울러 이르는 . (2)일정한 형태가 없이 늘 변함. (3)일의 처리가 자연스럽고 거침이 없음. (4)마음씨가 시원하고 씩씩함.
    行: 雲: 구름 水:

  • 如斗小邑(여두소읍) : 의 크기와 같은 고을이라는 뜻으로, 아주 작은 고을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.
    如: 같을 斗: 小: 작을 邑: 고을

  • 和光(화광) : (1)자기의 지덕(知德)을 감추고 밖으로 드러내지 아니함. (2)빛을 감추고 티끌 속에 섞여 있다는 뜻으로, 자기의 뛰어난 지덕(智德)을 나타내지 않고 세속을 따름을 이르는 . 노자(老子)의 ≪도덕경(道德經)≫에 나오는 이다. (3)불보살이 중생을 깨우치기 위하여 속인들 사이에 태어나 중생과 인연을 맺어 중생을 불법으로 인도함.
    和: 고를 光:

  • 桃源鄕(도원향) : 도연명의 <도화원기>에 나오는 로, 이상향, 별천지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. 중국 진(晉)나라 때 호남(湖南) 무릉의 한 어부가 배를 저어 복숭아꽃이 아름답게 핀 수원지로 올라가 굴속에서 진(秦)나라의 난리를 피하여 온 사람들을 만났는데, 그들은 하도 살기 좋아 그동안 바깥세상의 변천과 많은 세월이 지난 줄도 몰랐다고 한다.
    桃: 복숭아나무 源: 근원 鄕: 시골

  • 擧一反三(거일반삼) : 하나를 들어 셋을 돌이켜 안다는 뜻으로, 한 가지 일을 하여 여러 가지 이익을 얻음을 이르는 .
    擧: 一: 反: 돌이킬 三:

  • 追友江南(추우강남) : 친구 따라 강남 간다는 뜻으로, 자신의 의지와 상관없이 남에게 이끌려 덩달아 하게 됨을 이르는 .
    追: 쫓을 友: 江: 南: 남녘

  • 三十六禽(삼십육금) : 십이지(十二支)에 각각 셋씩 나눈 서른여섯 가지의 짐승. 곧 자(子)에 제비ㆍ쥐ㆍ박쥐, 축(丑)에 소ㆍ게ㆍ자라, 인(寅)에 너구리ㆍ표범ㆍ호랑이, 묘(卯)에 고슴도치ㆍ토끼ㆍ오소리, 진(辰)에 용ㆍ교룡ㆍ물고기, 사(巳)에 드렁허리ㆍ지렁이ㆍ뱀, 오(午)에 사슴ㆍㆍ노루, 미(未)에 양ㆍ기러기ㆍ매, 신(申)에 고양이ㆍ원숭이ㆍ긴팔원숭이[猴], 유(酉)에 까마귀ㆍ닭ㆍ꿩, 술(戌)에 개ㆍ이리ㆍ승냥이, 해(亥)에 돼지[豕]ㆍ돼지[猪]ㆍ멧돼지가 있다.
    三: 十: 禽: 날짐승

  • 娼家責禮(창가책례) : 창기(娼妓)의 집에서 예의를 따진다는 뜻으로, 예의나 격식을 차리는 것이 격에 맞지 아니함을 이르는 .
    娼: 논다니 家: 責: 꾸짖을 禮: 예도

  • 東史(동사) : (1)동국의 역사라는 뜻으로, 우리나라 역사를 이르던 . (2)조선 후기의 학자 이종휘가 지은 역사책. 기전체 형식으로 쓰였는데, 고조선과 부여ㆍ고구려ㆍ발해ㆍ삼한 등을 하나로 연결하는 역사 체계를 정리하였다.
    東: 동녘 史: 사기

  • 古今東西(고금동서) : 동양과 서양, 옛날과 지금을 통틀어 이르는 .
    古: 今: 이제 東: 동녘 西: 서녘

  • 適者生存(적자생존) : 환경에 적응하는 생물만이 살아남고, 그렇지 못한 것은 도태되어 멸망하는 현상. 영국의 철학자 스펜서가 제창하였다.
    適: 者: 生: 存: 있을

  • 附會(부회) : 작품을 조직하는 원리. 유협의 ≪문심조룡≫에서 창작론(創作論)에 해당하는 제43장의 제목이다. 을 하나로 모으고 뜻과 이치를 통하게 한다는 뜻을 지니는 ‘부사회의(附辭會義)’의 준이다. 문학 작품에 깃든 언어와 사고를 폭넓게 이해할 것을 강조할 때 사용하는 개념이다. 이 장에서 유협은 작품이 예술적으로 조화를 이루어야 한다고 서술하였다.
    附: 붙을 會: 모일

  • 點額(점액) : 시험에 낙제함. 용문을 올라간 잉어는 용이 되고, 그렇지 못한 것은 이마에 점이 찍혀서 돌아간다는 데서 유래한다. 중국 당나라의 시인 이백의 시 <삼주기(三奏記)>에 나오는 이다.
    點: 額: 이마

  • 心猿意馬(심원의마) : 마음은 원숭이 같고 뜻은 이 뛰는 것과 같다는 뜻으로, 번뇌로 중생의 마음이 잠시도 고요하지 못하고 언제나 어지러움을 이르는 .
    心: 마음 猿: 원숭이 意: 馬:

  • 臭如蘭(취여란) : 냄새가 마치 난초와 같다는 뜻으로, 꽃다운 향내가 난초의 향기와 닮은 것처럼, 여럿이 합심하여 하는 이 다른 것에 미치는 힘은 몹시 크다는 의미.
    臭: 냄새 如: 같을 蘭: 난초

  • 多多益善(다다익선) : (1)많으면 많을수록 더욱 좋음. 중국 한(漢)나라의 장수 한신이 고조(高祖)와 장수의 역량에 대하여 얘기할 때, 고조는 10만 정도의 병사를 지휘할 수 있는 그릇이지만, 자신은 병사의 수가 많을수록 잘 지휘할 수 있다고 한 에서 유래한다. (2)백남준의 비디오 아트. 1988년에, 10월 3일 개천절의 의미를 담아 1003개의 티브이 모니터로 마치 하나의 거대한 탑처럼 구성하여 제작하였다. 이 작품은 전화, 라디오, 티브이 방송 따위의 신호를 받는 수신의 의미를 담고 있다.
    多: 많을 多: 많을 益: 더할 善: 착할

  • 辯舌如流(변설여류) : 솜씨가 흐르는 물과 같다는 뜻으로, 이 청산유수처럼 거침없이 계속됨을 비유하는 유창한 달변(達辯).
    辯: 말 잘할 舌: 如: 같을 流: 흐를

  • 濟濟多士(제제다사) : 여러 선비가 모두 뛰어남을 이르는 . ≪시경≫의 <대아(大雅)> 문왕편(文王篇)에 나오는 이다.
    濟: 건널 濟: 건널 多: 많을 士: 선비

  • 朝聞道夕死可矣(조문도석사가의) : 아침에 천하(天下)가 올바른 정도(正道)로 행(行)해지고 있다는 을 들으면 저녁에 죽어도 좋다는 뜻으로, 사람이 참된 이치(理致)를 깨달으면 당장 죽어도 한(恨)이 없다는 뜻으로 쓰이며, 짧은 인생(人生)을 값있게 살아야 한다는 의미(意味).
    朝: 아침 聞: 들을 道: 夕: 저녁 死: 죽을 可: 옳을 矣: 어조사

  • 反不如初(반불여초) : 처음과 같지 못하고 도리어 나빠진다는 뜻으로, 그대로 두는 것이 오히려 나음을 이르는 .
    反: 돌이킬 不: 아니 如: 같을 初: 처음

  • 風馬不接(풍마부접) : 바람난 이 교접하지 못한다는 뜻으로, 발정기의 소와 의 암컷과 수컷이 서로 찾아도 이를 수 없는 것처럼 서로 멀리 떨어져 있거나 아무 관계가 없음을 이르는 .
    風: 바람 馬: 不: 아닌가 接: 사귈

  • 登高自卑(등고자비) : (1)높은 곳에 오르려면 낮은 곳에서부터 오른다는 뜻으로, 일을 순서대로 하여야 함을 이르는 . (2)지위가 높아질수록 자신을 낮춤을 이르는 .
    登: 오를 高: 높을 自: 스스로 卑: 낮을

  • 金烏玉兎(금오옥토) : 금오와 옥토는 해와 달의 별칭임. 金烏는 태양 속에 세 발 달린 까마귀가 산다는 전설에 의해 생겨난 이고, 玉 는 달 속에 토끼가 있다는 전설에 의해서 생겨난 임.
    金: 烏: 까마귀 玉: 구슬 兎: 토끼

  • 土崩瓦解(토붕와해) : 흙이 무너지고 기와가 깨진다는 뜻으로, 어떤 조직이나 사물이 손을 쓸 수 없을 정도로 무너져 버림을 이르는 .
    土: 崩: 무너질 瓦: 기와 解:

  • 不及馬腹(불급마복) : 의 배에 미치지 않는다는 뜻으로, 채찍이 길어도 의 배에 이르지 않는 것처럼 인생에는 인력(人力)이 미치지 못하는 곳이 있음을 비유하는 .
    不: 아니 及: 미칠 馬: 腹:

  • 猛虎伏草(맹호복초) : 사나운 범이 풀숲에 엎드려 있다는 뜻으로, 영웅은 일시적으로 숨어 있어도 때가 되면 세상에 드러나게 마련이라는 .
    猛: 사나울 虎: 伏: 엎드릴 草:

  • 斗酒不辭(두주불사) : 술도 사양하지 않는다는 뜻으로, 술을 매우 잘 마심을 이르는 .
    斗: 酒: 不: 아니 辭: 말씀

  • 塗中曳尾(도중예미) : 진흙 속에 꼬리를 끌고 다닌다는 뜻으로, 세상을 피하여 숨어서 사는 생활의 자유로움을 이르는 . 거북이 죽은 뒤에 그 등껍질이 점치는 데 귀하게 쓰이는 것보다는 살아서 꼬리를 진흙 속에 끌고 다니는 것이 더 좋은 것처럼 벼슬하여 속박을 받기보다는 은거하여 자유롭게 사는 것이 더 낫다고 한 장자(莊子)의 에서 유래하였다.
    塗: 진흙 中: 가운데 曳: 尾: 꼬리

  • 席不暇暖(석불가난) : 앉은 자리가 따뜻할 겨를이 없다는 뜻으로, 자리나 주소를 자주 옮기거나 매우 바쁘게 돌아다님을 이르는 .
    席: 자리 不: 아니 暇: 겨를 暖: 따뜻할

  • 放言高論(방언고론) : 생각하는 대로 거리낌 없이 드러내 놓고 큰 소리로 논의함. 또는 그 .
    放: 놓을 言: 말씀 高: 높을 論: 의논할

  • 三人成虎(삼인성호) : 세 사람이 짜면 거리에 범이 나왔다는 거짓도 꾸밀 수 있다는 뜻으로, 근거 없는 이라도 여러 사람이 하면 곧이듣게 됨을 이르는 .
    三: 人: 사람 成: 이룰 虎:

  • 淫談悖說(음담패설) : 음탕하고 덕의에 벗어나는 상스러운 이야기.
    淫: 음란할 談: 말씀 悖: 어그러질 說: 말씀

  • 異口同聲(이구동성) : 입은 다르나 목소리는 같다는 뜻으로, 여러 사람의 이 한결같음을 이르는 .
    異: 다를 口: 同: 한가지 聲: 소리

  • 蠶絲牛毛(잠사우모) : 고치실과 쇠털이라는 뜻으로, 일의 가닥이 많고 어수선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.
    蠶: 누에 絲: 牛: 毛:

  • 倍達民族(배달민족) : (1) 우리 민족(民族)을 달리 부르는 (2) 우리나라의 상고(上古) 시대(時代) 이름(3) '배달(倍達) 겨레'가 이루고 있는 나라.
    倍: 達: 통할 民: 백성 族: 겨레

  • 生知安行(생지안행) : 천성이 총명하여 배우지 아니하고도 사물의 이치를 깨달으며 편안한 마음으로 쉽게 도(道)를 행함.
    生: 知: 安: 편안할 行:

  • 大道無門(대도무문) : 큰 깨달음이나 진리에 이르는 데에는 정해진 길이나 방식이 없음.
    大: 道: 無: 없을 門:

  • 言語道斷(언어도단) : 할 길이 끊어졌다는 뜻으로, 어이가 없어서 하려 해도 할 수 없음을 이르는 .
    言: 말씀 語: 말씀 道: 斷: 끊을

  • 四表(사표) : 나라 사방의 바깥이라는 뜻으로, ‘천하’를 이르는 .
    四: 表:

  • 楊布之狗(양포지구) : 양포의 개라는 뜻으로, 겉모습의 변화를 보고 섣불리 판단하는 것을 경계해야 함을 이르는 . 전국 시대의 사람인 양포가 외출할 때에는 흰 옷을 입었다가 귀가할 때 검은 옷을 입었더니 양포의 개가 주인을 알아보지 못하고 짖었다는 이야기에서 유래한다.
    楊: 버들 布: 之: 狗:

  • 風檣陣馬(풍장진마) : 돛이 바람을 타고 이 진지(陣地)에 선다는 뜻으로, 돛에 순풍을 받아 배가 달리며, 준마(駿馬)가 진두(陳頭)에 서는 것처럼 문장이 웅건하거나 필체가 강하고 굳셈을 비유하여 이르는 .
    風: 바람 檣: 돛대 陣: 진칠 馬:

  • 老紅少靑(로홍소청) : (1)장기를 둘 때, 나이가 많은 사람이 붉은 빛깔인 ‘한’ 자가 쓰인 을 가지고, 나이가 적은 사람이 푸른 빛깔인 ‘초’ 자가 쓰인 을 가지고 두는 일. (2)‘노홍소청’의 북한어.
    紅: 붉을 少: 적을 靑: 푸를

  • 杏林(행림) : (1)‘의원’을 달리 이르는 . 예전에 동봉(董奉)이라는 의원이 치료의 보수로 중환자에게는 다섯 그루, 경환자에게는 한 그루씩 살구나무를 심게 하였는데, 이것이 몇 년 뒤에 가서 울창한 숲을 이루었다는 데서 유래한다. (2)살구나무가 무성하게 꽉 들어찬 곳.
    杏: 살구나무 林: 수풀

  • 吟遊詩人(음유시인) : 중세 유럽에서 여러 지방을 떠돌아다니면서 시를 읊었던 시인. 각 지역마다 부르는 이 달랐는데, 남프랑스의 트루바두르, 북프랑스의 트루베르, 독일의 미네젱거 등이 유명하다.
    吟: 읊을 遊: 詩: 人: 사람

  • 泉石膏肓(천석고황) : 자연의 아름다운 경치를 몹시 사랑하고 즐기는 성벽(性癖).
    泉: 石: 膏: 기름 肓: 명치끝

  • 易地皆然(역지개연) : 사람의 처지나 경우를 바꾸어 놓으면 그 하는 것이 다 같음을 이르는 .
    易: 바꿀 地: 皆: 然: 그러할

  • 堅壁淸野(견벽청야) : 성에 들어가 지키며 적에게 먹을 것을 주지 않기 위해 들판을 비움.
    堅: 굳을 壁: 淸: 맑을 野:

  • 開門揖盜(개문읍도) : 문을 열어 도둑을 맞이한다는 뜻으로, 상황을 깨닫지 못하고 스스로 화를 불러들임을 이르는 .
    開: 門: 揖: 읍할 盜: 도둑

  • 買死馬骨(매사마골) : 명마를 구하지 못하고 죽은 명마의 뼈를 사자 소문이 나서 천리마를 더 얻었다는 고사에서, 한 때의 쓸모 없는 것에 희생을 치르고, 그로 인해 바라는 것을 얻는다는 의미나, 우매한 사람이라도 우대하면 현명한 사람도 모여듦을 비유함.<戰國策>.
    買: 死: 죽을 馬: 骨:

  • 頭寒足熱(두한족열) : 머리는 차게 두고 발은 덥게 하는 일.
    頭: 머리 寒: 足: 熱: 더울

  • 殃及池魚(앙급지어) : 재앙이 못의 물고기에 미친다는 뜻으로, 제삼자가 엉뚱하게 재난을 당함을 이르는 . 성문(城門)에 난 불을 끄려고 못의 물을 전부 퍼 온 탓으로 그 못의 물고기가 라 죽었다는 고사에서 유래한다.
    殃: 재앙 及: 미칠 池: 魚: 고기

  • 馬家五常(마가오상) : 마씨 오 형제(兄弟)가 모두 재주가 뛰어나고 이름자에 常(상)자가 들어 있는 것에서 연유(緣由)한 로, 형제(兄弟)가 모두 명망(名望)이 높음을 이르는 .
    馬: 家: 五: 다섯 常: 항상

  • 落花難上枝(낙화난상지) : 한번 진 꽃은 다시 피기 어렵다는 뜻으로, 한번 저지른 일은 다시 돌이킬 수 없음을 이르는 .
    花: 難: 어려울 上: 枝: 가지

  • 沙中偶語(사중우어) : 모래땅 위에서 남모르게 주고받는 이라는 뜻으로, 신하가 몰래 모반(謀反)하려고 계책을 꾸미는 일을 이르는 . 중국 한고조(漢高祖)가 공신 이십여 명에게 큰 벼슬을 주자, 벼슬을 받지 못한 다른 여러 장수가 모래땅에 모여 모반을 의논하였다는 데서 유래한다.
    沙: 모래 中: 가운데 偶: 語: 말씀

  • 陶犬瓦鷄(도견와계) : 도제(陶製)의 개와 와제(瓦製)의 닭이라는 뜻으로, 겉모습은 훌륭하나 실속이 없어 아무 쓸모도 없는 사람을 놀림조로 이르는 .
    陶: 질그릇 犬: 瓦: 기와 鷄:

  • 亡羊(망양) : (1)독서를 하다가 양을 잃고 노름을 하다가 양을 잃었다는 뜻으로, 하는 일은 달라도 한 가지 일에 전념하지 아니하고 이것저것 하면 실패함을 이르는 . ≪장자≫ <병무편(騈拇篇)>에 나오는 이다. (2)학문의 길이 여러 갈래여서 한 갈래의 진리도 얻기 어려움을 이르는 . 갈림길이 많아 잃어버린 양을 찾지 못했다는 데서 유래한다. ≪열자(列子)≫<설부(雪符)>에 나오는 이다.
    亡: 잃을 羊:

  • 仰首伸眉(앙수신미) : 머리를 들고 눈썹을 편다는 뜻으로, 고고하여 굽히지 아니함을 이르는 .
    仰: 우러를 首: 머리 伸: 眉: 눈썹

  • 天香國色(천향국색) : (1)천하에서 제일가는 향기와 빛깔이라는 뜻으로, ‘모란꽃’을 달리 이르는 . (2)가장 아름다운 여자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.
    天: 하늘 香: 향기 國: 나라 色:

  • 雁書(안서) : 먼 곳에서 소식을 전하는 편지. ≪한서(漢書)≫ <소무전(蘇武傳)>에 나오는 로, 한무제 때 한나라의 사신 소무가 흉노에게 붙잡혀 있을 당시 기러기의 다리에 편지를 매어 한나라로 보냈다는 고사에서 유래한다.
    雁: 기러기 書:

  • 嚴妻侍下(엄처시하) : 엄한 아내를 모시는 그 아래라는 뜻으로, 아내에게 쥐여사는 남편의 처지를 놀림조로 이르는 .
    嚴: 엄할 妻: 아내 侍: 모실 下: 아래

  • 張三李四(장삼이사) : (1)장씨(張氏)의 셋째 아들과 이씨(李氏)의 넷째 아들이라는 뜻으로, 이름이나 신분이 특별하지 아니한 평범한 사람들을 이르는 . (2)사람에게 성리(性理)가 있는 줄은 아나, 그 모양이나 이름을 지어 할 수 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.
    張: 베풀 三: 四:

  • 傾蓋如舊(경개여구) : 처음 만나 잠깐 사귄 것이 마치 오랜 친구 사이처럼 친함.
    傾: 기울 蓋: 덮을 如: 같을 舊:

  • 破山中敵易破心中敵難(파산중적이파심중적난) : 산 속에 있는 적을 무찌르기는 쉬우나 자기(自己) 속에 있는 나쁜 마음을 물리치기는 몹시 어렵다는 .
    破: 깨뜨릴 山: 中: 가운데 敵: 원수 易: 쉬울 破: 깨뜨릴 心: 마음 中: 가운데 敵: 원수 難: 어려울

  • 附炎棄寒(부염기한) : 더울 때는 가까이 붙어 있다가 추울 때는 버리고 떠난다는 뜻으로, 권세가 성할 때에는 붙좇다가 그 권세가 쇠하면 버림을 이르는 .
    附: 붙을 炎: 불꽃 棄: 버릴 寒:

  • 巫山之夢(무산지몽) : 무산(巫山)의 꿈이라는 뜻으로, 남녀의 정교(情交)를 이르는 . 중국 초나라의 양왕(襄王)이 낮잠을 자다가 꿈속에서 무산신녀(巫山神女)를 만나 즐거움을 누렸다는 고사에서 유래한다.
    巫: 무당 山: 之: 夢:

  • 鷄群孤鶴(계군고학) : 닭의 무리 가운데에서 한 마리의 학이란 뜻으로, 많은 사람 가운데서 뛰어난 인물을 이르는 .
    鷄: 群: 무리 孤: 외로울 鶴:

  • 言中有言(언중유언) : 속에 이 있다는 뜻으로, 예사로운 속에 어떤 풍자나 암시가 들어 있음을 이르는 .
    言: 말씀 中: 가운데 有: 있을 言: 말씀

  • 螢雪之功(형설지공) : 반딧불ㆍ눈과 함께 하는 노력이라는 뜻으로, 고생을 하면서 부지런하고 꾸준하게 공부하는 자세를 이르는 . 중국≪진서(晉書)≫의 <차윤전(車胤傳)>ㆍ<손강전(孫康傳)>에 나오는 로, 진나라 차윤(車胤)이 반딧불을 모아 그 불빛으로 글을 읽고, 손강(孫康)이 가난하여 겨울밤에는 눈빛에 비추어 글을 읽었다는 고사에서 유래한다.
    螢: 개똥벌레 雪: 之: 功:

  • 泣斬馬謖(읍참마속) : 큰 목적을 위하여 자기가 아끼는 사람을 버림을 이르는 . ≪삼국지≫의 〈마속전(馬謖傳)〉에 나오는 로, 중국 촉나라 제갈량이 군령을 어기어 가정(街亭) 싸움에서 패한 마속을 눈물을 머금고 참형에 처하였다는 데서 유래한다.
    泣: 斬: 馬: 謖: 일어날

  • 馬耳東風(마이동풍) : 동풍이 의 귀를 스쳐 간다는 뜻으로, 남의 을 귀담아듣지 아니하고 지나쳐 흘려버림을 이르는 .
    馬: 耳: 東: 동녘 風: 바람

  • 毫毛斧柯(호모부가) : (1)어린싹을 뽑아 버리지 않으면 마침내 큰 나무가 된다는 뜻으로, 화근(禍根)은 크기 전에 없애야 함을 이르는 . (2)나쁜 버릇은 어릴 때 고쳐야 함을 이르는 .
    毫: 가는 털 毛: 斧: 도끼 柯: 가지

  • 盈科而後進(영과이후진) : 구멍을 가득 채운 뒤에 나간다는 뜻으로, 물이 흐를 때는 조금이라도 오목한 데가 있으면 우선(于先) 그곳을 가득 채우고 아래로 흘러간다는 . 곧 사람의 배움의 길도 속성(速成)으로 하려 하지고 차근차근 닦아 나가야 한다는 .
    盈: 科: 과정 而: 말 이을 後: 進: 나아갈

  • 胡蝶之夢(호접지몽) : 나비에 관한 꿈이라는 뜻으로, 인생의 덧없음을 이르는 . 중국의 장자(莊子)가 꿈에 호랑나비가 되어 훨훨 날아다니다가 깨서는, 자기가 꿈에 호랑나비가 되었던 것인지 호랑나비가 꿈에 장자가 되었는지 모르겠다고 한 이야기에서 유래한다. ≪장자(莊子)≫ <제물론(齊物論)>에서 나온 이다.
    胡: 오랑캐 蝶: 나비 之: 夢:

  • 農夫餓死枕厥種子(농부아사침궐종자) : 농부는 굶어 죽더라도 그 종자를 베고 죽는다는 뜻으로, (1) 농부는 죽는 한이 있더라도 종자만은 꼭 보관함을 뜻함 (2) 사람은 죽을 때까지 희망을 버리지 않고 앞날을 생각함(3) 어리석고 인색한 사람은 자신이 죽고 나면 재물(財物)도 소용이 없음을 모른다는 .
    農: 농사 夫: 지아비 餓: 주릴 死: 죽을 枕: 베개 厥: 種: 子: 아들

  • 七去(칠거) : 예전에, 아내를 내쫓을 수 있는 이유가 되었던 일곱 가지 허물. 시부모에게 불손함, 자식이 없음, 행실이 음탕함, 투기함, 몹쓸 병을 지님, 이 지나치게 많음, 도둑질을 함 따위이다.
    七: 일곱 去:

  • 馬瘦毛長(마수모장) : 이 야위면 털만 길어진다는 뜻으로, 빈천해지면 우둔해진다는 것을 비유하는 .
    馬: 瘦: 파리할 毛: 長:

  • 櫨木櫃(로목궤) : (1)융통성이 전혀 없는 미련한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. 딸을 둔 노인이 거먕옻나무 궤를 짜서 남몰래 쌀 쉰닷 을 넣어 두고 이것을 알아맞히는 사람을 사위로 삼기로 했는데, 그 사실을 알게 된 장사꾼이 사위가 된 후로 장인이 부르기만 하면, ‘노목궤, 쌀 쉰닷 ’ 하는 만 되풀이했다는 데서 유래한다. (2)‘노목궤’의 북한어.
    木: 나무 櫃:

  • 虛靈不昧(허령불매) : 잡된 생각이 없이 마음이 신령하여 어둡지 아니함. 유교에서 하는 심상(心狀)과 명덕(明德)의 본질이다.
    虛: 靈: 신령 不: 아니 昧: 어두울

  • 乞人憐天(걸인연천) : 거지가 하늘을 불쌍히 여긴다는 뜻으로, 불행한 처지에 놓여 있는 사람이 부질없이 행복한 사람을 동정함을 이르는 .
    乞: 人: 사람 天: 하늘

  • 形而上學(형이상학) : (1)사물의 본질, 존재의 근본 원리를 사유나 직관에 의하여 탐구하는 학문. 명칭은 아리스토텔레스의 저작물의 제목에서 유래한다. (2)헤겔ㆍ마르크스 철학에서, 비변증법적 사고를 이르는 . (3)초경험적인 것을 대상으로 하는 학문을, 형이하 또는 경험적 대상의 학문인 자연 과학에 상대하여 이르는 . (4)아리스토텔레스의 철학서. 아리스토텔레스가 제일 철학이라고 하는 이름으로 다룬 여러 문제의 연구를 후세에 정리한 것으로, 플라톤의 이데아론을 비판하고 실재론을 설명하였다. 스콜라 철학을 통하여 중세의 유럽 사상에 큰 영향을 끼쳤다. 14장(章).
    形: 형상 而: 말 이을 上: 學: 배울

10 11 12 14 15 16
#신하 62 #어버이 60 #편안 62 #근본 66 #아내 81 #무리 64 #잘못 93 #가운데 104 #자식 104 #경우 64 #재주 82 #형제 68 #사랑 91 #가난 90 #유래 280 #고사 108 #음식 79 #이치 67 #이름 211 #세월 71 #인간 65 #사람 1461 #중국 253 #훌륭 85 #나무 166 #실패 56 #상대 56 #상황 119 #이익 89 #때문 58

초성이 같은 단어들

(총 99개) : 마, 막, 만, 맏, 말, 맑, 맗, 맘, 맛, 망, 맞, 맡, 맣, 매, 맥, 맨, 맬, 맴, 맵, 맹, 먀, 머, 먹, 먻, 먼, 멀, 멈, 멋, 멍, 멎, 메, 멕, 멘, 멜, 멤, 멧, 멩, 멫, 며, 멱, 면, 멸, 몀, 몃, 명, 몇, 모, 목, 몫, 몬, 몯, 몰, 몱, 몸, 못, 몽, 뫃, 뫼, 뫽, 묄, 묌, 묏, 묗, 묘, 묫, 무, 묵, 묶, 문, 물, 뭀, 뭄, 뭇, 뭉, 뭍, 뭐, 뭔, 뭘, 뭣, 뭬, 뮈, 뮐, 뮤, 뮬, 므, 믄, 믈, 믐, 믜, 미, 믹, 민, 밀, 밇, 밈, 밋, 밍, 및, 밑